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erial Characteristics and Clay Source Interpretation of the Ancient Ceramic Artifacts from the Wonsinheungdong Site in Daejeon, Korea

대전 원신흥동 유적 출토 고대 세라믹 유물의 재료학적 특성과 원료의 산지해석

  • Kim, Ran-Hee (Department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Jung, Hae-Sun (Bal Hae Conservation Science Co., Ltd.) ;
  • Jung, Sang-Hoon (Baekje Cultural Properties Research Institute) ;
  • Lee, Chan-Hee (Department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1.02.15
  • Accepted : 2011.05.30
  • Published : 2011.06.20

Abstract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and provenance of the crucibles, potteries and roof tiles from the Wonsinheungdong site in Daejeon, Korea. Similar mineral composition of each samples showed by microscopic observation and X-ray diffraction analysis. However, wall thickness and mineral characterization of each ceramic artifacts are quite different. The pottery is characterized by thin wall with 0.5 to 0.7 cm and fine grained clay matrix. While the crucible and roof tile has thick wall with 1.3 to 2.5 cm, poorly sorted texture of many quarz, orthoclase and plagioclase whithin ceramic fabric. And large elonagated voids formed by hydrocarbone of straw during the firing and loose matrix obseved in crucible. All ceramic samples and ground soil of the site show similar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geochemical behavior and clay-mineralization degree. This indicates making that the soil is probable to be a raw material of all ceramic from the Wonsinheungdong site. Also, firing temperature of most ceramic artifacts are estimated as 850 of all ceramic from the Wonsinheungdong site. Also, firing temperature of most ceramic artifacts are estimated as 850 to $950^{\circ}C$ but hardest pottery fired high temperature between 1,050 to $1,150^{\circ}C$. The vitreous molten materials interpreted in slag included segregation of copper and tin. But it can not exclude the possibility that the glass molten material because observed reddish and greenish vitreous fine structure under microscopic.

이 연구는 대전 원신흥동 유적에서 출토된 도가니, 토기 및 기와의 재료학적 특성과 원료의 동질성 검토를 통한 원산지 해석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현미경 관찰 및 X-선 회절분석 결과, 각 시료의 광물조성은 거의 일치하나 기벽의 두께 및 포함된 광물의 분급에서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이 중 토기는 0.5~0.7cm의 얇은 기벽에 가장 정선된 태토 특성을 보이는 반면 도가니와 기와는 기벽이 1.3~2.5cm로 두꺼우며 분급이 불량한 석영, 정장석 및 사장석이 다량 관찰된다. 도가니의 경우, 태토에 혼합된 짚이 소성과정에서 탄화되어 크고 길쭉한 공극이 관찰되는 느슨한 기질적 특성을 가진다. 이와 같이 재료학적으로 차이를 보이지만 이들은 유적지 토양과 광물조성 및 지구화학적 거동특성이 상당히 일치하고 있어 모두 동일한 모암의 풍화에 의해 생성된 점토를 이용해 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1,050{\sim}1,150^{\circ}C$의 소성온도를 경험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질토기를 제외하면 모든 세라믹 유물들은 $850{\sim}950^{\circ}C$의 온도영역에서 소성하였을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도가니의 용융물은 구리와 주석의 편석을 일부 포함한 슬래그로 판단되나 부분적으로 치밀한 적색 및 녹색 유리질 조직이 관찰되는 것으로 보아 유리 용융물의 가능성도 있어 보인다.

Keywords

References

  1. 백제문화재연구원, "대전 원신흥동 유적 1차 지도위원회자료". p1-17, 백제문화재연구원, (2009).
  2. 백제문화재연구원, "대전 원신흥동 유적 2차 지도위원회자료". p1-19, 백제문화재연구원, (2009).
  3. 김지영, 박진영, 박대순, 이찬희, "부여 쌍북리 유적 출토 백제 도가니의 재료학적 특성과 원료의 산지해석". 보존과학회지, 26, p1-12, (2010).
  4. 이찬희, 박진영, 김지영, "부여 쌍북리 유적 출토 백제 도가니내부 유리 및 청동 용융물질의 정량부석과 고고과학적 해석". 보존과학회지, 26, p157-169, (2010).
  5. Hein A., Kilikoglou V., Kassianidou V., "Chemical and mineralogical examination of metallurgical ceramics from a late Bronze age copper smelting site in Cyprus".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34, p141-154, (2007). https://doi.org/10.1016/j.jas.2006.04.005
  6. 김란희, 이선명, 장소영, 이찬희, "기흥 농서리 유적 출토 토기의 재료과학적 특성과 소성온도 해석". 보존과학회지, 25, p255-271, (2009).
  7. 김지영, 이찬희, 조선영, 김란희, 이호형, "아산 탕정지구 외골유적 출토 고려 기와의 재료과학적 특성과 제작기법". 보존과학회지, 25, p299-316, (2009).
  8. 김란희, 조미순, 연웅, 서정석, 이찬희, "나주 오량동 가마와 운곡동 분묘 유적 출토 대형전용옹관의 재료학적 동질성과 제작기법 해석". 보존과학회지, 26, p229-245, (2010).
  9.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익산 왕궁리 유적: 익산 왕궁리 유적 발굴 20년 성과와 의의". 주류성출판사, p1-367, (2009).
  10. 충청문화재연구원, "부여 쌍북리 유적 ". p1-29, 충청문화재연구원, (2005).
  11. 차순철, "경주 황남동 376번지 신라공방에 대한 재고". 경주문화, 8, p16-32, (2002).
  12. 박희인, 이준동, 정지곤, "유성지질도폭(1:50000)".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1-21, (1977).
  13. 이인숙, "한국 고대 유리의 분석적 연구( I )". 고문화, 34, p79-95, (1989).
  14. 강형태, 김규호, 이성주, "울산 중산리유적 출토 유리구슬의 특성". 부대사학, 30, p79-98, (2006).
  15. 김규호, "한국에서 출토된 고대유리의 고고화학적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1-143, (2001).
  16. Nockolds, S.R., "Average chemical compositions of some igneous rocks".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n Bulletin, 65, p1007-1032, (1954). https://doi.org/10.1130/0016-7606(1954)65[1007:ACCOSI]2.0.CO;2
  17. 환경부, "토양환경보전법". (1983).
  18. Taylor, S.R. and McLennan, S.M., "The continental crust: Its composition and evolution". Blackwell, Oxford, p312, (1985).
  19. Pearce, J.A. "Role of sub-continental lithosphere in magma genesis a activec continental margines". In Continental basalts and mantle xenolith (Eds. Hawkesworth C.J. and Norry M.J.), Shiva, p230-349, (1983).
  20. Caria, M.S., "토기연구법(이성주 역)". 도서출판고고, p47, (2008).
  21. 송재선, "우리나라 옹기". 동문선, p388-392, (2004).
  22. Taylor, A.B., Velbel, M.A., "Geochemical mass balances and weathering rates in forested watersheds of the southern Blue Ridge II. effects of botanical uptake terms". Geoderma, 51, p29-50, (1991). https://doi.org/10.1016/0016-7061(91)9006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