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lassifications and Strategic Directions of Multi-brand Fashion Stores in Korea

국내 패션 멀티브랜드 스토어의 유형별 전략 및 발전방향

  • Received : 2011.01.03
  • Accepted : 2011.02.21
  • Published : 2011.05.31

Abstract

This study presents the strategic directions for Korean multi-brand fashion stores by running in-depth industry research and market analysis. Over 20 professionals were selected from Korean multi-brand fashion stores for this study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evaluate related subject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Korean multi-brand fashion stores could be classified into three criteria: operating ownership, merchandise mix, and store identity. Second, operating ownership criterion was chosen for further investigations of strategies and directions of the multi-brand fashion stores. The operating ownership criterion consists of three types; department store types, specialty store types, and boutique types. Each type deploys different buying practice, organizational strategies, and distribution channels. Lastly, the suggested strategic directions for each type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department store type' should utilize its strong direct buying capabilities and acquisition of merchandising can be more effectively managed. The store should utilize its strong buying power as a tool to develop new private brands (PBs). For 'specialty store type', two key factors have been derived: market share expansion and positioning themselves to become a new distribution channel. To respond to these factors, the store needs to be perceived as a brand then diversify its business. Strengthening its brand will allow it to expand into a new distribution channel and also enable a strategic partnership with its competitor brands. The factors influencing 'boutique type' is personalization and uniqueness. With an emphasis on the uniqueness of products and merchandising it will be able to implement the role as a personal shopper and stylist to provide a very personalized service to its customers.

Keywords

References

  1. 강정선. (2000). 패션 전문점 판매환경 구성에 있어서 휴식공간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 권혜진. (2009). 패션 전문점내 여성 의류매장 계획-소규모 매장의 체크리스트-.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 김나리. (2001). 퓨전시대의 멀티레이블 스토어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 김선희. (2007). 패스트패션에 대한 고찰 (제2보)-의복평가 기준 및 점포 선택 기준을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15(5), 888-901.
  5. 김수연. (2010). 국내 패션 멀티브랜드 스토어의 유형과 전략적 방향. 건국대학교 의류학과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6. 김승은. (2003). 국내 수입 패션 멀티샵의 마케팅 전략. 동덕여자대학교 패션전문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 김진희. (2007). 남성의 소비성향 변화에 따른 남성 멀티샵브랜드를 위한 BI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8. 김태형. (2008). 패션 유통 시장의 新(신)트랜드. 서울: 한국신용평가원.
  9. 김현숙, 이은영. (1992). 점포 이미지에 의한 패션 점포의 유형화. 한국의류학회지, 16(2), 155-168.
  10. 류문상. (2008). 패션바잉. 서울: 우용출판사.
  11. 멀티숍 전성시대의 주역들. (2008. 5). 하퍼스바자코리아, pp.241−288.
  12. 불황기 패션 비즈니스 전략. (2009, 3. 10). 삼성디자인넷. 자료검색일 2009, 8. 14, 자료출처 http://www.samsungdesign.net
  13. 서용구. (2009). 브랜드 아우라의 비밀. 서울: 서울경제경영출판사.
  14. 서정민. (2009. 5. 29). 셀렉트숍, 남다른 나를 만든다. 중앙일보, p. S6.
  15. 성희원. (2008). 가격인지차원과 점포 속성이 패션 제품 점포선택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32(8), 1274-1285. https://doi.org/10.5850/JKSCT.2008.32.8.1274
  16. 오재호. (2006). 브랜드 아이덴티티 구축을 통한 패션 멀티레이블 스토어 디자인 계획.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7. 오주원. (2009). 럭셔리 패션 멀티레이블 스토어의 마케팅전략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8. 이수진, 황선진, 변유선. (1997). 유행관여에 따른 패션 전문점의 점포 속성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1(2), 346-356.
  19. 이승희, 조세나. (2007). 멀티샵의 점포 이미지가 점포 충성도 및 상표 전환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5(1), 51-61.
  20. 이지선. (2007). 국내 수입 패션 멀티샵 고객의 점포 애고 행동에 관한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패션전문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1. 이호정, 여은아. (2007). 패션유통. 서울: 교학연구사.
  22. 임종원. (1987). 현대 마케팅 관리론. 서울: 무역경영사.
  23. 장석훈. (1997). 패션 전문점에 있어서 파사드 및 실내 공간의 구성 기법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4. 장은영. (2008). 패션리테일링. 서울: 교학연구사.
  25. 최선형, 박혜선, 손미영, 전양진. (2005). 21세기 패션마케팅. 서울: 창지사.
  26. 크래프트 맨프레드, 맨트랄라 무랄리 K. (2006). 2012 유통트랜드. 추호정, 문희강, 전대근 옮김 (2008). 서울: 한국체인스토어협회 출판부.
  27. 2009 F/W 패션 유통 동향. (2009, 8. 6). 삼성디자인넷. 자료검색일 2009, 8. 14, 자료출처 http://www.samsungdesign.net
  28. 2009 Retailing Trend Now. (2009, 6. 25). 삼성디자인넷. 자료검색일 2009, 8. 14, 자료출처 http://www.samsungdesign.net
  29. Spradly, J. P. (1979). The ethnographic interview.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ited by

  1. The Study on Cultural Communication and Shopping Benefit in Fashion Cultural Complex Space vol.23, pp.2, 2014, https://doi.org/10.5934/kjhe.2014.23.2.329
  2. Contemporary dandies: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Korean male consumers in fashion multi-brand stores and tailor shops vol.74, 2017, https://doi.org/10.1016/j.jbusres.2016.10.027
  3. The Impacts of Store Attributes and Shopping Orientation on Store Patronage for the Imported Fashion Multi-Brand Shop vol.63, pp.7, 2013, https://doi.org/10.7233/jksc.2013.63.7.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