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보육교사의 관심사와 유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역할인식 및 교수효능감 간의 관계 연구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Care Teacher's Concerns and Their Teacher' Role in Improving Children's Creativity and Their Teaching Efficacy

  • 김용숙 (중부대학교 유아교육학과)
  • 투고 : 2011.03.03
  • 심사 : 2011.04.07
  • 발행 : 2011.04.30

초록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관심사와 유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역할인식 및 교수효능감 간의 관계에 대해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 J지역의 보육교사 156명을 연구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관심사와 유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역할인식 간에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 내용별로 살펴보면 생존관심사, 강화관심사, 갱신관심사, 성숙관심사에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보육교사의 관심사와 교수효능감 간에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내용별로 살펴보면 생존관심사, 강화관심사, 갱신관심사, 성숙관심사에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보육교사 관심사는 유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역할인식과 교수효능감을 예측하는 중요한 변인으로 보육교사들의 관심사를 이해하고 이에 대한 요구 분석을 통해 유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역할인식 및 교수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교육환경 요건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research is to analyze what kinds of relationships exist between child care teachers' concerns and their role in improving children's creativity and their teaching efficacy. There are two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kind of relationship is shown between child care teacher's concerns and their role in improving children's creativity? Second, what kind of relationship can be shown between child care teacher's concerns and their teaching efficacy? A survey was carried out with 156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in the J region to research these questions.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child care teachers' concerns and their role in improving children's creativity had a static correlation in total as well as in part. Second, child care teacher's concerns and their teaching efficacy had a static correlation in total as well as in part. In this study, we have concretely discussed the content and methods of child care teachers' education by analyzing child care teachers' requirements.

키워드

참고문헌

  1. 고은희. 교사의 창의적 인성특성과 유아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수행.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2003.
  2. 김호. 유아의 지능,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교사의 창의성 교수효능감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 미디어 연구, 9(1). 2010.
  3. 김현경. 발달단계에 따른 유아교사관심사와 교수효능감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아주대학교. 2009.
  4. 김희태, 백영숙. 유아교사의 창의성과 교수 효능감. 유아교육학논집, 13(3), 51-67. 2009.
  5. 신세니. 초임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과 교사관심사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2001.
  6. 양윤정. 유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 연구. 석사학위논문, 배제대학교. 2002.
  7. 양정미, 황해익. 보육교사의 교사관심사 발달단계에 따른 장학실태 및 요구도 조사연구. 유아교육연구, 13(2), 57-76. 2004.
  8. 이세녕. 유치원 교사의 교사관심사 분석.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2002.
  9. 이영미. 유아교사의 관심사와 유아발달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원광대학교. 2002.
  10. 이은화, 배소연, 조부경. 유아교사론. 서울: 양서원. 1995.
  11. 송주진. 유아교사의 발달단계와 교사의 관심사 및 개념도의 관계. 한국유아교육연구 5(1), 29-43. 2009.
  12. 지은림, 양명희, 조윤정. 우리나라 교육현장에 적합한 교사관심사 측정도구 타당화 연구. 교육평가연구, 22(2), 387-407. 2009.
  13. 최미숙.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과 전문성 인식에 따른 교사행동 분석. 유아교육연구, 25(1), 195-215. 2005.
  14. 한석실, 임명희. 유치원 교사의 교사효능감 확인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0(1), 207-240. 2003.
  15. Fuller, F. F. Concerns of teachers: A developmental characterization.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6, 207-226. 1696.
  16. Hall, B. W. Attributions that teachers hold to account for student success and failure and their relationship to teaching level and teacher efficacy beliefs(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349 280). 1992.
  17. Torrance E. P. Is Creativity Tdachable? Rloomington, Indiana: PDK. 1973.
  18. Tsai, C. T. (1990). A survey study of Chinese kindergarten teacher concern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Uillinois. 1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