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mparative study for height accuracy of Full waveform LiDAR data

Full waveform LiDAR의 높이 정확도 비교 분석

  • 류중희 (삼아항업(주)GIS기술연구소) ;
  • 이재환 (삼아항업(주)GIS기술연구소) ;
  • 고승범 (삼아항업(주)GIS기술연구소) ;
  • 김백석 (삼아항업(주)GIS기술연구소) ;
  • 서해수 (서울시립대 공간정보공학과)
  • Received : 2011.04.28
  • Accepted : 2011.06.24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There are many previous researches such as verification of accuracy, application, and change detection of discrete return LiDAR data, but no researches for full waveform LiDAR data. In this study, we selected the forest area and urban area as case study areas and compared the height accuracy of full waveform LiDAR data with field surveying data. As a result, we got an RMSE of 3.lcm in urban area, 4.7cm in forest area, and it is verified that height accuracy of full waveform LiDAR is high. We think that it is very usefull in aerial photogrammetry.

기존의 LiDAR 데이터에 대한 정확도 검증, 적용성 검토, 변화탐지 등에 많은 연구 논문이 발표되었으나 주된 LiDAR 데이터의 형태는 discrete return LiDAR의 형태로 국한되어 full waveform LiDAR 데이터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full waveform LiDAR 데이터를 이용하여 연구대상 지역을 산림지역과 도심지역으로 현지 실측 측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정확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심지역의 RMSE는 3.1cm, 산림지역의 RMSE는 4.7cm로 나타났으며, full waveform LiDAR의 고도 위치 정확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검증되었다. 항측 분야에서 full waveform LiDAR 장비의 활용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성준, 이임평 (2010), 풀웨이브폼 라이다의 반사파형 시뮬레이션, 대한원격탐사학회지, 대한원격탐사학회, 제26권, 제1호, pp. 9-20 https://doi.org/10.7780/kjrs.2010.26.1.9
  2. 김용석, 김성철 (2008), LiDAR 데이터를 이용한 지형지물의 위치정확도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한국콘텐츠학회, 제8권, 제3호, pp. 270-278
  3. 김은영, 위광재, 조흥묵, 양인태 (2010), 항공레이저측량을 이용한 산림조사 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 제28권, 제3호, pp. 299-304
  4. 위광재, 양인태, 서용운, 심정민 (2006), 현지 측량기준점을 이용한 LiDAR 데이터의 정확도 검증,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제14권, 제4호, pp. 11-18
  5. 유환희, 정동기, 구신회, 어재훈 (2005), 필터링 기법을 이용한 LiDAR 자료로부터 DTM 추출, 한국 GIS 학회논문집, 한국 GIS 학회, pp. 355-361
  6. 윤희천, 이창복, 박정현, 윤경철 (2006), GPS를 이용한 항공 LiDAR 측량 DEM의 정확도 검증, 대한토목학회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pp. 4487-4490
  7. 이동천, 이선근, 염재홍, 임새봄, 김계림 (2007), 수치지도 등고선의 Model key Point 추출과 Progressive Sampling에 의한 수치지형모델 생성, 한국측량학회지,한국측량학회, 제25권, 제6-2호, pp. 645-651
  8. 이동하, 김영섭, 서용철 (2009), 고해상도 항공라이다 DEM 해석을 통한 강원도 일원의 산사태 예측 가능성 분석, 한국 GIS 학회지, 한국 GIS 학회, 제17권, 제3호, pp. 381-387
  9. 이병길, 이상훈, 김진광, 김창재 (2009), 산림지역에서 LiDAR 측량의 정확도 평가, 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 제27권, 제5호, pp. 545-553
  10. 정명희, 윤의중, 김천식 (2007), 라이다 파장 분석 방법론에 대한 연구, 전자공학회 논문지, 전자공학회, 제44권, CI편, 제4호, pp. 339-346
  11. Aulinger, T (2005), Validation of heights from interferometric SAR and LIDAR over the temperate forest site, Nationalpark Bayerischer Wald. POLINSAR Workshop
  12. Baltsavias M (2006), Tree height measurements and tree growth estimation in a mire environment using digital surface models, International Workshop "3D Remote Sensing in Forestry
  13. Christopher E (2007), Investingating Full Waveform LiDAR Data for Detection and Recognition of Verticla Objects, ASPRS 2007 Annual Conference
  14. Heurich, M (2004), Automated Tree Detection and Measurement in Temperate Forests of Central Europe Using Laserscanning Data, Proceedings of the ISPRS working group VIII/2 Laser-Scanners for Forest and Landscape Assessment, Volume XXXVI
  15. Hofton, M (2000), Decomposition of Laser Altimeter Waveforms,. IEEE Transactions on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38: pp. 1989-1996. https://doi.org/10.1109/36.851780
  16. Holmgren, J (2003), Estimation of Forest Variables using Airborne Laser Scanning. Doctoral thesis, Swedish University of Agricultural Sciences, Umea.

Cited by

  1. 지상 LiDAR에 의한 사면안전진단용 지형정보 취득 vol.31, pp.4, 2011, https://doi.org/10.7848/ksgpc.2013.31.4.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