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천안시 주민들의 주택보유형태 및 주택점유형태 결합선택 분석

An Analysis on Joint Choice of Tenure and Dwelling Type in Cheonan

  • 투고 : 2011.02.23
  • 심사 : 2011.04.07
  • 발행 : 2011.04.30

초록

본 연구는 다항로짓분석을 이용하여 천안시 주민들의 가구별 주택특성 및 사회경제적 변수가 주택보유형태 및 주택점유형태의 결합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 결과, 자가-비아파트에 살고 있는 가구는 주로 오랜 기간 지역을 지켜온 원주민들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임대-아파트에 거주하는 가구는 수도권 거주경험도 가지고 있으며 언제든지 수도권으로의 이전을 생각하여 자가 주택을 구입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가구의 다양한 사회경제적 변수가 주택선택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는데, 예를 들어 가구주의 연령이 높을수록, 그리고 거주기간이 길고, 학생 수가 많을수록, 임대주택보다는 자가주택을 선호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the plausible socio-economic variables that influence joint choice of tenure and dwelling type in Cheonan. For estimating these joint choice models, multinomial logit framework is employed. Following the practice of other studies, we chose the age of householder, education level of householder, occupation of householder, residence duration in Cheonan, experience of capital area residence, plan of capital area move and the monthly income of household as socio-economic variables, and size of house, access of subway area, residence area as hous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estimation result, we can derive som implications. For example, the higher monthly income of household, more member of student, bigger size of house, longer residence duration of Cheonan, the more they prefer owing house apartment to renting it. In addition, as householders are older, size of house is bigger, they prefer owing-non apartment to owing house-apartment.

키워드

참고문헌

  1. 강길부, "우리나라 주택수요구조의 변화와 정책방향에 관한 연구", 경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996.
  2. 국토개발연구원, "지역별 주택시장연구", 서울. 1992.
  3. 김인하, "서울시 가구의 주거이동 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6.
  4. 김정수.이주형, "가구특성에 따른 주택선형행태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39(1), pp.191-204. 2004.
  5. 이길순, "로짓모형을 이용한 주택선택 결정요인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990.
  6. 이주석.유승훈.곽승준, "대도시 주택보유형태 및 주택유형과 난방연료 결합선택에 대한 분석", 산업경제연구, 20(2), pp.491-507. 2007.
  7. 이충기.이주석, "주거환경이 주택유형과 주태규모 선택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경제학연구, 56(3), pp.55-72. 2008.
  8. 장성수.윤혜정, "아파트선택가구의 사회.경제 및 주거특성에 관한 연구", 주택연구, 6(2), pp.5-12. 1998.
  9. 정의철, "도시가구의 주택점유형태 및 주택유형선택에 관한 연구", 주택연구, 10(1), pp.5-31. 2002.
  10. 최막중.임영진, "가구특성에 따른 주거입지 및 주택유형 수요에 관한 실증분석", 국토계획, 36(6), pp. 69-81. 2001
  11. 한동근, "가구특성에 따른 주거선택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86.
  12. Cho, Cheol-Joo, "Joint Choice of Tenure and Dwelling Type", Urban Studies, 34(9), pp.1459-1473. 1997. https://doi.org/10.1080/0042098975510
  13. McFadden, D. "Conditional Logit Analysis of Qualitative Choice Behavior", in P Zarembka, ed, Frontiers in Econometrics, New York: Academic Press. 1976.
  14. Robert J, Wiley, "Real Estate Investment", New York: John Wiley and Sons.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