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휴카드 할인프로그램이 외식업의 수익성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Profitability of the Allianced Discount Program with Credit Cards and Loyalty Cards in Food & Beverage Industry

  • 투고 : 2010.07.13
  • 심사 : 2010.11.11
  • 발행 : 2011.01.31

초록

외식업계에서는 충성도제고를 위한 장기적 고객 관리 프로그램으로서 사용금액 대비 일정률의 포인트를 적립해주는 고객보상(로열티)프로그램을 시행해왔으며, 단기적인 매출 증대를 목적으로 신용카드사나 이동통신사와의 전략적 제휴를 통해 소비자에게 할인혜택을 제공하는 제휴할인카드를 경쟁적으로 도입하고 있다. 포인트 적립과 제휴카드할인 프로그램은 추구하는 목적은 서로 다르나 소비자에게는 동일한 구매시점에 둘 중에서 하나를 선택해야하는 경합적인 대안이 된다. 일반적으로 소비자는 손실에 대해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위험회피 성향을 보이며, 실용적 동기에 의한 취득 및 거래효용의 관점에서 할인이 강력한 구매 동기가 되므로, 분리된 이익으로서의 포인트 적립 보다 할인 혜택을 제공함으로써 손실의 감소로 인식되는 제휴카드할인이 더 선호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기업의 입장에서도 제휴기업간의 비용분담을 통해 보다 적은 비용으로 큰 소비자 할인혜택을 제공할 수 있다는 비용효율의 장점 및 경쟁 대응 필요성 때문에 제휴카드할인을 도입하게 된다. 그러나 할인판촉은 실제적인 비용이 투입되므로 매출의 증가를 통해 비용 보다 큰 수익이 보장될 때만 의미를 가지는 촉진 수단이다. 외식업의 경우 방문객수가 증가해야 매출의 증대를 이룰 수 있으며 운영효율이 향상된다. 테이블당 고객수 증가는 공간효율을 높여주어 이익개선에 기여가 크다. 따라서 제휴카드할인이 실제적인 기업성과향상을 가져오려면 할인이 객수의 증가 특히 테이블당 객수의 증가에 기여를 해야 한다. 제휴카드할인이 객수증가 및 이익률의 향상에 도움이 되는지의 여부를 알아보기 위하여 패밀리 레스토랑업체의 실제 매출 데이터를 사용하여 검증해 본 결과 포인트 적립제도는 객수 증가와 유의적 관계를 보이지 않은 반면 제휴할인은 객수 증가에 실제적인 영향이 있음이 밝혀졌으며, 할인율이 증가하면 테이블당 고객수도 증가하며 약 25%의 할인이 제공되면 추가로 한 명의 고객이 유인되는 효과가 있었다. 또한 수익성의 측면에서는 1인당 지불금액 즉 객단가는 할인율의 증가에 따라 하락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객수의 증가로 인한 추가이익이 추가비용을 상쇄하고 있어서 제휴할인카드의 도입이 비용 대비 효과의 측면에서 적극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촉진 수단임이 입증되었다. 본 연구는 기업의 실측 데이터를 활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소비자 태도나 의도의 변화를 기준으로 기업의 의사 결정 정보를 제공하고자한 기존연구보다 현실적인 접근을 하고 있다. 즉, 기업의 실제 데이터로 제휴카드할인 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하였고, 포인트 적립 및 차감제도를 직접 비교함으로써 기업에게 향후 마케팅 전략 수립에 관한 현실적인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Recently strategic alliance between business firms has become prevalent to overcome increasing competitive threats and to supplement resource limitation of individual firms. As one of allianced sales promotion activities, a new type of discount program, so called "Alliance Card Discount", is introduced with the partnership of credit cards and loyalty cards. The program mainly pursues short-term sales growth by larger discount scheme while spends less through cost share among alliance partners. Thus this program can be regarded as cost efficient discount promotion. But because there is no solid evidence that it can really deliver profitable sales growth, an empirical study for its effects on sales and profit should be conducted. This study has two basic research questions concerning the effects of allianced discount program ; 1)the possibility of sales increase 2) the profitability of the discount driven sales. In F&B industry, sales increase mainly comes from increased guest count. Especially in family restaurants, to increase the number of guests we need to enlarge the size of visitor group (number of visitors for one group) because customers visit by group in a special occasion. And because they pay the bill by group(table), the increase of sales per table is a key measure for sales improvement. The past researches for price & discount sensitivity and reference discount rate explain that price sensitive consumers have narrow reference discount zone and make rational purchase decision. Differently from all time discount scheme of regular sales promotions, the alliance card discount program only provides the right to get discount like discount coupon. And because it is usually once a month opportunity given by the past month usage level, customers tend to perceive alliance card discount as a rare chance to get. So that we can expect customers try to maximize the discount effect when they use the limited discount opportunity. Considering group visiting practice and low visit frequency of family restaurants, the way to maximize discount effect should be the increase the size of visit group. And their sensitivity to discount and rational consumption behavior defer the additional spending for ordering high price menu, even though they get considerable amount of savings from the discount. From the analysis of sales data paid by alliance discount cards for four months, we found the below. 1) The relation between discount rate and number of guest per table is positive : 25% discount results one additional guest 2) The relation between discount rate and the spending per guest is negative. 3) However, total profit amount per table is increased when discount rate is increased. 4) Reward point accumulation & redemption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increase of number of gues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llianced discount program substantially contributes to sales increase and profit improvement by increasing the number of guests per table. Though the spending per guest is decreased by discount rate increase, the total amount of profit per table is improved. It seems the incremental profit by increased guest count offsets the profit decrease. Additional intriguing finding is the point reward system does not have any significant impact on the increase of number of guest, even if the point accumulation & redemption of loyalty program are usually regarded as another saving offers by customers. In sum, because it is proved that allianced discount program with credit cards and loyalty cards is effective to both sales drive and profit increase, the alliance card program could be recommended as strategically buyable program.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