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ereotype Femininity Expressed in Fashion Illustration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에 표현된 스테레오타입 여성성

  • Lee, Kyung-Ah (Dept. of Textile & Clothing Design, College of Art and Design, Kyung Hee University) ;
  • Geum, Key-Sook (Dept. of Textile Art & Fashion Design, Hong-Ik University)
  • 이경아 (경희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 의류디자인학과) ;
  • 금기숙 (홍익대학교 섬유미술.패션디자인과)
  • Received : 2011.02.28
  • Accepted : 2011.04.08
  • Published : 2011.04.30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stereotyped femininity with a focus on body codes, which has been continuously expressed in fashion illustrations from the late $19^{th}$ century to the year 2010, and examines the changes in its meaning. Stereotyped femininity was reorganized by the changes in female sex role effected by social changes, as well as by the body discourse and feminism in the late $20^{th}$ century, These socio-cultural backgrounds led to the change in the meaning of stereotyped women expressed in fashion illustrations. The stereotyped women in fashion illustrations are characterized by gender-oriented body, and the typical image of women was reproduced with the marks of poses and looks that feature passiveness and subordination. Then, the gender-oriented body since 1990's shifted to active meaning that positively revealed sexual desire. The space positioned by women is also the symbol of gender. In line with changes over time, the backgrounds in fashion illustrations have changed from private space such as home and nature to public space such as city, which reflects diversification and expansion of space for women. This study has identified the changes in meaning,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stereotyped women expressed in fashion illustrations. Above all, women who were objectified as a subject by dominant discourse have established the concept of active body as an entity. In addition, the symbol of typical femininity is "slim" and "beauty", which reflects the change from the emphasis on childbirth-related femininity to self-control and conquer. On the other hand, the typical features expressed through body have reproduced dichotomous structure, but the emergence of body and background deviated from gender has reorganized the symbolic order of gender.

Keywords

References

  1. 강태희 (1995). 현대미술의 문맥읽기. 서울: 미진사.
  2.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편찬 (2009). 고려대 한국어 대사전. 서울: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3. 김경집 (2007). 생각의 프레임. 서울: 현실문화연구.
  4. 김선남 (1997). 매스미디어와 여성. 서울: 범우사.
  5. 김은실 (2001). 여성의 몸, 몸의 문화정치학. 서울: 또 하나의 문화.
  6. 김정선 (1996). "빅토리아 시대 유행복식과 반유행 복식운동에 나타난 여성성과 인체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김주희 (2011). "춤에서 드러난 젠더적 몸의 양상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김지연 (2003). "국내 여성복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에 기초한 패션트렌드 선호도 분석 및 패션 상품기획의 트렌드 반영 방향 모색: 베이비부머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지현 (2003). "여성의 몸-그 파편화된 이미지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홍탁 (2003). 광고 리비도를 만나다. 서울: 동아일보사.
  11. 다이애너 크레인 (2004). 패션의 문화와 사회사. 서울: 한길사.
  12. 로버트 골드만 (2006). 광고에서 사회를 읽는다.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13. 리타 펠스키 (2010). 근대성과 페미니즘. 김영찬, 심진경 역. 서울: 기획출판 거름.
  14. 박정순, 김훈순 (1997). 대중매체와 성의 상징질서. 서울: 나남출판.
  15. 발트라우트 포슈 (2004). 몸 숭배와 광기. 조원규 역. 서울: 여성신문사.
  16. 밸러리 멘데스, 에이미 드 라 헤이 (2003). 20세기 패션. 김정은 역. 서울: 시공사.
  17. 샤오춘레이 (2006). 욕망과 지혜의 문화사전: 몸. 유소영 역. 파주: 푸른숲.
  18. (사)한국여성연구소 (2005). 새 여성학 강의: 한국사회, 여성, 젠더. 파주: 동녘.
  19. 수전 보르도 (2003). 참을 수 없는 몸의 무거움. 박오복 역. 서울: 또 하나의 문화.
  20. 스티븐 베스트, 더글라스 켈너 (1995). 탈현대의 사회이론: 탈현대의 비판적 질의. 정일준 역. 서울: 현대미학사.
  21. 앤 브룩스 (2003). 포스트페미니즘과 문화이론. 김명혜 역. 서울: 도서출판 한나래.
  22. 양혜림, 김선희, 김철운, 유성선 (2009). 섹슈얼리티와 철학. 서울: 철학과 현실사.
  23. 윤가현 (1999). 성 심리학. 서울: 정원사.
  24. 이성남 (2005). "디자인 요소의 속성 범주와 표상의 전형성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이윤희 (2006). "한국 근대 여성잡지의 표지화를 통해본 여성 이미지-신여성과 여성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정태섭 외 공저 (2002). 성역사와 문화. 서울: 동국대학교출판부.
  27. 제르다 북스바움 (2009). 20세기 패션 아이콘. 금기숙 외 역. 서울: 미술문화.
  28. 조현준 (2007). 주디스 버틀러의 젠더 정체성 이론: 퀴어 정치학과 A. 카터의서커스의 밤. 파주: 한국학술정보(주).
  29. 크리스타니 폰 브라운, 잉테 슈테판 (2002). 젠더연구: 성평등을 위한 비판적 학문. 탁선미 외 역. 서울: 나남출판사.
  30. 홍태희 (2009). "젠더의 역사적 구성: 성별관계와 여성경제사." 여성경제연구 6집 2호.
  31. Breward, Christopher (2003). Fashion.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32. Craik, Jennifer (2000). The Face of Fashion: Cultural Studies in Fashion. London: Routledge.
  33. Mayasari, Fitria (2009). "Gender Portrayal in Indonesian Women's Lifestyle Magazine Advertisements."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Mcdowell, Linda (1999). Gender, Identity & Place: Understanding Feminist Geographies.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