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valuation of Environment Friendly High Performance Ternary Cement Concrete Deck Overlay Pavement by Experimental Construction

시험시공을 통한 친환경 고성능 3성분계 시멘트 콘크리트 교면 포장의 성능 평가

  • Received : 2011.01.27
  • Accepted : 2011.03.14
  • Published : 2011.06.15

Abstract

This study experimented to evaluate the environment friendly high performance ternary cement concrete deck overlay pavement using mineral admixture such as fly ash and ground granulated blast-furnace slag. It was measured to find best binder mixing according to replacement rate of mineral admixture with compressive strength and flexural strength. After finding best binder, it is also experimented to evaluate durability on chloride penetration resistance, freezing- thawing resistance, scaling resistance of deicing chemicals, abrasion resistance, alkali-silica reactivity test and bonded environment friendly high performance ternary cement concrete deck overlay pavement experimented to evaluate bonded old deck and new concrete overlay pavement using special polymer cement mortar. In additions, bonded environment friendly high performance ternary cement concrete deck overlay pavement by experimental construction was evaluated at interchange bridge of North Yeoju. Result, examination was indicated better binding with binder replacement of cement 70%, ground granulated blast-furnace slag 15% and fly ash 15%. And special polymer cement mortar used in old deck and new overlay concrete was indicated better bonding both laboratory and construction.

본 연구에서는 고로슬래그 미분말 및 플라이애시와 같은 광물질 혼화재를 사용한 친환경 고성능 3성분계 시멘트 콘크리트 교면 포장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험을 하였다. 광물질 혼화재의 혼입률 변화에 따른 3성분계 시멘트 콘크리트의 최적배합을 찾기 위하여 압축강도 및 휨강도 시험을 하였으며 최적배합을 사용하여 내구성 시험인 염소이온 침투저항성, 동결융해, 박리 저항성, 균열 저항성 및 알칼리골재반응 시험으로 친환경 고성능 3성분계 시멘트 콘크리트 교면 표장의 내구성 평가 및 신 구 콘크리트의 부착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부착강도 시험을 하였다. 시험결과, 시멘트 70%, 고로슬래그 미분말15% 및 플라이애시 15%의 배합 바인더에서 압축강도 및 휨강도가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이를 최적배합으로 도출하였다. 실내 및 시험시공에서 최적 배합을 사용한 실험결과는 염소이온 침투 저항성, 동결융해 저항성, 표면박리 저항성, 알칼리골재 반응 억제 및 내마모성이 우수하게 나타났다. 또한, 특수 제작된 Polymer Cement Mortar(Brooming)를 사용한 신 구 콘크리트의 부착력에서도 우수한 성능을 나타냈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속도로공사 전문시방서 토목편(2006), 한국도로공사, 10-26
  2. 국토해양부(2008) "한국형 포장설계법 개발과 포장성능 개선방안 연구", 2단계 4차년도 최종보고서.
  3. 박대근(2004) "무근콘크리트포장 초기균열 거동 연구", 한국도로학회 논문집, No.6-2, pp.47-59
  4. 원종필(2009) "질산칼륨 혼화재를 사용한 대단면 급속 포장 콘크리트의 균열 및 내구 특성", 콘크리트학회 논문집, 제 29호 14편 pp.101-108
  5. 한국건설기술연구원(2006) "콘크리트 교량의 내구성 향상 기술 개발", 2006-086
  6. 한승환(2010) "친환경 시멘트 콘크리트포장 연구 개발 동향", 한국도로학회, No.12-2
  7. 홍승호, 한승환, 윤경구(2006) "알칼리-실리카 반응에 의한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 파손사례", 콘크리트학회 논문집, 18권 제3호 pp.355-360
  8. 井元晴丈, 坂井悅郞, 宮原茂禎, 大門正機(2003) "混合セメントの水 和反應に及ぼす混和材の種類とキャラクタの影響", セメン ト. コンクリト論文集, No.57, pp.30-37
  9. J. Mat(2002) "Effect of Source of Fly Ash on Abrasion Resistance of Concrete",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ume 14, Issue 5, pp. 417-426
  10. Masaki Daimon, Seung-Heum Lee(2005) "Hydration of fly ash cement",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35, pp.1135-1140 https://doi.org/10.1016/j.cemconres.2004.09.008
  11. Michael D.A. Thomas, Phil B.Bamforth(1999) "Modelling chloride diffusion in concrete effect of fly ash and slag",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29, pp.487-495 https://doi.org/10.1016/S0008-8846(98)00192-6
  12. P.Kumar Mehta,.Paulo J.M.Monteiro(2006) "concrete microstructure properties and materials", pp110-120
  13. P.S Song, S. Hwang, B.C. Sheu(2005) "Strength properties of nylon and polypropylene fiber reinforced concretes",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35, pp.1546-1550 https://doi.org/10.1016/j.cemconres.2004.06.033
  14. T.C. Powers(1958) "The Physical Structure and Engineering Properties of Concrete", Portalnd Cement Association, Bullettin 90
  15. Zia, P., Leming, M.L., Ahmad, S.H.(1991)", High Performance Concrete A State of the Art Report", Strategic Highway Research Program, SHRP C/FR 91-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