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Flexibility in Nomadic Space

노마드적 공간에서 나타나는 유연성에 관한 연구

  • 윤주희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실내설계학과) ;
  • 김개천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실내디자인학과)
  • Received : 2011.04.30
  • Accepted : 2011.06.10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Recently, in the fields of fashion, advertisement, film, literature, philosophy, etc., the word, 'Nomad', is being used frequently across the overall society. The contemporary society is actively incorporating "nomadic thinking" as a new social phenomenon across the boundaries of conventional fields. This is not an exception in the field of space design. This study, via the contemporary nomadic thinking,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space design's application possibility as a new trend and flexible space; then categorized the characteristics of flexible space into flexibility, temporariness, changeability, and correlation; and then analyzed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flexible space. As for unrestricted expression of scene, it was recognized that separation of scene and space leads space to meet the needs of surrounding environment and users; formation of changeable space enables uses of space from various perspectives; and combining external factors (energy, media technologies) with space leads space to self-evolution. Space is perceived as an living organism that is flexibly corresponding, via realistic movement and virtual movement, to the indefinite, diversified thinking of the contemporary society. Therefore, this study illuminates that nomadic thinking has significance as basic thinking to predict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design thinking through understanding the contemporary society with the basic thinking system that has been inherent without restrictions of being fixed to the present, past, and future.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학술진흥재단

References

  1. 김원갑, 건축과 시간속의 운동, 스페이스타임, 2009
  2. 이정우, 사건의 철학, 철학 아카데미, 2000
  3. 이진경, 노마디즘1, 2, 휴머니스트, 2002
  4. Kronenburg, Robert., Flexible : Architecture that responds to change, Laurence King, 2007
  5. Michel Maffesoli, Not sur la postmodernite, Edition Felin, 2003
  6. Mossman, S. T. I., Fantastic plastic : product design + consumer culture, London, UK : Black Dog Pub., C2008
  7. 우노 구니이치, 들뢰즈, 유동의 철학, 이정우, 김동선 역, 그린비, 2008
  8. G. Deluze & F. Guattari, 천개의 고원, 김재인 역, 새물결, 2001
  9. Gundula Englisch, 잡노마드 사회, 이미옥 역, 문예출판사, 1996
  10. H. Lefebvre, 공간의 생산, 양영란 역, 에코리브로, 2011
  11. Jacques Attali, 호모 노마드 유목하는 인간, 이효숙 역, 웅진지식하우스, 2005
  12. Kate Nesbitt, 건축이론 I,II, 최학종 역, 스페이스타임, 2007
  13. Michel Maffesoli, 노마디즘, 최항섭 역, 일신사, 2008
  14. Richard Sennett, 신자유주의와 인간성의 파괴, 조용 역, 문예출판사, 2001
  15. 김민경, 비정형건축의 '열린계(Open System)'로서의 도시 지원 특성,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26권 1호
  16. 김용우, 현대건축의 프로그램 조직화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석사논문, 2008
  17. 박정남, 시대적 변천에 따른 유동적 공간의 특성에 관한 연구, 건대 석론, 2002
  18. 신홍경, 이병선, 21세기 업무공간에 적용된 탈영역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6권 3호, 2007
  19. 염윤정, 모바일뮤지엄의 배경과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석사논문, 2010
  20. 오인혜, 유목적 공간에 관한 연구 : 인스턴트 스페이스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석사논문, 2004
  21. 최영주, 노마디즘의 수용상황 분석과 이해, 프랑스학회 프랑스학 연구 52집, 2010
  22. 이명식, 대한 건축학회지, 2002년 6월호 아티클
  23. 월간 SPACE 514, 2010년 9월호
  24. 월간 SPACE 516, 2010년 11월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