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mmunity Structure of Macrobenthic Assemblages around Gijang Province, East Sea of Korea

동해 기장군 주변해역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

  • Kim, Dae-Ik (Marine Eco-Technology Institute Co., Ltd.) ;
  • Seo, In-Soo (Korea Inter-University Institute of Ocean Science,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Moon, Chang-Ho (Department of Oceanography, Pukyoung National University) ;
  • Choi, Byoung-Mi (Korea Benthos Research Center Co., Ltd.) ;
  • Jung, Rae-Hong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
  • Son, Min-Ho (Marine Eco-Technology Institute Co., Ltd.)
  • Received : 2010.07.07
  • Accepted : 2010.11.09
  • Published : 2011.05.31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mmunity structure and spatio-temporal variation of macrobenthic assemblages around Gijang Province, East Sea of Korea. Macrobenthos collected seasonally using a modified van Veen grab sampler from March to November 2006. A total of 157 macrobenthic fauna were collected. The overall average macrobenthos density were $552 \;ind/m^2$. The species number of macrobenthos was in the range from 62 in winter and spring to 122 in autumn. On the other hand, abundance fluctuated between 6,540 (in spring) and 17,920 (in autumn) inds./$18m^2$. Cluster analysis and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nMDS) were applied to assess the spatio-temporal fluctuation in the macrobenthic assemblages. Cluster analysis and nMDS ordination analysis based on the Bray-Curtis similarity identified 3 station groups. The group 1 (station 8~10, 12, 13, 17 and 18) was characterized by high abundance of the polychaete Lumbrineris longifolia, the bivalve Ennucula tenuis and the Amphipoda spp., with mean phi range from $6.2{\Phi}$ to $7.1{\Phi}$ (above 50m water depth). The group 2 (station 5~7, 11, 14~16) was numerically dominated by the po1ychaete Ampharete arctica and the bivalve Theorafragilis (mean phi: $6.0{\sim}7.0{\Phi}$; within 40 m water depth). Finally group 3 (station 1~4) was characterized by high density of the polychaetes Magelona japonica and Sternaspis scutata, with mean phi range from $3.5{\Phi}$ to $6.9{\Phi}$ (below 30 m water depth). In conclusion, the Macrobenthic community structure showed a distinct spatial and temporal trend, which seemed to be related to the water depth and sediment composition.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기장군 주변해역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출현 종수, 개체수, 생체량 및 군집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2006년 3월부터 11월까지 계절별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해역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은 총 157종/$18m^2$과 552개체/$m^2$ 이었다 출현 종수는 최소 62종/$1.8 m^2$(동계와 춘계)에서 최대 122종/$l.8 \;m^2$ (추계)의 범위를 보였다. 반면 개체수는 6,540~17,920개체/$18m^2$의 범위에 춘계에 가장 적었고, 추계에 가장 많았다. 본 연구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개체수 자료를 기초로 군집분석(집괴분석과 다차원배열법)을 실시한 결과, 대형저서동물 군집은 크게 3개의 그룹으로 구성되었다. 그룹 1은 외해역에 위치한 수섬 50m 이상과 평균입도 $6.2{\sim}7.1{\Phi}$범위의 정점 8~ 10, 12, l3, 17 및 18이, 그룹 2는 수심 40 m 내외의 평균입도 $6.0{\sim}7.0{\Phi}$를 나타내는 정점 5~7, 11과 14~16으로 구성되었다. 마지막으로 그룹 3은 수심 30 m 이하의 평균입도 $3.5{\sim}6.9{\Phi}$ 범위를 보이는 정점 1~4가 포함되었다. 각 그룹별 우점종을 보면, 그룹 I에서는 긴자락송곳갯지렁이 (Lumbrineris longifolia), 북방호두조개(Ennucula tenuis) 및 미동정 옆새우류(Amphipoda spp.)가, 그룹 2에서는 이매패류의 아기반투명조개 (Theora fragilis)와 다모류의 작은사슴갯지렁이 (Ampharete arctica)등이 특정적이었다. 그룹 3은 다모류의 양손갯지렁이 (Magelona japonica)와 오뚜기갯지렁이 (Sternaspis scutata)의 밀도가 우세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본 연구해역에 서식하는 대형 저서동물의 군집구조와 시공간적 분포패턴은 해역의 수심과 퇴적상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백상규, 강래선, 전재옥, 이재학, 윤성규, 2007. 동해 후포주변 사질조하대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군집의 분포특성. Ocean and Polar Research, 29: 123-134. https://doi.org/10.4217/OPR.2007.29.2.123
  2. 한국해양대학교 해양과학기술연구소, 2007. 고리원전 4개호기 가동에 따른 기장지역 온배수 영향 어업피해조사II. 463pp.
  3. 서인수, 문형태, 최병미, 김미향, 김대익, 윤재성, 변주영, 최유창, 손민호, 2009. 월성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 환경생물, 27: 341-352.
  4. 손주희, 2006. 동해안 고리 주변 해역 저서동물군집의 구조.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11pp.
  5. 송준임, 이인숙, 원정혜, 1995. 한국 온산만에서의 해산 무척추동물의 생태학적 연구. 환경생물학회지, 13: 131-151.
  6. 신연주, 2007. 동해안 고리원전 주변 조하대의 대형저서동물군집의 구조.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54pp.
  7. 신현출, 최성순, 고철환, 1992. 영일만 다모류 군집의 계절별, 공간적 변화. 한국해양학회지, 27: 46-54.
  8. 신현출, 윤성명, 고철환, 2001. 울산만과 온산만 저서동물군집의 공간분포.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6(3): 180-189.
  9. 임현식, 최진우, 2001. 남해안 소리도 주변 연성저질 해역의 저서 동물 분포. 한국수산학회지, 34(3): 225-237.
  10. 윤상필, 정래홍, 김연정, 김성수, 이재성, 박종수, 이원찬, 최우정, 2007. 가막만의 저서환경과 다모류 군집 특성.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12(4): 287-304.
  11. 윤상필, 정래홍, 김연정, 김성길, 최민규, 이원찬, 오현택, 홍석진, 2009. 울산만의 저서환경 구배에 따른 저서동물군집 구조.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14(2): 102-117.
  12. 정래홍, 1997. 연안해역 개발에 따른 해양 저서생태계의 장기변동 연구. 인하대학교 이학박사학위청구논문, 306pp.
  13. 정혜윤, 2006. 동해안 고리주변 해역 하계 저서동물 군집의 변화.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82pp.
  14. 정래홍, 홍재상, 이재학, 1997. 광양제철소 건설을 위한 매립과 준설공사 기간 중 저서 다모류 군집의 공간 및 계절 변화. 한국수산학회지, 30: 730-743.
  15. 정래홍, 임현식, 김성수, 박종수, 전경암, 이영식, 이재성, 김귀영, 고우진, 2002. 남해안 가두리 양식장 밀집해역의 대형저서동물 군집에 대한 연구.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7(4): 235-246.
  16. 최진우, 제종길, 이재학, 임현식, 2000. 동해 강릉 연안의 사질 퇴적물에 서식하는 대형 저서무척추동물의 분포양상. 한국해양학회지, 5: 346-356.
  17. 최진우, 현상민, 장만, 2003. 저서동물에 의한 여름철 광양만의 저서환경 상태파악. 환경생물학회지, 21: 103-113.
  18.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 1991. 울진 원자력 3, 4호기 건설사업 환경영향평가서. 대전, 520pp.
  19.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 2001. 고리원자력발전소 주변 일반환경 조사 및 평가 보고서(2000년보). 01전력연-단072, 355pp.
  20.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 2003. 고리원자력발전소 주변 일반환경 조사 및 평가 보고서(2002년보). 03전력연-단097, 314pp.
  21.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 2005. 고리원자력발전소 주변 일반환경 조사 및 평가 보고서(2004년보). 05전력연-단123, 324pp.
  22. 홍재상, 서인수, 2001. 인천 송도지역 척전 갯벌 대형저서동물의 군집 생태학.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6: 190-200.
  23. Bray, J.R. and J.T. Curtis, 1957. An ordination of the upland forest communities of Southern Wisconsin. Ecol. Monogr., 27: 325-349. https://doi.org/10.2307/1942268
  24. Byers, J., 2000. Competition between two estuarine snails: implications for invasions of exotic species. Ecology, 81: 1225-1239. https://doi.org/10.1890/0012-9658(2000)081[1225:CBTESI]2.0.CO;2
  25. Diaz, R.J., G.R. Jr. Cutter and D.M. Dauer, 2003. A comparison if two methods for estimating the status of benthic habitat quality in the Virginia Chesapeake Bay. J. Exp. Mar. Biol. Ecol., 285-286.
  26. Folk, R.L. and W.C. Ward, 1957. Brazos river bar: A study in the significance of grain-size parameters. J. Sed. Pet., 27: 3-27. https://doi.org/10.1306/74D70646-2B21-11D7-8648000102C1865D
  27. Gray, J.S., 1974. Animal-sediment relationship. Oceanogr. Mar. Biol. Ann. Rev., 12: 233-261.
  28. Gray, J.S., 1981. The Ecology of Marine Sediment. Cambridg Univ. Press, London, 185pp.
  29. Hartley, J.P., 1982. Methods for monitoring off-shore macrobenthos. Marine Pollution Bulletin, 13: 150-154. https://doi.org/10.1016/0025-326X(82)90084-4
  30. Hentschel, B.T. and P.A. Jumars, 1994. In situ chemical inhibition of benthic diatom growth affects recruitment of competing, permanent and temporary meiofauna. Limnol. Oceanogr., 39: 816-838. https://doi.org/10.4319/lo.1994.39.4.0816
  31. LeBris, H., 1988. Fonctionnement des Ecosystemes Benthiques Cotiers au Contact d'Estuaire: la Rade de Lorient et la Baie de Vilaine. These de Doctorat, Universite de Bretagne Occidentale, Brest, France, 311 pp.
  32. Levintion J. S., 1995. Marine Biology-Function, Biodiversuty, Ecology-Oxford Univ. Press Inc., New York. 420pp.
  33. Magalef, R., 1958. Information theory in ecology. Gen. Syst., 3: 36-71.
  34. Peterson, C.H., 1991. Intertidal zonation of marine invertbrates in sand and mud. Amer. Sci., 79: 236-249.
  35. Pielou, E.C., 1977. Mathematical Ecology. Wiley Company, New York, 164pp.
  36. Rhosds, D.C., 1994. Organism-sediment relations on the muddy sea floor. Oceanogr. Mar. Biol. Ann. Rev., 12: 263-300.
  37. Rhoads, D.C. and D.K. Young, 1970. The influence of deposit feeding organisms on sediment stability and community trophic structure. J. Mar. Res., 28: 150-178.
  38. Robert, R.D., M.R. Gregory and B.A. Foster, 1998. Developing an efficient macrofauna monitoring index from an impact study-A dredge spoil example. Marine Pollution Bulletin, 36: 231-235. https://doi.org/10.1016/S0025-326X(97)00183-5
  39. Shannon, C.E. and W. Weaver, 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 Illinois Pre., Urbana, 125pp.
  40. Snelgrove, P.V.R and C.A. Butman, 1994. Animal-sediment relationships revisited: cause vs effect. Oceanogr. Mar. Biol. Ann. Rev., 32: 111-127.
  41. Whitlatch, R.B., 1977. Seasonal changes in the community structure of the macrobenthos the interidal sand and mud flats of Barnstable Harbor, Massachusetts. Biol. Bull., 152: 257-294.
  42. Yi, S.K., J.S. Hong and J.H. Lee, 1982. A study on the subtidal benthic community in Ulsan Bay, Korea. Bull. KORDI, 4: 17-26.

Cited by

  1. Community Structure and Health Assessment of Macrobenthic Assemblages at Spring and Summer in Garorim Bay, West Coast of Korea vol.20, pp.5, 2014, https://doi.org/10.7837/kosomes.2014.20.5.491
  2. Community Structure and Health Assessment of Macrobenthic Assemblages at Spring and Summer in Cheonsu Bay, West Coast of Korea vol.19, pp.4, 2014, https://doi.org/10.7850/jkso.2014.19.4.272
  3.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s of Fishes Collected by Set Net in Coastal Waters of Gijang, Korea vol.47, pp.6, 2014, https://doi.org/10.5657/KFAS.2014.0983
  4. 울산 연안 해역 저서다모류 군집의 시·공간 변동 및 저서건강도 평가 vol.40, pp.4, 2011, https://doi.org/10.4217/opr.2018.40.4.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