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a High Pressure Turbine Bypass System Pressure Control Model for Power Plant Simulator

발전소 시뮬레이터를 위한 고압 터빈 바이패스 압력 제어 모델 개발

  • Received : 2011.07.12
  • Accepted : 2011.11.22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It is required that a developed control system should be verified using simulator in terms of functionality and reliability prior to application to a power plant that is a very critical facility in the industry. In this paper, the control model for turbine bypass system was developed for power plant simulator. In order to develop the control model for turbine bypass system, the tool that can be used to implement turbine bypass control logic was developed based on the turbine bypass control system manual. The developed tool was merged into the simulator development environment. The functionality of the developed tool was verified via the simulation based on the each function block specification. The HP turbine bypass pressure control logic was implemented using the developed tool and was integrated with process models and other control models such as boiler control model, turbine control model and boiler feed water pump turbine control model for 500 MW korean standard type fossil power plant. Finally, the validity of the developed control model was shown via simulation result under the integrated simulation environment.

국산 개발 분산 제어시스템의 발전 설비에의 적용을 위해서는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제어 시스템의 기능 및 신뢰성 등의 검증이 선행되어야만 한다. 본 논문에서는 제어 시스템 검증용 시뮬레이터를 개발하는데 있어서, 제어 모델 중 발전소 기동 초기에 보일러 압력을 조절하고, 정상 운전 중 보일러의 과대 압력 상승을 방지하기 위해 보일러에서 발생한 증기를 복수기로 방출하는 터빈 바이패스 계통의 제어 모델을 개발하였다. 제어 모델 개발을 위해, 통합 시뮬레이션 개발 환경에서 활용가능한 제어 로직 구현 툴을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한 툴의 기능은 개별 기능 블럭의 설계 사양에 기반한 시뮬레이션에 의해 검증을 하였으며, 개발한 툴을 이용하여 고압 터빈 바이패스 계통의 압력 제어 로직을 구현하였다. 500 MW급 표준 석탄화력 발전소 공정 모델과 보일러 제어 모델, 터빈 제어 모델 등 타 계통의 제어 모델과의 연계를 통한 통합 시뮬레이션을 통해 개발한 제어 모델의 효용성을 확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Burkhard Holl, Helmut Probst and Wolfgang Wischert (2004), "Digital I & C Systems Pre-Tests using Plant Specific Simulators", 4th ANS International Topical Meeting, Columbus, USA.
  2. Chia-Kuang Lee, Chin-Mao Lee and Kin W. Wong (2009), "Digital System Validation Testing in the Lungmen Project", 6th ANS International Topical Meeting, NPIC&HMIT 2009, Knoxville, Tennesse, USA.
  3. 박두용 외(2001), "발전소 보일러용 디지털 분산제어시스템 개발", 최종보고서, 전력연구원.
  4. 임익헌 외(2010), "통합감시제어시스템 성능검증 및 실증 시험 기술개발", 전력연구원.
  5. 이명수 외(2010), "통합 성능 검증 설비용 원전 시뮬레이터 개발", 전력연구원.
  6. 변승현, 황도현(2010), "발전소 제어 검증용 시뮬레이터 개 발", 한국시뮬레이션학회 논문지, Vol. 19, No. 1, pp. 41-51.
  7. 신상철 외(2007), 모의화력실무, 한국서부발전(주) 태안발전본부 교육훈련센터.
  8. 변승현(2009), "바이패스 계통 제어 모델 개발 툴 구현보고서", 전력연구원.
  9. Robert Felker et al. (2009), $3KEYMASTER^{TM}$ ANALYST AND DEVELOPER GUIDE, WSC
  10. 변승현, 김문수, 홍진혁, 이명수(2009), "발전소 시뮬레이터를 위한 터빈 바이패스 계통 제어로직 구현 툴 개발", 한국시뮬레이션학회, ′09추계학술대회 논문집, pp. 138-143.
  11. 변승현 (2009), "발전소 제어 검증용 시뮬레이터를 위한 바이패스 계통의 제어 로직 구현", 2009년도 대한전기학회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pp. 1634-1635.

Cited by

  1. Preliminary design and validation of a Real Time model for hardware in the loop testing of bypass valve actuation system vol.92, 2015, https://doi.org/10.1016/j.enconman.2014.12.061
  2. Hardware-in-the-loop testing of bypass valve actuation system: Design and validation of a simplified real time model vol.231, pp.2, 2017, https://doi.org/10.1177/0954408915589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