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ues in Applying CV Methods to the Preliminary Feasibility Test

예비타당성조사 적용 CVM의 분석체계와 개선과제

  • Received : 2011.08.10
  • Accepted : 2011.09.05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ssues and suggests reform measures in applying CV methods to the Korea Development Institute's (KDI's) Preliminary Feasibility Test (PFT) of public projects. Most public projects on culture, science and environment evaluated under the PFT system belong to the category of "nonstandard" projects whose outputs are non-marketed, and CV is currently the main tool used for their benefit estimation. A careful discussion and investigation is recommended for the selection of target population, payment vehicle, and number of payment times. Operating expert reviews, focus group interviews, and pre-tests is highly recommended to reduce the potential bias involved in the CV studies. A single or double bounded dichotomous choice format is the most popular design of questionnaire, but we identify several undissolved issues in designing and implementing the format. Some other forms of inducing WTPs may still deserve our consideration. Various specifications of the WTP function need to be tried and tested based on their stability, in particular. Employing a nonparametric approach is also recommended. Treatments of 0 or negative WTPs and protest bids are shown to be the most serious issues that affect the estimation results significantly. We review diverse measures of handling those issues and summarize their advantages and shortcomings.

본 연구는 한국개발연구원의 예비타당성조사에서 문화 과학 시설 등의 비정형 사업에 대한 편익 평가의 기법으로 활용도가 커지고 있는 CVM의 분석체계를 고찰하고 개선과제를 제시하였다. CVM의 설계에서 시장영역, 즉 목표모집단의 설정, 소득세라는 지불수단, 5년간 연단위로 한정하는 지불 방법, 저항응답의 사유 등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논의가 필요하고, CVM의 설계에서 편의를 줄일 수 있는 전문가 검토, 표적집단조사, 사전조사, 본조사가 운영되도록 하여야 한다. 한편 CVM의 지불의사 유도 방법으로 활용되고 있는 단일 및 이중 양분선택형 질문방식에 의한 지불의사 유도 방법이 일반적이지만, 이 모형들과 관련된 쟁점에 대한 검토와 더불어 이외의 모형에 대해서도 검토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WTP 함수 추정에 가정하고 있는 특정 분포 가정을 다양화하여 WTP의 변동성을 검토하고, 모수적 분포 이외에 비모수적 기법을 활용하여 WTP 함수를 추정하는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아울러 0의 지불의사 문제와 저항응답을 처리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필요하며, 지불거부여부를 제시금액 이전에 제시하는 등의 질문 순서의 변화 등을 통한 지불거부자 파악 과정에서 발생하는 편의를 회피하는 노력 등도 검토되어야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