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Degradation of Leather Objects by Conservation Environment: Focus on the Effect by Ultraviolet Light (UV) and Moisture

보존환경에 의한 피혁유물의 손상 연구: 자외선과 수분에 의한 영향을 중심으로

  • Kang, Dai-Ill (Department of Conservation Science, Korean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 Park, Hae-Jin (Department of Conservation Science, Korean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강대일 (한국전통문화학교 보존과학과) ;
  • 박혜진 (한국전통문화학교 보존과학과)
  • Received : 2011.01.26
  • Accepted : 2011.05.30
  • Published : 2011.06.20

Abstract

In case of leather objects, degradation usually occurs by a combination of factors such as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light and insect and fungi. Because chemical composition differs on the types of leather materials, leather objects affect differently even in the same environment. According to UV degradation, the overall color and gloss difference appeared severe in turn of the cowskin, sheepskin and pigskin specimens. In addition, despite short-term period of RH degradation, leather materials showed stable result on high RH circumstances. Nevertheless, if the leather sustained for a long time on the high RH, the environment can be the cause of mold or microorganisms.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leather objects and the future conservation and then to establish the conservational management of leather object for the future.

피혁유물은 온·습도, 빛, 충 균 등 다양한 환경요인에 의해 복합적으로 손상된다. 본 연구 결과, 피혁은 원피의 종류에 따라 화학적 조성에 차이가 있어 같은 환경에서도 손상정도가 다르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자외선 열화에 따른 전체적인 색차 및 광택도 변화 및 변색은 우피, 양피, 돈피의 순으로 심하게 관찰되었다. 또한, 피혁은 단기간에는 습도에 관하여 안정적인 결과를 나타났으나 고습의 환경이 지속된다면 곰팡이나 미생물이 발생되기 쉬우므로 주의해야 한다. 본 연구는 피혁유물을 이해하고, 보존환경기준을 제시하여 향후 피혁유물의 보존관리 방안을 수립하는 데에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Butterworth-Heinemann, "The National Trust Manual of Housekeeping". Butterworth-Heinemann, p393-395, (2005).
  2. Marion Kite.Roy Thomson, "Conservation of leather and related materials". Butterworth-Heinemann, p1-20, 113-120, (2006).
  3. Laura Gail White, "Passivation polymer bulking versus sucrose impregnation: A cross-methodological approach to the conservation of leather". Undergraduate research Texas A&M University, (2008).
  4. Paul T. Nicholson and Ian Shaw, "Ancient Egyptian Materials and Techn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p299-319, (2000).
  5. Donny L. Hamilton, "Methods of conserving archaeological materials from underwater sites". Conservation Research Laboratory Centre for Maritime Archaeology and Conservation Texas A&M University, (1999).
  6. Michael Komanowsky, "Thermal stability of hide and leather at different moisture contents".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Eastern Regional Research Center, (1991).
  7. Michael Faraday, "On the Ventilation of Gas Burners". Royal Institution Lecture, (1843).
  8. Milton Park, Egham, Surrey, "Progress in Leather Science". British Leather Manufacturer's Research Association, (1920-1945).
  9. 김정환, 이옥섭, 한지숙, 신성연, 백두현, 하병조, "자외선 조사에 의한 모발구조의 형태학적 변화". R.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4, p311-316, (2008).
  10. 이종석, 서교택, 김영채, 문세기, "피혁 가공제 첨가에 의한 피혁의 물성 향상". Applied Chemistry, 2, p488- 491, (1998).
  11. 김원주, "피혁용 효소의 제조 및 친환경 제혁 공정 기술 보급: 최종보고서". 산업자원부, (2006).
  12. 박승태, "갑피소재가 운동화 내부 온습도에 미치는 영향". 동서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 신발산업공학과 공학석사학위논문, (2003).
  13. 김영신, "근세유럽의 판금갑옷을 모티브로 한 가죽의상 디자인". 동덕여자대학교 의상디자인학과 의상디자인전공 석사학위논문, (2004).
  14. 방규태, "한국 피혁공업의 현황과 수출 전망". 성균관대학교 국제통상대학원 무역학 석사학위논문, (2004).
  15. 신현숙, "가죽의류디자인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4, (2004).
  16. 박은경, "피혁수공예기법을 응용한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61, (2003).
  17. 申賢淑, "가죽의류 디자인 연구-1970년대-2000년 초까지".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18. 김명웅, "가죽공업화학". 선진문화사, p20-22, 30-34, (2008).
  19. 이은지, "가죽의 엠보씽 기법을 응용한 복식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10, (2004).
  20. 박인성, "인조치혁의 제조(1)". 효성T&C 효성생호라산업, (1994).
  21. 朴永煥, "人工 皮革". 韓國纖維工學會誌, 24, p131-135, (1987).
  22. 안보연.홍나영, "우리나라 모피와 피혁 복식의 제작과정과 기술".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8, p64-69, (2008).
  23. 박은경, "피혁수공예기법을 응용한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24. 韓桓洙, "피혁산업의 유래". 정현사, p9-10, (19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