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DT 증후군의 눈 증상과 관련 요인

Ocular Symptoms on VDT Syndrome and Symptoms-Related Factors

  • 우현경 (강원대학교 안경광학과) ;
  • 문병연 (강원대학교 안경광학과) ;
  • 조현국 (강원대학교 안경광학과)
  • 투고 : 2011.07.28
  • 심사 : 2011.09.17
  • 발행 : 2011.09.30

초록

목적: VDT 증후군에서 자각하는 가장 일반적인 눈 증상과 이와 관련된 요인들을 알아보았다. 방법: 2010년 10월 1일부터 10월 15일까지 VDT 증후군 자가설문지를 사용하여 250명의 교사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눈 증상들과 관련된 요인들을 조사하기 위해 231명(남자 68명, 여자 163명)을 대상으로 통계분석을 하였다. 결과: VDT 증후군의 가장 일반적인 눈 증상은 '눈 피로감'이었고, 규칙적인 운동, 연령, VDT 작업시간, 그리고 휴식시간은 눈 증상과 유의한 상관성이 있는 요인들로 분석되었다. 결론: 규칙적인 운동과 충분한 휴식시간을 가짐으로써 VDT 증후군 눈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

Purpose: The most common symptoms of eyes on VDT syndrome and symptoms-related the factors were investigated. Methods: Self-questionnaire for VDT syndrome was done with 250 teachers from 1st to 15th October, 2010, and the data from 231 teachers (68 male, 163 female) was statistically analyzed to find the factors related to ocular symptoms. Results: The most common ocular symptom on VDT syndrome was 'feeling of eyes fatigue', and the factors which have correlation significantly to ocular symptoms were regular exercise, ages, VDT work time, and regular resting. Conclusions: Taking a rest and regular exercise contribute to relieve the ocular symptoms related to VDT syndrome.

키워드

참고문헌

  1. 문재동, 이민철, 김병우, "VDT 증후군 자각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에 관한 연구", 예방의학회지, 24(3):373-389(1991).
  2. Aaras A., Westgaard R. H., Stranden E., and Larsen S., "Postural load and the incidence of musculoskeletal illness. In: Sauter S, Dainoff MJ, Smith MJ, editors. Promotinghealth and productivity in the computerized office: models of successful ergonomic interventions", UK: Taylor & Francis, London, pp.68-93(1990).
  3. 이의철, 김환철, 정달영, 김동현, 임종환, 박신구, "사무직 근로자에서 직무스트레스 및 VDT 작업과 목어깨 근골격계 증상과의 관련성", 대한산업의학회지, 19(3):187-195(2007).
  4. World Health Organization, "Visual display terminal and worker's health", Geneva. WHO Office of Occupation Health (1987).
  5. Daum K. M., Good G., and Tijerina L., "Symptoms in video display terminal operators and the presence of small refractive errors", J. Am. Optom. Assoc., 59(9):691-697(1988).
  6. Gobba F. M., Broglia A., Sarti R., Luberto F., and Cavalleri A., "Visual fatigue in video display terminal operators: objective measure and relation to environmental conditions", Int. Arch. Occup. Environ. Health, 60(2):81-87(1988). https://doi.org/10.1007/BF00381485
  7. Luberto F., Gobba F., and Broglia A., "Temporary myopia and subjective symptoms in video display terminal operators", Med. Lav., 80(2):155-163(1989).
  8. Tsubota K., Kaido M., Yagi Y., Fujihara T., and Shimmura S., "Diseases associated with ocular surface abnormalities: the importance of reflex tearing", Br. J. Ophthalmol., 83(1):89-91(1999). https://doi.org/10.1136/bjo.83.1.89
  9. Yaginuma Y., Yamada H., and Naqai H.,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acrimation and blink in VDT work", Ergonomics, 33(6):799-809(1990). https://doi.org/10.1080/00140139008927186
  10. 박세형, 박창희, 서영성, 김대현, 이성룡, "일반인에 대한 영상 단말기 장기 사용자의 자각증상과 생활양식 비교", 가정의학회지, 19(8):630-641(1998).
  11. Scheiman M., "Accommodative and binocular vision disorders associated with video display terminals: diagnosis and management issues", J. Am. Optom. Assoc., 67(9):531-539(1996).
  12. Mutti D. O. and Zadnik K., "Is computer use a risk factor for myopia?", J. Am. optom. Assoc., 67(9):521-530(1996).
  13. 우극현, 최강서, 정영언, 한구웅, 박정한, 이종협, "텔레비전 생산업체 근로자들의 영상단말기 작업이 시력과 안증상에 미치는 영향", 예방의학회지, 25(3):247-266(1992).
  14. Blehm C., Vishnu S., Khattak A., Mitra S., and Yee R. W., "Computer vision syndrome: a review", Surv. Ophthalmol., 50(3):253-262(2005). https://doi.org/10.1016/j.survophthal.2005.02.008
  15. 김학철, 우창하, 김재찬, 신경환, "영상화면 단말기(VDT) 작업자의 안기능 변화에 대한 연구", 대한안과학회지, 32(12):1137-1144(1991).
  16. 심미정, 이영숙, "사무직 근로자의 VDT 증후군과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5(3):95-109(2008).
  17. 서미애, "사무직 근로자의 경견완증후군 발생률과 관련 요인",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16(2007).
  18. 양세이, "병원종사자가 지각하는 VDT증후군 증상과 건강증진행위에 관한연구", 건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37(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