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Carbon Emission and Urban Spatial Patterns

도시패턴과 탄소배출량의 관계 분석

  • Received : 2010.01.17
  • Accepted : 2010.02.28
  • Published : 2011.02.28

Abstract

Greenhouses gas emission due to usage of fossil fuel has been known as one of the main causes of global warming. Fundamentally, greenhouse gas is a by-product of economic activity. Since majority of economic activity happens in an urban setting, a countermeasure in an urban setting is needed. Therefore, an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carbon dioxide emission and urban form will be investigated for urban planning and management in the fu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carbon dioxide emission and urban spatial patterns, and suggesting an urban form with low carbon dioxide emission. In order to achieve this, first theoret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on urban spatial patterns related to physical size, usage rate, and activity level. Secondly, Seoul's dam on electricity, natural gas, local heating, petroleum, and water usage and mapping a carbon dioxide emission map. Thirdly, relationship between carbon dioxide emission and urban spatial patterns are analyzed and urban spatial patterns that affects energy usage in urban setting was elucidated, and elicited implications on future directions on urban planning based on our analyses above.

전 지구적 기후변화인 지구온난화의 주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는 온실가스는 공간적으로 주로 도시에서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도시차원에서의 대책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본 연구는 도시형태와 탄소발생량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기후변화에 대응한 탄소배출저감형 도시의 형태를 제시하는 것을 궁극적인 목표로 삼고 있다. 이를 위해, 첫째로 도시형태에 대한 이론고찰을 수행하여 도시공간의 물리적 규모, 이용현황, 활동강도와 관련된 도시형태요소를 선정하였다. 둘째, 서울시를 사례로 전력, 도시가스, 지역난방, 석유, 상수도 사용량 자료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 배출량 지도를 작성하였다. 셋째, 이산화탄소 배출량과 도시형태요소와의 관계를 분석하여 도시공간에서 에너지 사용량에 영향을 주는 도시형태를 밝혀내고, 도시계획 측면에서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시형태 요소와 이산화탄소 배출량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실제 에너지 사용량에 기반하여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산정하여 활용하였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가 지닌 한계를 극복하고, 사례분석을 통해 구체적이고도 결과를 도출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D. Banister, 1992, "Energy Use, Transport and Settlement Pattern," in Breheny, MJ.(ed), 1992, p. 160-181, Sustainable Development and Urban Form, Pion, London.
  2. P. Garden and H. W. Richardson, 1989, "Gasoline Consumption and Cities: A Reply," Journal of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Vol. 55, No 3, pp. 342-346. https://doi.org/10.1080/01944368908975421
  3. L. O. Marquez, 1999, "A Framework for Linking Urban Form and Air Quality," Environmental Modelling and Software, Vol. 14, No. 6. pp. 541-548. https://doi.org/10.1016/S1364-8152(99)00018-3
  4. P. W. G. Newman and J. R. Kenworthy, 1989, "Gasoline Consumption and Cities: A Comparision of U.S. Cities with a Global Survey," Journal of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Vol. 55, No. 1, pp. 24-37. https://doi.org/10.1080/01944368908975398
  5. S. E. Owens, 1984, "Energy and Spatial Structure: A Rural Example," Environment and Planning B, Vol. 16, No. 10, pp. 1319-1337. https://doi.org/10.1068/a161319
  6. P. A. Rickaby, 1991, "Energy and Urban Development in an Archetypal English Town," Environment and Planning B, Vol. 18, No. 2, pp. 153-175. https://doi.org/10.1068/b180153
  7. M. K. Svensson and I. Eliasson, 2002, "Diurnal Air Temperature in Built-up Areas in Relation to Urban Planning,"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Vol. 61, No. 1, pp. 37-54. https://doi.org/10.1016/S0169-2046(02)00076-2
  8. 국토연구원, 2009, "기후변화에 대비한 지속가능한 국토관리 전략(1): 지역별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및 지역특성 분석"
  9. 권영아, 2002, "서울의 도심 녹지가 주변 기온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0. 김승담, 이경환, 안건혁, 2009, "압축도시 공간구조 특성이 교통에너지 소비와 대기오염 농도에 미치는 영향," 국토계획, 제4권, 제2호, pp. 231-246.
  11. 김윤종, 이석민, 원종식, 2000, "GIS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서울시 1/5000 수문지질도 작성방안 연구," 한국GIS학회 제8권, 제1호, pp. 101-116.
  12. 김윤종, 조용현, 김경민, 2000, "자연환경관리 GIS를 이용한 서울시 생태.자연도 작성 연구," 한국GIS학회지 제8권, 제1호, pp. 51-67.
  13. 김재욱, 이동근, 오규식, 성현찬, 2003, "하천 및 녹지와 온도의 관계에 대한 기초적 연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제6권, 제3호, pp. 79-85.
  14. 김홍배, 김재구, 2010, "도시 내 탄소발생량 산정과 저탄소도시 개발의 핵심부문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제45권, 제1호, pp. 35-48.
  15. 남궁근, 최병선, 원미연. 2010 "에너지 소비특성에 따른 도시유형별 정책방향 연구," 국토계획, 제45권, 제1호, pp. 237-250.
  16. 남기찬, 김홍석, 손민수, 2008, "인구압축도시와 교통에너지와의 관계연구: 압축지표를 활용하여," 국토계획, 제43권, 제2호, pp. 155-169.
  17.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5, "서울 2005 도시생태 현황도," 서울특별시.
  18.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8, "서울시 기후.에너지 지도 제작 (2차년도)," 서울특별시.
  19. 서울특별시, 2006, "2020 서울도시기본계획," 서울특별시.
  20. 송기욱, 남진, 2009, "압축형 도시특성요소가 교통에너지 소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분석," 국토계획, 제4권, 제5호, pp. 193-206.
  21. 수도권교통본부,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인천발전연구원, 경기개발연구원, 2007, "2006 수도권 가구 통행실태조사," 수도권교통본부,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22. 안건혁, 2000, "도시형태와 에너지활용과의 관계 연구," 국토계획, 제35권, 제2호, pp. 9-18.
  23. 엄향희, 1997, "서울의 상대습도 변화에 나타난 도시 효과," 한국기상학회지, 제33권, 제1호, pp. 127-135.
  24. 에너지관리공단, 2009, "2009 에너지.기후변화 편람," 에너지관리공단.
  25. 오규식, 홍재주, 2006, "도시공간 구성요소와 도시 열섬현상의 관련성 연구," 도시설계, 제6권, 제1호, pp. 47-63.
  26. 윤용환, 2001, "녹지에 의한 열섬현상의 저감효과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제36권, 제2호, pp. 187-196.
  27. 이승일, 2010, "저탄소.에너지절약도시 구현을 위한 우리나라 대도시의 토지이용-교통모델 개발방향," 국토계획, 제45권, 제1호, pp. 265-281.
  28. 이주형, 2001, "도시형태론," 보성각, 서울.
  29. 이춘희, 이주형, 2007, "21세기 새로운 도시계획 패러다임에 따른 도시형태 연구-행정중심복합도시 국제공모 작품을 중심으로," 국토연구, 제54권, pp.97-117.
  30. 조용현, 신수영, 2002, "도시림의 여름 대기온도 저감효과," 한국조경학회지, 제30권, 제4호, pp. 28-36
  31. 통계청, 2009, "한국의 사회지표 2008," 통계청.
  32. 황지욱, 김소정, 2003, "도시열섬현상의 주거 형태별 비교분석," 국토계획, 제38권, 제7호, pp. 235-2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