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치표고모형

Search Result 177,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To Evaluate the Accuracy of DEMs Derived from the Various Spectral Bands of Color Aerial Photos (컬러항공사진의 밴드별 수치표고모형 정확도 평가)

  • Kim, Jin-Kwang;Hwang, Chul-Su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5 no.1
    • /
    • pp.9-17
    • /
    • 2007
  • In this study, Digital Elevation Models (DEMs) were constructed from color images, grayscale images and each bands (Red, Green, Blue) of color image, and the accuracies of each DEMs were evaluated, And then,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left and right images of each stereopairs were analyzed. The DEM can be constructed conventionally from the digital map and stereopair images using image matching. The image matching requires stereo satellite images or aerial photographs. In case of rotor aerial photographs, these are to be scanned in 3 bands (Red, Green, Blue). For this study, 5 types of images were acquired; color, grayscale, RED band, GREEN band, and BLUE band image. DEMs were constructed from 5 types of stereopair images and evaluated using elevation points of digital maps. In order to analyze the cause of various accuracies of each DEMs, the similarity between left and right images of each stereopairs were analyzed. Consequently, the accuracy of the DEM constructed from RED band images of color aerial photograph were proved best.

Utilization Methods and Generation DEMs by Using Aerial Photographs (항공사진을 이용한 수치표고모형 생성과 활용방안)

  • Choi, Hyun;Hong, Soon-He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7 no.3
    • /
    • pp.168-175
    • /
    • 2007
  • The flood caused landslide disaster each year because of climate change. And the change of topography from an earthquake makes topographical analysis impossible. This paper performed an investigation about a utilization methods and generation DEM(Digital Elevation Model) after digital aerial photographs quickly when the topographical change happens. Stereo imagery that was collected through digital aerial photographs made a generation of DEM possible. A standard deviation of generated DEM is 0.864m which is somewhat high but shows the real topography. As a result, it should be possible to generate DEM by using aerial photographs in case of the change of topography.

Comparative Analysis of Terrain Slope Using Digital Map, LiDAR Data (수치지형도와 LiDAR 데이터를 이용한 지형경사도 비교분석)

  • Kang, Joon-Mook;Yoon, Hee-Cheon;Min, Kwan-Sik;Rhee, Won-Yo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5 no.4
    • /
    • pp.3-9
    • /
    • 2007
  • Recently, the efforts of systematic understanding and utilization of geographic phenomenon for human life as a important factor among activity of mankind are increasing. It is necessary to express topography connected with space. Especially, the technology of geographic analysis using DEM can supply the information rapidly and accurately about elevation and terrain slope of the subject area under the necessity of high 3D quality geographic information. In this study, creating more precise DEM derived from LiDAR data, quantitative analysis on the subject area about elevation and terrain slope is done under comparison with Digital Topographic map Scale 1:1000. LiDAR data is more detailed than Digital Topographic map to express the elevation of the subject area ($39.89{\sim}77.48m$), and terrain slope by analysis using DEM derived from LiDAR data come out minutely about 90%.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LiDAR data is very applicable and accurate for 3D topographic terrain slope analysis.

  • PDF

Accuracy Analysis of River Topography Using Advanced Technology (첨단기술기반 하천 및 주변지형 측정 자료의 정확도 분석)

  • Jeong, Changsam;Shin, Hongjoon;Ahn, Jeong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382-382
    • /
    • 2015
  • 하천 및 그 주변을 포함한 지형에 대한 정밀 측량 자료의 구축은 장기적인 수자원 계획 및 정책을 수립하는데 중요한 요건이 된다. 최근 들어 무인 항공기의 사진측량시스템을 이용하여 수치 표고모형을 구축하는 연구가 진행 중에 있으며, 이를 기존 하도측량 자료와의 통합 과정을 통해 하천 및 주변지형 측정에 대한 자료 구축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무인 항공기와 무인 하천유량측정용 원격조정보트를 이용하여 측정된 주변 지형 및 하천 지형 자료를 통합하고 이를 공인된 측정 자료와의 비교를 통해 본 연구 결과의 정확성과 이에 따른 측정방법의 효율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낙동강 강정고령보 하류부 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무인 항공기와 무인 하천유량측정용 원격조정보트를 이용하여 지형자료를 측정하였다. 이 측정 자료를 하나의 자료로 통합하여 수치표고모형을 구축하였고 이를 국토지리정보원의 1:5,000 수치지도를 이용하여 5m 간격으로 구축한 수치표고모형과 비교하여 그 정확도를 비교해보았다. 그 결과 측정완료시부터 표준화된 데이터 생성 완료시까지의 시간을 기준으로 기존 측량방법 보다 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1:5,000 수치지도를 이용하여 구축한 수치표고모형 자료와 정확도를 비교해볼 때 실무에 적용 가능한 수준 내로 오차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광학 영상을 사용한 해안선과 해안지형 자동 생성 연구

  • 김승범;이해연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1.03a
    • /
    • pp.19-24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해안지역의 광학 영상을 사용하여 수치 표고 모형을 생성하는데 있어서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해결방법을 제시하였다. 수치 표고 모형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영상 정합, 절대 표정, 영상 편집 및 영상 보간 등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기존 영상 정합 및 보간 방법의 경우 해안 지역에 대한 고려가 없어 바다에서도 표고값이 계산된다. 그러나 영상 상에서 바다에 해당하는 지역은 특성이 존재하지 않아 정확히 정합점을 찾기 어려워 대부분의 경우 이렇게 계산된 표고값은 심각한 오차로 이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영상 정합과 영상 보간에 있어서 해안선에 대한 고려를 통해 생성된 수치 표고 모형의 정확도를 높이고자 한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생성한 수치 표고 모형은 정확도와 생성시간에 있어서 상용 소프트웨어 보다도 우수하다. 또한 본 논문에서 제시한 방법은 해안 지역의 영상 뿐만 아니라 산악이나 도시 지역에 적용될 수 있다.

  • PDF

Positional Precision Improvement of RFM by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Production of DEMs (상관도 분석을 통한 RFM의 위치 정확도 분석 및 수치표고모형의 제작)

  • Sohn, Hong-Gyoo;Sohn, Duk-Jae;Park, Choung-Hwan;You, Hyung-Uk;Pi, Mun-Hui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2.03a
    • /
    • pp.27-33
    • /
    • 2002
  • 최근 들어 다항식비례모형(RFM: Rational Function Model)은 비전문가에게 있어서 지형보정을 위한 정확도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센서 종류에 상관없이 적용 가능한 범용적인 센서모델링 기법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러나 엄밀(physical) 모델이 없는 센서 혹은 위성의 궤도력 자료를 제공하지 않는 센서의 경우 다항식비례모형의 적용을 위해서는 다수의 매개변수 사용으로 인한 계수들 간의 상관성을 고려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차 다항식비례모형에 기초하여 전방 다항식비례모형(Forward RFM)과 상관도 분석을 통한 전방 다항식비례모형의 이른 및 위치정확도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대상연구지역은 KOMPSAT(Korea Multi-Purpose Satellite)과 SPOT으로 촬영한 대전광역시와 그 주변지역으로 SPOT과 KOMPSAT 모두 상관성 분석 전에는 대략 50% 정도의 검사점에 대해 과대오차(>100m)가 얻어졌으며, 이 점들을 제외한 검사점에 대해서도 SPOT은 평균수평오차 20-24m, 평균표고오차 25m, KOMPSAT은 평균수평오차 15-24m, 평균표고오차 30m를 나타내었다. 전방 다항식비례모형에 대하여 상관성 분석을 수행한 후에는 검사점에 대한 모든 과대오차 조정결과가 소거되었고 검사점에 대해서 SPOT은 평균수평오차 8.8m, 평균표고오차 25.2m, KOMPSAT은 평균수평오차 8.4m, 평균표고오차 14.5m를 나타내었다. 최종적으로 연구지역에 대한 수치표고모형의 제작을 통해 상관도 분석을 통한 다항식비례모형의 실제 적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 PDF

Incremental Insertion Method(IIM)를 이용한 TIN 생성 프로그램 개발

  • 김윤형;염재홍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3.04a
    • /
    • pp.608-615
    • /
    • 2003
  • 수치지도에 존재하는 등고선의 절점(Vertex)과 표고점을 이용해서 수치표고모형을 생성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TIN을 이용한 방법이 사용된다. 불규칙적으로 분포되어져 있는 데이터를 이용해서 TIN을 구성하는 알고리즘은 여러가지가 존재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Incremental Insertion Method(IIM)를 이용하였다. 하천이나 인위적인 작업으로 지형이 급격하게 변화되는 지형을 TIN 에 표현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Break Line 이 본 연구에 적용되었으며, 절점(Vertex)이나 표고점이 잘못된 높이 값을 가짐으로써 수치표고모형에 발생하는 왜곡을 보정하기 위해서 이들 데이터를 TIN에서 제거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졌다.

  • PDF

Driving Simulation after Road Design by 3D-GIS in Digital Elevation Model from Digital Aerial Photogrammetry (수치항공사진에서 생성된 수치표고모형에서 3차원 GIS를 이용한 도로설계와 모의주행)

  • Choi, Hyu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2 no.1
    • /
    • pp.143-148
    • /
    • 2008
  • This Study is about driving simulation after road design by 3D-GIS in digital elevation model from digital aerial photogrammetry. For designing roads efficiently it's very important to consider geographical features before design when analyze the view. Nevertheless, existing studies is mainly restricted in the mountainous, despite of using digital map or aerial photogrammetry and the study which used aerial photo in the area where the road designing is made really is not get executed. Therefore, this study will do 3D-road design and driving simulation by appling really road design data to topography, on the basis of digital elevation generated from aerial photogrammetry.

A Generation of Digital Elevation Model for GSIS using SPOT Satellite Imagery (GSIS의 자료기반 구축을 위한 SPOT 위성영상으로부터의 수치표고모형 생성)

  • Yeu, Bock-Mo;Park, Hong-Gi;Jeong, Soo;Kim, Won-Dae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 no.1 s.1
    • /
    • pp.141-152
    • /
    • 1993
  • This study aims to generate digital elevation model from digital satellite imagery. Digital elevation model is being increasingly used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database development and for digital map production. Image matching technique was applied to acquire conjugate image coordinates and the algorithm for digital elevation model generation is presented in this study The exterior orientation parameters of the satellite imagery is determined by bundle adjustment and standard correlation was applied for image matching conjugate of image points. The window as well as the searching area have to be defined in image matching. Different sizes of searching area were tested to study the appropriate size of the searching area. Various coordinate transformation methods were applied to improve the computation speed as well as the geometric accuracy. The results were then statistically analysed after which the searching area is determined with the safety factor. To evaluate the accuracy of digital elevation model, 3-D coordinates were extracted from 1/5000 scale topographic map and this was compared to the digital elevation model generated from satellite imagery. The algorithm for generation of digital elevation model generated from satellite imagery is presented in this study which will prove effective in the database development of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and in digital elevation modelling of large areas.

  • PDF

A Study on the Evaluation for DEM Generation Accuracy by SPOT Image (SPOT 영상에 의한 DEM 생성 정확도 평가방법 연구)

  • 임영빈;이용욱;권용대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Conference
    • /
    • 2002.04a
    • /
    • pp.167-172
    • /
    • 2002
  • 본 연구는 GPS를 이용하여 위성 영상의 입체 해석으로 산출된 SPOT영상의 기준점 및 수치 표고 모형의 평가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삼각점 및 상시관측소를 고정으로 한 GPS 해석을 수행하였으며 정지측량과 이동측량의 정확도를 비교함으로써 위성 영상의 기준점과 수치 표고 모형의 평가를 위한 측량 방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SPOT영상의 해상력을 고려할 때, 이동 GPS측량기법으로도 수치 표고 모형의 정확도 평가가 가능하였으며, 기준점 좌표 산출에 있어서 고정점에 삼각점 대신 상시관측점들을 사용함으로써 경제적인 GPS 측량을 꾀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