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art Work Research: Review and Agenda for Future Research

스마트워크 연구에 대한 고찰과 향후 연구 주제

  • Received : 2011.04.04
  • Accepted : 2011.06.24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Along with the fast development of "smart"information technology including smart phones, a concern for increased productivity and better work-life balance is growing faster than ever. In many cases, the expectations for "smart work"remain only superficial at most, and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smart work research, much less with clear definitions, is not based on sound research. This article primarily aims to clarify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oncept of telework and that of smart work. Particularly, a research framework for smart work, reflecting the points of differentiation for smart work on the basis of previous telework research framework is suggested. Then, we go further to discuss the limitations of existing telework research to suggest new research agenda for smart work research, and review current smart work policy being executed by the Korean government to suggest directions for the future. We expect to make academic contributions to the advancement of smart work research in the IS research field as well as provide practical insights for local policy planners.

스마트폰을 비롯한 다양한 스마트 정보기술의 진보와 더불어 스마트워크가 가져올 업무 효율성과 일과 삶의 균형에 대한 기대가 커져가고 있다. 그러나 많은 경우 스마트워크에 대한 기대는 피상적인 수준에 그치고 있으며 스마트워크의 정의를 비롯한 관련 연구의 기반도 아직 견고하지 않다. 본 연구는 기존 원격근무 연구 문헌에 대한 검토를 기반으로 원격근무와 스마트워크의 개념 차이에 대해 고찰하고, 이를 통해 스마트워크의 개념을 정리하는데 일차 목적이 있다. 더불어, 원격 근무 연구의 틀을 기초로 스마트워크 연구의 차별적 요소들을 반영하여 스마트워크 연구의 주요한 구성요소들을 구조화한 연구 프레임워크를 제시한다. 제시된 스마트워크 연구 프레임워크에 입각하여 기존 원격근무 연구의 한계를 논하고 IS 연구자들이 주목할 만한 연구주제들을 제시하는 한편, 현재 국내 공공부문에서 추진되고 있는 스마트워크 정책을 중심으로 아직 미진한 부분들을 돌아봄으로써 향후 스마트워크 연구의 발전과 관련 정책 기획에 학술적으로 그리고 실용적으로 기여하고자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