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경렌즈 색상에 따른 동체 시력의 변화

Differences of Dynamic Visual Acuity According to Optical Lens Color

  • 이민아 (건양대학교 안경광학과) ;
  • 김영지 (건양대학교 안경광학과) ;
  • 정주현 (건양대학교 안경광학과)
  • 투고 : 2011.01.27
  • 심사 : 2011.03.19
  • 발행 : 2011.03.31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안경렌즈의 색상이 동체 시력에 미치는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앞으로 동체 시력 연구에 기초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방법: 3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투명한 색, 노란색, 파랑색, 녹색, 갈색의 5가지 색상 렌즈를 착용하고 동체 시력을 측정하였다. 결과: 나안과 콘택트렌즈 착용자 모두 동체 시력은 노란색 렌즈를 착용시 가장 높게 측정되었고, 갈색에서 가장 낮게 측정되었다. 결론: 렌즈 색상에 의해 동체 시력을 향상시키거나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운동선수 및 높은 동체 시력을 요하는 경우 렌즈 색상의 선택에 있어 신중을 기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dynamic visual acuity to color of optical lens. Methods: we measured dynamic visual acuity using 5 colored lenses (transparent, yellow, blue, green, brown) for 30 university students. Results: Dynamic visual acuity were highest on yellow colored lens and lowest on brown colored lens, for both of naked eyes and contact lens wearers. Conclusions: It can be concluded that optical lens color can influence on dynamic visual acuity. Selection of colour lense can enhance or decrease of dynamic visual acuity. Therefore, a selection of colour lense should be carefully decided especially for athletes who needs a good dynamic visual acuity.

키워드

참고문헌

  1. 하랄드큐퍼스, "컴퓨터시대의 색채학", 미크로, pp.30-38(1997).
  2. Gardner J. J. and Sherman A., "Vision requirements in sport", In: DFC Loran & CJ MacEwan, eds. Sports Vision. London., Butterworth-Heinemann, pp.167-170(1995).
  3. Coffey B. and Reichow A. W., "Optometric evaluation of the elite athletes: the pacific sports visual performance profile", Problems in Optometry, 1(2):32-58(1990).
  4. Berman A. M., "Clinical evaluation of the athlete", Optom. Clin., 3(1):1-26(1993).
  5. 안병철, "동체시력에 관한 연구-운동선수와 비운동선수에 있어서", 대한스포츠의학회지, 16(2):238-244(1998).
  6. Thomas A. W. and Jeff F., "Sports vision: training for better performance", 1 edition, Human kinetics, 28(1):184 (2005).
  7. 이명하, 신정훈, "시표크기에 따른 동체시력 측정에 관한 연구", 대한시과학회지, 7(1):129-133(2005).
  8. 이명하, 마기중, "동체시력 측정에 관한 연구", 서울보건대학 논문집, 16:15-161(1996).
  9. 이명하, 마기중, 원찬희, "야구선수와 일반 대학생의 동체시력 측정에 관한 연구", 대한시과학회지, 2(1):1-6(2000).
  10. Wood J. M. and Abernethy B., "An assessment of the efficacy of sports vision training programs", Optom. Vis. Sci., 74(8):646-659(1997). https://doi.org/10.1097/00006324-199708000-00026
  11. Smither J. A. and Kennedy R. S., "A portable device for the assessment of dynamic visual acuity", Applied Ergonomics, 41(2):266-273(2010). https://doi.org/10.1016/j.apergo.2009.07.008
  12. 임인수, "추적 안구훈련이 아이스하키 선수의 운동수행력과 동체시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생리학회, 12:(2):287-296(2003).
  13. 조근종, 윤정현, 임인수, 최건우, "체육측정평가:정지 및 동체시력이 야구 타율성적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36(2):2375-2381(1997).
  14. 윤건중, 양점홍, "스포츠생리학/스포츠 스킬과 정지 및 동체시력에 관한연구", 한국체육학회지, 39(1):417-425(2000).
  15. Ray N. J., Fowler S., and Stein J. F., "Yellow filters can improve magnocellular function: motion sensitivity, convergence, accommodation, and reading", Ann. N.Y. Acad. Sci., 1039:283-293(2005). https://doi.org/10.1196/annals.1325.027
  16. Yap M., "The effect of a yellow filter on contrast sensitivity", Ophthalmic Physiol. Opt., 4(3):227-232(1984). https://doi.org/10.1111/j.1475-1313.1984.tb00360.x
  17. Rieger G., "Improvement of contrast sensitivity with yellow filter glasses", Can. J. Ophthalmol., 27(3):137-138(1992).
  18. 이선행, "착색렌즈의 광투과율에 따른 시력 변화", 을지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9-25(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