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Utilization of DEM Made by Digital Map in Height Evaluation of Buildings in a Flying Safety Area

비행안전구역 건물 높이 평가에서 수치지형도로 제작한 DEM의 활용성

  • Park, Jong-Chul (Geographic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Institute, Kongju Nat'l Univ.) ;
  • Kim, Man-Kyu (Department of Geography, Kongju Nat'l Univ.) ;
  • Jung, Woong-Sun (Department of Military Science Intelligence, Kongju Nat'l Univ.) ;
  • Han, Gyu-Cheol (Department of Military Science Intelligence, Kongju Nat'l Univ.) ;
  • Ryu, Young-Ki (Department of Military Science Intelligence, Kongju Nat'l Univ.)
  • 박종철 (공주대학교 지리정보과학연구소) ;
  • 김만규 (공주대학교 지리학과) ;
  • 정웅선 (공주대학교 군사과학정보학과) ;
  • 한규철 (공주대학교 군사과학정보학과) ;
  • 류영기 (공주대학교 군사과학정보학과)
  • Received : 2011.06.20
  • Accepted : 2011.08.02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This study has developed various DEMs with different spatial resolutions using many different interpolation methods with the aid of a 1:5,000 digital map. In addition, this study has evaluated the vertical accuracy of various DEMs constructed by check point data obtained from the network RTK GPS survey. The obtained results suggest that a DEM developed from the TIN-based Terrain method performs well in evaluating height restriction of buildings in a flying safety area considering general RMSE values, land-type RMSE values and profile evaluation results, etc. And, it has been found that three meters is the right spatial resolution for a DEM in evaluating height restriction of buildings in a flying safety area. Meanwhile, elevation values obtained by the DEM are not point estimation values but interval estimation values. This can be used to check whether the height of buildings in the vicinity of an airfield violates height limitation values of the area. To check whether the height of buildings measured in interval estimation values violates height limitation values of the area, this study has adopted three steps: 1) high probability of violation, 2) low probability of violation, 3) inconclusiveness about the violation. The obtained results will provide an important basis for developing a GIS related to the evaluation of height restriction of buildings in the vicinity of an airfield. Furthermore, although results are limited to the study area, the vertical accuracy values of the DEM constructed from a two-dimensional digital map may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researchers who try to use DEMs.

본 연구에서는 1:5,000 수치지형도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보간 방법으로 다양한 공간해상도를 갖는 여러 가지 DEM을 제작하였다. 그리고 제작한 다양한 DEM의 수직정확도를 network RTK GPS survey를 통해 획득한 다수의 검사점 자료를 활용하여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전반적인 RMSE 값, 토지 유형별 RMSE 값 및 단면 평가(profile evaluation) 결과 등을 고려할 때 TIN 기반의 Terrain 방법으로 제작한 DEM이 비행안전구역에서의 신축건물 고도제한 평가에 유용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비행안전구역에서의 신축건물 고도제한 평가에 적합한 DEM의 공간해상도는 3m임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제작한 DEM으로 획득한 지형고도 값(elevation value)은 점 추정 값(point estimation value)이 아닌 구간 추정 값(interval estimation value)이다. 이는비행장 주변의 잠재적인 신축 예정 건물의 높이가 그 지역에 설정된 제한 고도 값(height limitation value)에 저촉되는지에 대한 여부를 평가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구간 추정 값인 신축건물의 높이 값이 제한 고도 값에 저촉될 가능성을 3단계로 나누어 평가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1) 저촉 가능성 매우 높음, 2) 저촉 가능성 매우 낮음, 3) 저촉 가능성 판단 어려움. 본 연구의 결과는 비행장 주변 건물 고도제한 평가 관련 지리정보시스템(GIS)을 개발하는 데 중요한 기초를 제공한다. 아울러, 연구지역에 한정된 값이기는 하지만, 2차원 수치지형도를 활용하여 제작한 DEM의 수직정확도 값은 DEM을 이용하고자 하는 연구자들에게 의미 있는 유용한 정보가 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방부. 2008. 군사기지 및 군사시설 보호법. 법률 제9780호(시행 2009. 9. 10).
  2. 국토지리정보원. 2002. 수치표고자료구축에관한작업규정. 국토지리정보원 내규 제 2002-17호(시행 2002. 12. 24).
  3. 국토해양부. 2009. 항공법 시행령. 대통령령 제21719호(시행 2009. 9. 10).
  4. 권오준. 2005. NGIS 수치지형도를 이용한 효율적인 홍수범람모의용 지형자료 구축방안의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공학석사학위논문. 4-45쪽.
  5. 김만규, 박종철. 2008. 수치표고모형(DEM)의 해상도가 물리 결정 일괄 매개변수수문모형 의 모의 결과에 미치는 영향 평가.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1(3):151-165.
  6. 여창환, 장영진. 2011. 수치지형도를 활용한 가시권 분석의 적정 분석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4(1):40-48.
  7. 이기욱, 황철수. 2006. DEM 오차 평가를 위한 기준점의 공간분포특성. 지리학연구 40(4):563-572.
  8. 정윤재, 박현철, 정연인, 조명희. 2011. 라이다 데이터와 항공 정사영상을 활용한 인공 제방선 지도화.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4(1):84-93.
  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1. 한국지형에 적합한 수치표고모형 구축방안 연구. 1-178쪽.
  10. ESRI. 2006. ArcGIS 9.2. Environmental System Research Institute, Redlands, USA.
  11. FGDC. 1998. National standard for spatial data accuracy. In: Federal Geographic Data Committee Secretariat c/o U.S. Geological Survey. Geospatial Positioning Accuracy Standards. National Center, Virginia, USA, pp.1-25.
  12. Hutchinson, M.F. 1989. A new procedure for gridding elevation and stream line data with automatic removal of spurious pits. Journal of Hydrology 106:211-232. https://doi.org/10.1016/0022-1694(89)90073-5
  13. Li, Y. and L. Yang. 2009. Based on delaunay triangulation DEM of terrain model. Computer and Information Science 2(2):137-140.

Cited by

  1. Estimating Method of Topographic Factor of Design Wind Speed Using GIS vol.16, pp.3, 2013, https://doi.org/10.11108/kagis.2013.16.3.126
  2. Effect of parameter optimization for relative favorability function model on predictability in land cover change vol.26, pp.3, 2011, https://doi.org/10.35149/jakpg.2016.26.3.006
  3. Estimation Algorithm for Topographic Factor of Wind Load Based on Spatial Information vol.19, pp.6, 2011, https://doi.org/10.9798/kosham.2019.19.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