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gment Analysis and Conservation Method of Avalokitesvara in Potalaka of Hyeondeungsa, Gapyeong

가평 현등사 수월관음도의 안료분석 및 보존방법

  • Seo, Jeong-Ho (Department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Cha, Byung-Gap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
  • Jung, Hee-Soo (Bal Hae Conservation Science Co., Ltd.)
  • Received : 2011.04.29
  • Accepted : 2011.06.01
  • Published : 2011.06.20

Abstract

Buddha painting cultural properties couldn't avoid the change of colors and the exfoliation phenomenon by the characteristic of material and environmental factors. Especially, because in the beginning of the fine crack and the decoloration phenomenon on the surface of pigment would be significantly decrease stability of the whole object, it is necessary to take particular measure. Therefore, this is a study on conservation of Avalokitesvara in Potalaka in Hyeondeungsa in Gapyeong. It treated damaged parts of the object, carried out backing papers and matching colors. And then, it examined scientific analysis of pigments. Also, it performed nondestructive testing like XRF, FT-IR, and image microscope to investigate the quality of the material of hanji using the object and the component and characteristic of pigments. As a result, FT-IR spectrum matching Korean traditional paper(hanji) was detected in hanji of Avalokitesvara in Potalaka in Hyeondeungsa. The black pigment making a thin layer over the white pigment would estimate carbon compounds of unconfirmed ink stick or soot as XRF and FT-IR. Also, the white pigment was lead white($PbCO_3{\cdot}Pb(OH)_2$) involving Pb(Lead) and a carbonate. It was observed that the crystal of blue pigment had the different sizes of the particles from the microscope. In the case of this blue pigment, it showed cobalt blue and lead white was mixed when it used because both Cu and Pb were highly detected in XRF data.

불화 문화재는 재료의 특성과 환경적 요인에 의한 색의 변화와 박락현상을 피할 수 없다. 특히 안료 표면에 발생하는 미세한 균열과 탈색 현상의 시작은 곧바로 유물 전체의 안정성이 현저히 급감하는 것으로서, 각별한 조치가 필요하다. 따라서 이 연구는 가평 현등사 수월관음도(경기도무형문화재 제198호)의 보존처리에 관한 것이며 유물 손상 부위를 보존처리하고 안정화시키기 위해 배접과 색맞춤을 실시하고, 안료의 과학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XRF, 영상 현미경, FT-IR(자외선 분광 분석법)를 통한 비파괴 분석을 실시하여 유물에 사용한 한지의 재질과 안료의 성분 및 그 특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 현등사 수월관음도의 한지에서는 우리나라 전통 한지와 일치하는 FT-IR 스펙트럼이 검출되었고, 백색 안료위에 엷은 층을 이루고 있는 흑색 안료는 XRF와 FT-IR로 확인되지 않는 먹이나 그을음 등의 탄소화합물로 추정할 수 있었다. 또한 백색 안료는 Pb와 탄산염을 포함하는 연백($PbCO_3{\cdot}Pb(OH)_2$)이며, 현미경 관찰을 통해 청색 안료의 결정 상태를 확인한 결과 크고 작은 입자 분포를 보였다. XRF 분석 값은 Cu와 Pb 모두 높게 검출된 것으로 보아 청색의 경우 석청과 연백이 혼합되어 사용된 것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한민수, 홍종옥, "고대 안료의 성분분석 연구(쌍계사 탱화안료를 중심으로)". 보존과학연구, 24, p131-152, (2003).
  2. 서정호, "문화재를 위한 보존 방법론". 경인문화사, p229-266, 서울, (2008).
  3. 곽동해, "한국의 단청". 학연문화사, p225-245, (2002).
  4. 차병갑, "조선후기 김인신 초상화의 보존과학적 연구".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5. 仲政明, 森本有佳, "한국 통도사 영산전.다보탑벽화 복원모사 제작보고". 불교미술 사학, p113-124, (2010).
  6. 전유근, 김원국, 조영훈, 한두루, 김선덕, 이찬희. "창녕 관룡사 약사전 벽화의 안료분석 및 비파괴 훼손도 진단". 보존과학회지, 25, p383-398, (2009).
  7. 김정희, "서울 傳統寺刹의 佛畵", 서울의 사찰불화I , p206-254,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