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Concerns of Primary School Teachers on Transitional Education from Early Childhood Phase to Primary Education

초등학교 입학 초기 적응 교육에 관한 교사들의 관심도 분석

  • Received : 2011.07.01
  • Accepted : 2011.08.30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concern levels of primary school teachers regarding transitional education from early childhood phase to primary education. Concern Based Adoption Model (CBAM) instrument of Hall and Hord (2006) was used to survey 104 primary school teacher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majority of respondents' concern level was at 'informational' level (stage 1). And first peak of concern level was at 'unconcerned' level (stage 0). The first-second peak analysis of stage 0 (unconcerned) group indicated that there were 5 types of groups and each had distinguished features. Finally there were statistical differences at the unconcerned stage by in-service training and career of the first-year class. A discussion of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programs and operational support systems were suggested.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2009).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09-41호에 따른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총론.
  2. 길말선.김대현(2011). 2007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에 대한 중학교 교사들의 관심 분석, 교육과정연구 29(2), 121-143.
  3. 김경자(역)(1993). 교육과정혁신, 서울: 교육과학사.
  4. 김대현.김혜나(2011). CBAM의 관심단계에 관한 쟁점 연구, 수산해양교육연구 23(2), 162-181.
  5. 김민환(2009).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관한 초등학교 교사의 관심 수준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9(3), 87-107.
  6. 김보강(2004). '우리들은 신나는 1학년'교과의 내용 및 운영에 대한 교사의 인식 비교,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석우.이대용.강영이(2011). 중학교 교사들의 수행평가에 관한 관심도와 실행수준 분석, 교육평가 연구 24(1), 31-50.
  8. 김은주, 양무열, 김대현(2010). 2007 개정교육과정 통합교과의 통합단원 실행에 관한 교사들의 관심도 분석, 수산해양교육연구 22(2), 287-302.
  9. 김창복.이경순(2009). 세 초등 교사의 '1학년 교사 되어감'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4(3), 177-205.
  10. 김평국(2004).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과내용 재구성 실태와 그 활성화 방안, 교육과정연구 22(2), 135-161.
  11. 김혜나(2011). CBAM의 실행 측정 도구의 발전과정과 쟁점 분석,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박소영(2011). 시.도교육청 '우리들은 1학년' 교과서 내용 분석, 수산해양교육연구 23(1), 76-92.
  13. 박순경(2005). '우리들은 1학년' 교과의 성격과 지역화의 실태 분석, 교육과정연구 23(3), 187-205.
  14. 박순경(2010). 교육과정 '지역화'의 흐름과 자리매김, 교육과정연구, 28(3), 85-105.
  15. 백경준(2005). '우리들은 1학년' 기초학습 기능 영역의 편성.운영에 관한 연구,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안효일(2007). 통합교과로서 '우리들은 1학년'의 성격과 문제점 및 그 대안, 초등교육연구 20(3), 129-150.
  17. 이미숙(2008). 초등 통합 교육과정 개정 과정에서 시행된 '현장 적합성 검토'의 의의와 비판적 쟁점 분석-'우리들은 1학년'을 중심으로 -, 초등교육연구 21(3), 147-174.
  18. 이미희(2006). '우리들은 1학년' 교육내용 적합성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이은화(1996). 부산시 초등학교의 '신나는 1학년' 프로그램 평가,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이은화(2001). '우리들은 1학년' 교육과정의 조직요소 재구성에 관한 연구, 아시아교육연구 22(2), 167-187.
  21. Christou, C., Eliophtou-Menon, M. & Philippou, G. (2004). Teacher's concerns regarding the adoption of a new mathematics curriculum: An application of CBAM,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es, 57(2), 157-177.
  22. George, A. A., Hall, G. E. & stiegelbauewr, S. M. (2006). Measuring implementaion in schllos: The stages of concern questionnaire, Austin: SEDL.
  23. Hall, G. E. (1974). The concerns-based adoption model: A developmental conceptualization of the adoption process within educational institutions,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tion, Chicago, Illinois.
  24. Hall, G. E., George. A. A. & Rutherford, W. L.(1977). Measuring stages of concern about the innovation: A manual for use of the SoC Questionnaire(report No. 3032). Austin: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 for Teacher Education(ED 147342).
  25. Hall, G. E. & Hord, S. M. (2006). Implementing change: Patterns, principles and potholes(2nd ED.), Needham Heights, MA: Allyn and Bacon.
  26. Rakes, G. C. & Casey, B. B. (2002). An analysis of teacher concerns toward instruc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3(1), Retrieved from, http://www.ao.uiuc.edu/ijet/v3n1/rakes/
  27. Rogers, M. (2004). Diffusion of innovations(5th ed.), New York: The Free Press.
  28. Yeboah, D. A. (2002). Enhancing transition from early childhood phase to primary education: Evidence from the research literature, Early Years, 22(1), 51-68. https://doi.org/10.1080/09575140120111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