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Typology of Early Elderly Over 55 Years Using The Korean Time Use Survey from 2009

중.고령자의 생활시간 유형화 연구

  • Chae, Hwa-Young (Dept. Consumer Studies & Resource Management,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im, Joo-Hee (Dept. Consumer Studies & Resource Management, Seoul National University) ;
  • Lee, Ki-Young (Dept. Consumer Studies & Resource Management, Seoul National University)
  • 채화영 (서울대학교 소비자아동학부) ;
  • 김주희 (서울대학교 소비자아동학부) ;
  • 이기영 (서울대학교 소비자아동학부)
  • Received : 2011.04.01
  • Accepted : 2011.05.25
  • Published : 2011.05.31

Abstract

This study is daily life research which aims to explore people's daily lives using a time dairy surve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ypology of early, elderly over 55-year-olds using the 2009 Korean Time Use Survey. The results suggest that each man and woman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ree dimensions which are work time, housework time, and leisure time. Four groups of men are described: the work and leisure balanced type, the work-oriented type, the leisure-oriented type, and the leisure with housework type. Four groups of women are illustrated: the work-oriented type, the leisure-oriented type, the housework-oriented type, and the passive type. The eight groups are characterized by age, education, income, spouse, gender role, lack of time, and satisfaction of time use.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서울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References

  1. 강수택(1998). 근대적 일상생활의 구조와 변화. 한국사회학, 32, 503-529.
  2. 고용상 연령차별금지 및 고령자고용촉진에 관한 법률 시행령. 대통령령 제22795호.
  3. 김연주.차경욱(2008). 완전은퇴와 부분은퇴 집단의 특성 비교 및 결정요인 분석. 소비자정책교육연구, 4(3), 59-79.
  4. 김영범.이승훈(2008). 한국 노인의 사회활동과 주관적 안녕감 : 서울 및 춘천 노인을 대상으로. 한국노년학, 28(1), 1-18.
  5. 김은경.김응렬(2002). 노인의 생활시간 구조 분석.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 17, 145-175.
  6. 김정석(2005). 한국 중년 남녀의 무급노동내용과 시간량. 한국인구학, 28(1), 173-201.
  7. 김정석(2010). 준고령층 부부의 식사관련행위. 한국인구학, 33(3), 123-142.
  8. 김주현(2007). 생활시간사용으로 본 노년기 생산적 활동. 한국노년학, 27(4), 739-754.
  9. 김주현.한경혜(2001). 노년기 자원봉사활동과 자아존중감. 한국노년학, 21(2), 209-224.
  10. 김진욱(2006a). 한국 노인의 생산적 활동에 관한 실증연구 -1999년과 2004년 생활시간조사자료 분석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25(8), 133-158.
  11. 김진욱(2006b). 한국 노인의 생활시간에 관한 연구 -2004년 생활시간조사 자료에 나타난 노인이 일, 가족, 여가생활 분석을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32, 149-177.
  12. 나항진(2004).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노인 여가의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4(1), 53-70.
  13. 마페졸리, M..르페브르 H. 외 저, 박재환외 역(1994). 일상생활의 사회학. 한울아카데미.
  14. 미래에셋퇴직연금연구소(2009). 은퇴자의 은퇴준비과정 및 생활실태 분석. 서베이레포트 2호.
  15. 박민자.손문금(2005). 고령 여성과 남성의 일상생활: "생활시간조사"자료를 중심으로. 덕성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 11, 121-145.
  16. 박수미.선보영.김진욱(2005). 한국여성의 생활세계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17. 박재환.일상성.일상생활연구회(2008). 일상생활의 사회학적 이해. 한울아카데미.
  18. 배나래.박충선(2009). 노년기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적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9(2), 761-779.
  19. 석상훈.송현주.이근영.오병국(2008). 제2차 우리나라 중고령자의 경제생활 및 노후준비 실태. 국민연금연구원.
  20. 신헌구(2007). 노동시장 은퇴자의 은퇴 만족도 및 삶의 만족도. 노동리뷰, 통권27호, 81-93.
  21. 양영순(2007). 고령화사회에서 노인의 시간사용과 역할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16, 1-26.
  22. 윤소영(2006). 노인 여가프로그램 설계를 위한 기초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0(4), 47-63.
  23. 이연숙(2010). 조모의 손자녀 돌봄만족과 관련변인의 영향력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과학회지, 19(1), 15-26.
  24. 정경희(2001). 노인의 생활시간 배분실태. 보건복지포럼, 61, 56-70.
  25. 정경희.윤지은(2010). 한국노인의 생산활동 참여실태 및 경제적 가치. 보건복지포럼, 161, 48-57.
  26. 정여진.안정신(2010). 남성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가족관계 변인이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30(2), 535-550.
  27.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홈페이지 http://kostat.go.kr/survey/lifestyle/
  28. 통계청(2009). 2009년 5월 청년.고령층 부가 조사 결과. 2009.7.29 보도자료.
  29. 통계청(2010). 2009년 생활시간조사 결과. 2010.3.31. 보도자료.
  30. 한국노인인력개발원(2009). 노인의 경제활동과 사회참여 통계.
  31. 홍향숙.박수경(1994). 조기출퇴근제 실시에 따른 부부의 생활시간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3(2), 49-59.
  32. Bianchi, S. M., Robinson, J. P. & Milkie, M. A.(2006). Changing Rhythms of American Family Life. Russe Sage Foundation.
  33. Pentland, W. E., Lawton, M. P., Harvey, A. S. & McColl, M. A.(1999). Time Use Research in the Social Science. Kluwer Academic/Plenum Publishers.
  34. Robinson, J. P. & Godbey, G.(1997). Time for Life: The Surprising Ways Americans Use Their Time. Pennsylvania State Univ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