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색상 렌즈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53초

잠김 방식에 의한 색상렌즈 제작 (Manufacturing the Color Lenses by Dipping Method)

  • 한두희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187-189
    • /
    • 2002
  • 잠김 방식(dipping)을 사용하여 안료에 의한 색상 렌즈를 제작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안료의 종류에 따른 색상 농도의 변화를 중심으로 조사한 바를 발표한다. 색상 렌즈는 안경 산업의 발전과 함께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게 뭔 것이다.

안경 렌즈 및 물체의 색상에 따른 최대 조절력 변화 (The Change of the Accommodative Amplitude in Accordance with the Color of the Spectacle Lens or Object)

  • 오병하;이재호;정세훈;박미정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19-124
    • /
    • 2008
  • 목적: 본 연구에서는 안경렌즈와 물체의 색상에 따라 최대 조절력의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방법: 20대 40명을 대상으로 무착색렌즈, 회색렌즈, 갈색렌즈, 녹색렌즈를 착용 후 물체 및 배경의 색상을 달리하면서 최대 조절력을 측정하였다. 최대 조절력은 마이너스 렌즈 부가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흰색 배경에 검정색, 빨간색, 녹색 물체를 볼 때 무착색렌즈에 비해 착색렌즈를 착용한 경우에 최대 조절력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녹색렌즈의 경우는 어떤 색상의 물체를 보더라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최대 조절력이 증가하였다. 또한, 어떤 색상의 렌즈를 착용하였을 때라도 녹색 물체를 볼 때 최대 굴절력이 가장 컸다. 배경색에 따라서도 최대 조절력이 변화되어, 배경색이 빨간색일 경우 흰색일 때보다 최대 조절력이 감소하였다. 반대로, 녹색 배경색인 물체를 볼 때는 적색 배경이나 흰색 배경일 때 보다 최대 조절력이 컸다. 착색렌즈 중에서는 회색렌즈가 최대 조절력을 가장 적게 증가시켰으며, 녹색렌즈가 가장 크게 증가시켰다. 최대 조절력이 9 D 이상인 피검자의 수는 초록색 배경에서는 회색렌즈를 사용하였을 때 12.5%, 갈색렌즈는 21.3%, 녹색렌즈는 22.5% 이었으나, 빨간색 배경에서는 각각 5%, 6.5%, 6.5% 이었다. 결론: 이러한 결과로 최대 조절력이 안경렌즈의 색상과 물체 및 배경의 색상에 따라 상이하며, 그로 인하여 적절한 색상의 안경렌즈로 눈의 피로감이 감소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안경렌즈 색상에 따른 동체 시력의 변화 (Differences of Dynamic Visual Acuity According to Optical Lens Color)

  • 이민아;김영지;정주현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7-11
    • /
    • 2011
  • 목적: 본 연구는 안경렌즈의 색상이 동체 시력에 미치는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앞으로 동체 시력 연구에 기초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방법: 3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투명한 색, 노란색, 파랑색, 녹색, 갈색의 5가지 색상 렌즈를 착용하고 동체 시력을 측정하였다. 결과: 나안과 콘택트렌즈 착용자 모두 동체 시력은 노란색 렌즈를 착용시 가장 높게 측정되었고, 갈색에서 가장 낮게 측정되었다. 결론: 렌즈 색상에 의해 동체 시력을 향상시키거나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운동선수 및 높은 동체 시력을 요하는 경우 렌즈 색상의 선택에 있어 신중을 기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증착 물질 두께 조절을 이용한 색상 렌즈 설계 (Color tens Design by Changing the Combination of Coating Materials)

  • 이덕희;류지욱;한두희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190-193
    • /
    • 2002
  • SiO₂, ZrO₂를 사용하여 안경 렌즈의 5충 코팅을 설계하였다. 제5층의 두께를 변화시킨 후 반사율을 계산하고, RGB의 반사율을 이용하여 반사된 빛의 색상을 시각화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제5충의 두께가 두꺼워지면서 반사광의 색상이 붉은 색상에서 푸른 색상으로 이동하였다. 색상의 분석은 Photosop5.0을 이용하였다.

색렌즈의 광투과율에 따른 대비감도 변화 (Change of Contrast Sensitivity According to Light Transmittance of Color Lens)

  • 이선행;이윤정;조현국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925-929
    • /
    • 2009
  • 본 연구는 착색렌즈의 광투과율에 따른 명소시 대비감도의 변화를 분석하여 색렌즈를 착용할 때 색상에 따른 적절한 광투과율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정상 시기능을 가진 남자 24명과 여자 13명을 대상으로, 광투과율 80~90%, 60~80%, 43~60%, 30~43%로 착색된 4개의 색렌즈(회색, 갈색, 적색, 녹색)를 순서대로 착용시키고 F.A.C.T. 시표를 이용하여 대비감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 결과, 광투과율이 감소될수록 대비감도는 감소되었고, 시감도는 갈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반대로 적색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비감도 검사결과를 고려한 색상별 권장 광투과율은 갈색, 회색과 녹색 38% 이상, 적색 52%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로 보아 일상생활에서 눈을 보호할 목적으로 색렌즈를 선택할 때 색상과 그 색상에 적절한 광투과율이 고려되어야 한다.

  • PDF

단어-색채검사를 이용한 렌즈의 색상과 시감투과율에 따른 색상왜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lor Distortion according to Colors and Luminous Transmittance of Lenses using Word-color Test)

  • 이경선;정수아;김창진;양석준;오상영;전병진;김현정;최은정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513-518
    • /
    • 2014
  • 목적: 전산화 신경인지기능 검사(CNT)에 속해있는 단어-색채검사를 이용하여 렌즈의 색상과 시감투과율에 의해 나타나는 색상왜곡을 알아본다. 방법: 안질환과 색각이상이 없는 평균나이 $21.97{\pm}1.58$세의 32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빛의 삼원색에 해당하는 red, green, blue에 pink를 추가하여 총 4가지 색상의 렌즈를 사용하였으며, 색상왜곡으로 인한 인지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CNT 중 단어-색채검사를 사용하였다. 결과: 4가지 렌즈색상 중 green, blue, pink에서는 반응시간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지 않았으나, red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반응시간이 증가하였다. Red 중 시감투과율 46% 이하에서 반응시간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결론: 46% 이하의 시감투과율을 가지는 red 렌즈는 사물을 보는데 색상왜곡의 원인으로 작용하여 안전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렌즈색상으로 선택 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단어-색채검사가 색상인지와 관련되는 추후 연구에 폭넓게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을 제안한다.

착색렌즈의 색상과 농도에 따른 원거리 사위도의 변화 (The Change of the Phoria in Accordance with the Color and Concentration of the Color Lens)

  • 최현수;박성종;이석주;진문석;전진;유근창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39-343
    • /
    • 2011
  • 목적: 본 연구에서는 안경렌즈의 색상과 농도에 따른 사위도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방법: 20~40세까지의 남녀 대학생 39명을 대상으로 무착색, 적색, 회색, 갈색, 녹색렌즈 를 각각 20%, 50%, 80%로 농도를 달리하여 착용 후 원거리 사위도를 측정하였다. 사위측정은 완전교정상태에서 포롭터(VT-SE, Topcon, Japan)를 이용하여 프리즘 분리법(Vongraefe technique)으로 측정하였다. 결과: 전체 대상자를 정위군, 내사위군, 외사위군으로 나누어서 실험하였다. 정위군에서는 모든 색상과 농도에서 약간의 내사위가 발생하였다. 내사위군에서는 평균 2.07${\Delta}$,BO 이던 사위도가 모든 색상과 농도에서 증가함을 보였고 특히, 갈색렌즈에서 가장 큰 증가를 보였다. 외사위군에서는 평균 3.82${\Delta}$,BI이던 사위도가 모든 색상과 농도에서 다소 감소함을 보였고 특히, 녹색렌즈에서 평균 2.95${\Delta}$,BI로 가장 큰 감소를 보였다. 같은 색상에서 농도를 달리하여 측정한 값은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결론: 안경렌즈의 색상에 따라 사위도의 변화가 확인되므로 렌즈의 색상을 선택함에 있어 사위도를 고려해야하며 안위이상의 피로도를 줄일 수 있는 색상을 찾는 기준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라 사료된다.

안경렌즈 착색에 관한 연구 I (A Study on the Colors of tenses I)

  • 한두희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1년도 추계산학기술 심포지엄 및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159-160
    • /
    • 2001
  • 안경은 현대인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편의 기구이며 건강기구이다. 한편 소비자의 개성이 다양화되면서 안경의 전체적 형태와 함께 안경테 및 안경 렌즈의 색상이 안경의 새로운 품질로 떠오르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잠김 및 캐스팅법에 의한 렌즈 색상내기에 대하여 자료를 제시한다.

착색렌즈의 농도와 색상에 따른 조절기능 변화 (The Change of Accommodative Functions by Difference Density and Color)

  • 장정운
    • 대한시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53-459
    • /
    • 2018
  •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착색렌즈 농도와 색상에 따라 눈의 조절기능에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연구대상자는 폭주값이 정상, 안위이상과 색각이상, 안질환이 없으며, 안과관련 수술 경험이 없는 20대 남녀 대학생 31명을 대상으로 무착색렌즈와 50%, 80%로 농도로 착색된 gray, blue, brown렌즈를 착용하고 조절기능을 측정하였다. 조절기능검사는 조절력, 조절효율, 양성 음성 상대조절검사 및 조절래그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 본 연구 대상자들은 착색렌즈를 착용 하였을 때 조절력과 조절래그가증가하였으며, 음성상대조절력은 무착색렌즈 착용 시 보다 착색렌즈 착용하였을 때 양안, 단안, 좌안에서 증가하였다. 양성상대조절력은 blue 50%착용 시 크게 나타났다. 또한, 착색렌즈를 착용 하였을 때 조절용이성은 증가하였으나, 착색렌즈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조절용이성은 감소하였다. 결론 : 착색렌즈의 농도에 따라 조절기능의 변화가 나타나므로 착색렌즈 농도 및 색상 선택 시 작업거리, 착색렌즈 착용 환경 등을 고려하여 선택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증착 물질 두께 조절을 이용한 색상 렌즈 설계 (Color Lens Design by Changing the Combination of Coating Materials)

  • 이덕희;류지욱;한두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3권2호
    • /
    • pp.84-88
    • /
    • 2002
  • SiO₂와 ZrO₂를 코팅물질로 사용하는 안경 렌즈의 5층 코팅을 설계하였다. 제5층의 두께를 변화시키면서 반사율을 계산하고, RGB의 반사율을 이용하여 반사된 빛의 색상을 시각화하였다. 그 결과 5층의 두께가 5nm부터 80nm까지 점점 두꺼워지면서 반사광의 붉은 색상이 점점 감소하였고 80nm에서 점점 두꺼워질수록 푸른 색상이 증가하였다. 색상의 분석은 Photoshop 5.0을 이용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