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영재교사들이 지각하는 관찰-추천 영재판별 시스템의 방향, 중요도, 실행수준 분석: 개념도 연구법을 활용하여

Exploring the Class Observation and Nomination System for the Identification of Gifted Students Using a Concept Mapping Approach

  • 투고 : 2011.02.08
  • 심사 : 2011.03.22
  • 발행 : 2011.03.31

초록

이 연구는 개념도 연구법이라는 새로운 연구방법을 소개하고 이를 활용하여 최근 이슈와 논란이 되고 있는 관찰-추천 영재 판별 시스템과 관련하여 현장에서 영재들을 지도하고 있는 영재담당교사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관찰-추천 영재판별 시스템의 바람직한 방향 및 그 중요도 그리고 실행수준을 탐색해 보았다. 이를 위해 12명의 영재교사들이 영재판별에서 바람직한 관찰-추천 시스템의 방향에 대해 작성한 진술문을 산출, 종합, 분류하고 이를 기초로 다차원 척도와 위계적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여기서 산출된 바람직한 관찰-추천 시스템 관련 문항을 가지고 112명의 영재담당교사들을 대상으로 각 문항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수준을 평가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판별에서 관찰-추천 시스템의 방향 탐색 인식에 대한 브레인스토밍 결과를 토대로 진술문을 종합한 결과 36개의 진술문이 도출 되었으며 이들 36개의 진술문에 대한 비유사성 평정 자료를 사용하여 다차원 척도분석을 실시한 결과 2차원 개념도 제작에 적합한 stress 값은 .249이었다. 개념도에 나타난 진술문의 좌표 값을 기초로 위계적 군집 분석을 실시한 결과, 영재판별에서 관찰-추천 시스템의 방향 탐색인식은 4개의 범주로 나타났다. 각 범주명은 '전문성 확보', '행정적 지원 확보', '공정성 확보', '관찰-추천제의 원칙'으로 명명되었다. 둘째, '전문성 확보'와 '공정성 확보' 범주가 상대적으로 더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으며, 모든 범주에서 관찰-추천 영재판별 시스템의 방향 탐색의 중요도와 실행수준의 점수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이 나타났다. 이 연구는 앞으로 본격화될 관찰-추천에 의한 영재 판별이 바람직한 방향으로 정착하기 위해 무엇이 필요하고 중요하며 현재는 어느 수준으로 이루어지고 있는가를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영재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영재교사들을 통해 알아보는데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erception of the observation and nomination system for the identification of the gifted and to find out the importance and practice level perceived by the gifted education teachers using the concept mapping approach. For this, twelve gifted education teachers brainstormed and gathered ideas for the ideal ways of observation and nomination system and the gathered statements were solicited.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were also used. In addition, 112 gifted education teachers rated the importance of and the practice level for the suggested ideas of observation and nomination system.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36 statements were solicited and as a result of concept mapping the suggested observation and nomination system were categorized as 'attainment of professionality', 'attainment of administrative support', 'attainment of fairness', and 'considering points for recommendation.'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erceived importance levels and the practice levels. Based on the results, imlic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in depth.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지영 (2007). 네트워크 성과측정 기획을 위한 개념도 연구법 적용가능성. 한국사회복지학, 59(3), 281-304.
  2. 류지영 (2010). 관찰․추천을 통한 영재판별에 대한 영재담당교사들의 인식과 태도. 한국교원교육연구, 27(2), 159-178.
  3. 류지영, 정현철 (2010). 영재학급 대상자 선발을 위한 관찰․추천 영재판별모형 개발연구. 영재교육연구, 20(1), 259-289.
  4. 박민정, 전동렬 (2008). 과학 영재교육 대상자 선발방법으로써 교사 추천제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2), 111-119.
  5. 박숙희 (2009). 소외계층 영재교육. 영재와 영재교육, 8(3), 5-21.
  6. 신보미 (2010). 수학 영재 관찰․추천 도구의 개발과 모의 적용 사례 연구. 영재교육연구, 20(1), 31-59.
  7. 이동혁 (2010). 한국어판 Gifted Rating Scale의 구인타당도. 영재교육연구, 20(2), 595-619.
  8. 이신동, 이정규, 박춘성 (2009). 최신영재교육학개론. 서울: 학지사.
  9. 이인호, 한기순 (2009). 영재교육 대상자 선발에서 교사 추천의 효용성 분석. 영재교육연구, 19(2), 381-404.
  10. 정찬석 (2005). 청소년 내담자가 지각한 상담의 도움 측면 탐색 연구.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11. 정찬석, 이은경, 김현주 (2004). 청소년 내담자가 지각하는 상담의 도움경험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6(1), 21-35.
  12. 조석희, 이미순, 황동주, 이현주 (2005). 소외계층 영재의 발굴 및 교육방안: 소외계층영재의 가정 및 개인특성분석.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CR 2005-64.
  13. 지승희, 박정민, 임영선 (2005). 인턴상담원이 지각하는 개인상담 수퍼비전에서의 도움 및 아쉬운 경험.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1), 75-90.
  14. 진현정, 최호성 (2010). 한국어판 영재아 행동특성 평정척도(K-SRBCSS)의 개발과 타당화. 영재교육연구, 20(2), 621-647.
  15. 최윤정, 김계현 (2007). 고학력 기혼여성의 진로단절 위기 경험에 대한 개념도 연구. 상담학연구, 8(3), 1031-1045.
  16. 최한나, 김삼화, 김창대 (2008). 청소년이 지각한 또래관계 역량. 상담학연구, 9(1), 181-197.
  17. 최한나, 김창대 (2008). 좋은 슈퍼비전 관계에 대한 슈퍼바이저의 인식 차원.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1), 1-21.
  18. 최호성 (2010). 영재 판별 교사의 자질과 역할. 인천대학교 과학영재교육연구소 영재교육판별교사 직무연수 (pp. 115-133). 인천: 인천대학교 과학영재교육연구소.
  19. Bedi, R. P. (2006). Concept mapping the client's perspective on counseling alliance formatio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3(1), 26-35. https://doi.org/10.1037/0022-0167.53.1.26
  20. Daughtry, D., & Kunkel, M. A. (1993). Experience of depression in college students: A concept map. Journal of Counseling Psychotherapy, 40, 316-323. https://doi.org/10.1037/0022-0167.40.3.316
  21. Giorgi, A. (1985). Sketch of a psychological phenomenological method. In A. Giorgi (Ed), Phenomenological and psychological research (pp. 12-28). Pittsburg, PA: Duquesne University Press.
  22. Gol, A. R., & Cook, S. W. (2004). Exploring the underlying dimensions of coping: A concept mapping approach.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23, 155-171. https://doi.org/10.1521/jscp.23.2.155.31021
  23. Goodyear, R. K., Tracey, T. J., Claiborn, C. D., Lichtenberg, J. W., & Wampold, B. E. (2005). Idiographic concept mapping in counseling psychology research: Conceptual overview, methodology, and illustratio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2(2), 236-242. https://doi.org/10.1037/0022-0167.52.2.236
  24. Johnsen, J. A., Biegel, D. E., & Shafran, R. (2000). Concept mapping in mental health: Uses and adaptations. Evaluation and Program Planning, 23, 67-75. https://doi.org/10.1016/S0149-7189(99)00038-5
  25. Kane, M., & Trochim, W. K. (2006). Concept mapping for planning and evaluation. California: Sage.
  26. Kanevsky, L. (2000). Dynamic assessment of gifted students. In K. Heller., F. Monks., R. Sternberg, & R. Subotnik (Eds.), Intelligence handbook of giftedness and talent (pp. 283-296). New York: Elsever.
  27. Maker, C. J., Nielson, A. B., & Rogers, J. A. (1994). Giftedness, diversity, and problemsolving: Multiple intelligences and diversity in educational settings. Teaching Exceptional Children, 27, 4-19. https://doi.org/10.1177/004005999402700101
  28. Sarouphim, K. M. (1999). Discover: A promising alternative assessment for the identification of gifted minorities. Gifted Child Quarterly, 43(4), 244-251. https://doi.org/10.1177/001698629904300403
  29. Scott, J. P., & Jillian, C. G. (2010). The teacher observation form: Revisions and updates. Gifted Child Quarterly, 54(3), 179-188. https://doi.org/10.1177/0016986210369258
  30. Siegle, D., & Powel, T. (2004). Exploring teacher biases when nominating students for gifted programs. Gifted Child Quarterly, 48(1), 21-29. https://doi.org/10.1177/001698620404800103
  31. Trochim, W. M. K. (1989). An introduction to concept mapping for planning and evaluation. Evaluation and Program Planning, 12, 1-16. https://doi.org/10.1016/0149-7189(89)90016-5
  32. Trochim, W. M. K. (1993). The concept system. Ithaca, New York: Author.
  33. Paulson, B. L., Truscott, D., & Stuart, J. (1999). Clients' perception of helpful experiences in counseling. Journal of Counseling Psychotherapy, 46, 317-324. https://doi.org/10.1037/0022-0167.46.3.317
  34. Paulson, B. L., & Worth, M. (2002). Counseling for suicide: Client perspective.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80, 86-93. https://doi.org/10.1002/j.1556-6678.2002.tb00170.x
  35. Prieto, L., Parra, J., Ferrándiz, C., & Sanchez, C. (2004). The role of the teacher within the identification of gifted students. Leeds, UK: University of Lee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