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 of Domestic Fire Industry

국내 소방산업 육성방안에 관한 연구

  • 신미영 ((재)강원테크노파크 방재산업사업단) ;
  • 김정숙 (강원대학교 방재전문대학원) ;
  • 정도영 (강원대학교 방재전문대학원)
  • Received : 2011.11.08
  • Accepted : 2011.04.08
  • Published : 2011.04.30

Abstract

Due to the city concentrated symptoms, high-rise building symptoms and diversity, the scale of fire disaster is increasing. So the economic expectation of fire disaster industry is growing. The domestic fire industry has an inadequate system, and hasn't a methodical system to foster the industry. And also most of the fire industry company are small and poor scale. So they haven't enough infrastructure like technical skill, manpower, marketing and so on. In order to drive fire industry from local fire protection industry to knowledge service, in this study, the items of human resources fostering, infrastructure and R&D were set and analyzed as detailed growth analysis factors. Also, the improvement plans were suggested and compared with IT industry which is defined as core industry in the 21st century knowledge-based economy in Korea.

도시의 밀집화, 고층화, 다양화로 인해 재난의 규모가 커지면서 소방산업의 경제적 기대효과도 커지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소방산업은 태동단계로 법제도가 미비할 뿐만 아니라 체계적 육성전략이 수립되지 않은 상태이고, 산업구조 또한 대다수 영세업체로 이루어져 있어서 인력, 인프라, 기술력이 매우 열악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태동산업인 국내 소방산업을 고부가가치형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3가지 성장동력 세부 분석요인을 설정하여 각 요인별 현황을 살펴보고, 국내 성장동력산업인 IT산업과 비교분석을 통해 문제점 도출 및 육성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오혁, 김홍석, "지방 문화산업 육성방안 : 문화산업지구 조성을 중심으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pp.232-238(2000).
  2. 배기운, "(21세기 바이오사회(Biosociety)구현을 위한) 생물산업육성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배기운의원실, pp.25-41(2000).
  3. 경남발전연구원, "경남의 지식집약형 기계산업 육성방안", pp.20-34(2000).
  4.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중장기 환경산업 육성 및 해외진출 촉진 방안", pp.156-177(2004).
  5.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산학연 협력을 통한 과학기기 및 첨단기기 산업육성 방안", pp.151-161(2005).
  6. 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 "지역소프트웨어산업 육성정책 연구", pp.388-446(2004).
  7. 대한전자공학회, "세계 최고 IT 경쟁력 확보를 위한 선진국 IT산업 육성전략 사례조사"(2002).
  8. 서원, "지역특화산업 선정과 육성방안에 관한 연구: 경북 문경시를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대학원(2009).
  9. 김용만, "인터넷 미디어산업의 발전모형 연구", 한남대학교 대학원(2007).
  10.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 "2007 기술표준백서", pp.475-478(2008).
  11. 법제처, http://www.moleg.go.kr.
  12. 소방방재청, "소방정책개발 소방교육 체계구축을 위한 소방학 정립 연구", 소방방재청, pp.3-5(2009).
  13. 김태환, 남상호, "한국소방산업의 발전과정과 향후과제의 고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Vol.22, No.5, 통권 제73호, pp.112-124(2008).
  14. 강원테크노파크 방재산업사업단, "소방방재산업 시장분석 및 제품동향 조사연구", 강원테크노파크 방재산업사업단 pp.3-7(2009).
  15. 공감코리아 홈페이지, "차세대 핵심 소방안전기술개발사업(소방R&D)추진", www.korea.kr.
  16.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IT산업 현황 조사에 관한 연구", 지식경제부, pp.32-38(2008).
  17. 신미영, 이해평, 정도영, "국내 소방산업 인력양성현황 및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Vol.23, No.5, pp.173-180(2009).
  18. 정보통신부, "IT여성인력 수급전망 및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pp.33-37(2007).
  19. 기획재정부, "국가연구개발사업 상위평가 보고서", 기획재정부(2009).
  20. 김기흥, "IT를 기반으로한 고부가가치형 산업구조 형성촉진을 위한 전략연구", 정보통신부, pp.328-329 (2004).
  21. 엄익천, 김인자, "정부 연구개발 예산 현황분석", 한국과학기술평가원, pp.56-57(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