DOI QR코드

DOI QR Code

A Suitability Analysis of the Factory Development Location using the Green Development Suitability Map

친환경 개발 적지도를 이용한 공장개발 입지의 적합성 분석

  • 엄대용 (충주대학교 토목공학과) ;
  • 이정근 (충주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Received : 2011.05.02
  • Accepted : 2011.05.24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In this study, we tried to analyze the suitability of factory development location in environmental aspects using the Green Development Suitability Map(GDSMap) which was created by GIS analysis about the optimal location of development projects. For this, it was evaluated a influence of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that were caused by developments by setting the legislative,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assessment items. In addition, we made the GDSMap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region & development project overall. And, it were compared a location distribution on the GDSMap & NEZMap(National Environmental Zoning Map) to analyze a suitability of factory development location about the 39 factories located in study area. Results of analysis, the factory locations of about 23% of total development projects were confirmed that it was performed in development restrictions area on the NEZMap which was utilized current in selecting the location of development projects. And the factory locations of about 31% of total development projects could confirm that it was performed in development restrictions area on the GDSMap which was made in this study. Therefore, it was judged that it must be determined the development location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development projects & that region when selecting the location of various development projects.

본 연구에서는 개발사업의 최적입지를 GIS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이를 지도화한 친환경 개발 적지도를 이용하여 환경적 측면에서 기 공장개발지의 입지에 대한 적합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개발 사업에 따른 각종 환경요소의 영향을 법제적, 환경 생태적 평가항목으로 분류하여 평가하고 더붙어 지역과 개발사업의 특성을 종합적으로 반영하여 친환경 개발 적지도를 시범 제작하였다. 그리고 기 공장개발지의 입지에 대한 적합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연구대상지내 기 공장개발지 39개소를 대상으로 친환경 개발 적지도와 국토 환경성 평가지도상에서 임지분포를 비교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현행 개발사업의 입지 선정시 활용되고 있는 국토환경성 평가지도상에서 약 23%에 해당하는 사업이 개발 제한지역에서 시행되었음을 확인하였고, 본 연구에서 시범 제작한 친환경 개발적지도상에서는 약 31%에 해당하는 사업지가 개발 제한 지역내에 입지하였음을 확인함으로써 상호 차이가 발생함을 확인할수 있었다. 따라서 각종 개발사업의 입지 선정시 개발사업의 특성과 대상 사업지역의 특성을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종합적인 평가를 실시함으로써 개발입지가 결정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지영외 5 (2005), 지형, 지질을 고려한 개발사업의 입지선정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원.
  2. 성현찬 (2009), 개발사업 유형별 환경친화적 입지 및 검토 기준 연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 제12권 제4호, pp. 34-46.
  3. 엄대용 (2010), 특정 개발사업의 입지 가능지 선정을 위한 국토환경성 평가지도의 적합성 분석, 한국측량학회지, 제28권 제6호, pp. 595-604.
  4. 이명진외 4 (2007), 대축척 국토환경성평가지도 작성방안 연구, 환경정책연구, 제6권 제3호 통권14호, pp. 115-145
  5. 충주시 (2009), 충주시 통계연보 2009.
  6. 허 준외 2 (2005), GIS 기법을 이용한 공공 시설 입지분석 및 타당성 검토,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25권 제2호, pp. 325-329.
  7. 환경부 (2005), 중부권지역 국토환경성평가지도 제작 보고서.
  8. 환경부 (2007), 국토 환경성 평가지도 유지.관리 대행사업 최종보고서
  9. 국가지리정보유통망, http://www.ngic.go.kr/
  10. 환경지리정보서비스, http://egis.me.go.kr/eg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