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세계기록유산 고려대장경 및 제경판의 디지털화와 대중화

Digitization & Popularization of Printing Woodblocks of the Tripitaka Koreana and Miscellaneous Buddhist Scriptures, Memory of the World

  • 투고 : 2011.02.14
  • 심사 : 2011.03.11
  • 발행 : 2011.03.30

초록

본 연구는 2007년 6월 유네스코가 세계기록유산으로 지정한 '고려대장경 및 제경판'의 디지털화와 대중화를 살펴보기 위해 한국의 세계기록유산과 고려대장경, 고려대장경 및 제경판의 디지털화, 고려대장경 및 제경판 디지털자원의 대중화에 비중을 두어 진행하였다. 고려대장경 및 제경판은 곧 팔만대장경판(국보 제32호)과 그 경판을 봉안한 대장경판전(국보 제52호)을 말하며, 고려 팔만대장경판은 1,514종(경) 81,350판 162,700면이다. 해인사는 이들 경판의 디지털화를 위해 2009년 5월 18일부터 2010년 2월 19일까지 그 1차 사업을 마무리하고, 현재는 2차 사업이 진행되고 있는데 이에 대한 현황과 지속적인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디지털자원의 대중화에 있어서는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재청 및 한국콘텐츠진흥원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는 문화 분야 자원의 통합과 대중화의 성공 사례들을 개관하고 지속사업을 위한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논문은 팔만대장경 및 문화유산을 디지털화하고 그 자원의 활용에 있어서 기초자료로 쓰이는 것은 물론이고 앞으로 진행되는 상호관련 연구영역에도 효과적으로 활용될 것이다.

The present paper is focused on Korea's inscribed heritages, digitization of the Tripitaka Koreana & miscellaneous buddhist scriptures, and public uses of the digital properties in order to describe the Digitization & Popularization of Printing Woodblocks of the Tripitaka Koreana and Miscellaneous Buddhist Scriptures, Memory of the World. The Goryeo Daejanggyeong or the Tripitaka Koreana and miscellaneous Buddhist sculptures refer to printing woodblocks of the Tripitaka(National Treasure No.32), and repositories (National Treasure No.52) where the woodblocks are stored. The woodblocks numbers 1,514 types/81,350 blocks/162,700 pages. Haein temple has worked the digital Tripitaka project 2009-2010 and The project for 2010 will focus on DB correction and modification, improvement of homepage that was made in 2009. For this, the focus was especially put on investigating current status and development plans of the digital Tripitaka project. In popularization of the digital Tripitaka, this study examined the Korea's utilization policy and current situation of knowledge resources about culture, successful cases of digital Tripitaka projects, and popularization strategies. This research can contribute to digitization of other cultural heritages and related researches in the future.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순애. 2010. 고려 팔만대장경의 판각, 봉안 및 판가구성에 관한 연구. 서지학연구, 46: 107-131.
  2. 高麗史. 卷 129. 列傳. 42. 崔沆.
  3. 아돌프 크놀. 2005. 도서관 희귀 자료의 보존과 접근을 위한 디지털화의 표준화. 청주시. 세계 기록유산의 보존.관리와 기록물의 디지털화와 표준 동향. 제1회 유네스코 직지상 기념 국제학술심포지엄 최종보고서.
  4. 원광연. 2010. 한국문화유산의 디지털자원화. 문화재청. 디지털 헤리티지: 문화유산가치의 활성화. 서울: 문화재청.
  5. 李箕永. 1976. 高麗大藏經, 그 歷史와 意義. 동국대역경원 편. 高麗大藏經. 서울: 동국대역경원.
  6. 千惠鳳 . 2003. 고려대장경의 조성과 봉안. 강화부군사편찬위원회 편. 新編江華史. 인천: 강화부군사편찬위원회.
  7. 崔然柱. 2006. 高麗大藏經 硏究. 서울: 景仁文化社.
  8. 한국불교연구원. 1984. 海印寺. 서울: 一志社.
  9. '97문화유산의 해 조직위원회.삼성문화재단. 1997. 한국의 세계문화유산. 서울: 동위원회 및 재단.
  10. http://www.heritage.go.kr/visit/cyber_2008/index.html
  11. http://www.heritage.go.kr
  12. http://www.unesco.or.kr/whc/mow/index.asp
  13. http://edu.kocca.or.kr/contents/cpl/cpl003/01/index.htm
  14. http://www.koreastudy.or.kr
  15. http://www.memorykorea.go.kr
  16. http://www.ugyo.net
  17. http://www.knowledge.go.kr
  18. http://sea.busan.go.kr/index.jsp
  19. http://sea.busan.go.kr/child/index.html
  20. http://seaworld.busan.go.kr/cyber/sub_01.jsp
  21. http://sea.busan.go.kr/index.jsp
  22. http://www.stockmuseum.co.kr
  23. http://www.kisti.re.kr
  24. http://www.i80000.co.kr/cyber/sub01_02.asp?uid=00001&sid=10715&Page=1&k_num=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