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탄소배출

Search Result 1,055,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The Analysis of Carbon Emission Efficiency and Affecting Factors in China (중국의 지역별 탄소배출 효율성 추정 및 영향요인 분석)

  • Pan, Chi;Min, Dongki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26 no.2
    • /
    • pp.205-227
    • /
    • 2017
  • Today, the global environment has so many serious problems such as global warming, ecological destruction and air pollution. Now China is the second largest carbon emissions country in the world. In this paper, we estimated the ratio of GDP per unit of carbon emissions for each of 30 provinces in China, and then also estimated the carbon emission efficiency of 30 provinces and analyzed the factors that affecting them. There are differences in carbon emission efficiency among different provinces, and carbon emission efficiency is relatively high in Hainan Province, Beijing, and Tianjin. In the regression results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carbon emission efficiency, when the proportion of service industries is higher, the efficiency is higher. Also, when the higher the proportion of heavy industry and the higher the proportion of coal consumption are estimated to be worse.

2050 Carbon-neutrality scenario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in domestic building sector (2050년 국내 건물 부문의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탄소중립 시나리오 연구)

  • Jiwoo Choi;Hakgeun Jeong;Hyungjun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396-396
    • /
    • 2023
  • 기후 위기에 대한 대응으로 현재 많은 국가에서 2050년 탄소중립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선언하고 다양한 부문의 배출 절감 계획을 내세웠다. 현재 건물 부문에서는 2050년의 목표배출량을 6.2 백만톤 CO2eq으로 설정하고 관련 정책적 수단을 검토 중이지만 달성 방안 등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건물 부문의 이산화탄소의 배출량 산정 모델을 개발하여, 2050년까지 이산화탄소 배출 저감 시나리오를 시뮬레이션하였다. 이를 토대로 국내의 건물 부문 탄소중립 가능성을 검토한 통합 시나리오를 제시하고, 향후 정책 및 기술 개발의 방향성을 제시한다. 탄소배출량 산정모델은 연면적 예측 및 사용 에너지의 원단위 환산, 탄소배출계수 등을 고려해 개발하였고, 이를 활용하여 4가지 탄소배출 시나리오를 분석하였다. 먼저 현재 정책 기반 탄소 배출 시나리오는 탄소중립에 이르지 못하여 더 강화된 시나리오의 필요성을 보여준다. 신규 건물을 대상으로 한 제로 에너지화 제도 기반 시나리오는 전체 탄소배출량에 큰 기여를 하지 못하며, 기존 건물 대상의 그린 리모델링 제도 기반 시나리오에서는 10년 이상 건물에 50% 이상의 높은 에너지 효율 개선을 시행해야 한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또한 전기화 시나리오에서는 화석연료와 전력의 탄소배출계수를 비교하여 적절한 에너지 전환 시점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 건물 부문에서 2050년까지 탄소배출량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신축 건물의 에너지 자립율 100%, 에너지 전환 계획과 연동한 건물의 전기화, 그리고 그린리모델링을 통한 효율 개선 기준을 47% 이상 달성하는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는 결과를 얻었다. 이 연구는 도전적인 온실가스 감축 마련의 필요성을 제시하였으며, 탄소중립 가능성을 제시하여 실질적인 감축정책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A Study on Calculation Model of CO2 Emission in Third Party Logistics (제3자 물류기업의 탄소배출량 산정 모형에 관한 연구)

  • Shin, Jae-Cheon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2011.04a
    • /
    • pp.625-633
    • /
    • 2011
  • 전 세계적인 기후변화 협약과 정부의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으로 물류기업은 탄소배출량 감축을 위한 노력을 해야 할 시대에 직면하고 있다. 특히 화주기업에 대한 서비스제공과 화주의 경영 가치 실현에 공헌해야 할 제3자 물류기업은 기업자체의 경쟁력뿐 아니라 화주기업의 탄소경영에 이바지하기 위해서라도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감축하는 노력을 해야 한다. 탄소 배출량을 감축하기 위해서는 제3자 물류기업의 특성에 맞는 탄소배출량을 산정해야 하고 이러한 산정방법이 공정하고 일관성 있는 체계로 실행되어야 한다.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탄소경계 설정과 연료별, 연비법, 톤-킬로미터법 등 다양한 계산방식을 적용해야 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제3자 물류기업의 현실에 맞는 이산화탄소 배출량 산정 모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 PDF

Evaluation on Reduction Effect of CO emission by The Real-time Traffic Information Service (실시간교통정보서비스의 일산화탄소 배출저감효과 평가)

  • Kim, Jun-Hyung;Um, Jung-Sup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10.09a
    • /
    • pp.129-133
    • /
    • 2010
  • 본 논문은 차량의 공회전시 불완전연소로 인한 일산화탄소의 배출량이 최대인 점에 착안하여 일반 네비게이션에서 제공하는 최단거리 모드로 주행했을 시와 '막힘없는 길 안내를 제공' 한다는 최신 공간정보기술인 실시간교통정보서비스를 적용했을 시의 공회전시간 및 일산화탄소 배출량을 비교 평가하여, 실시간교통정보서비스의 일산화탄소 저감효과를 추정해보기 위해 진행되었다. 대구시내의 교통정체구역인 수성구청에서 성서초등학교에 이르는 약 12km의 구간을 선정하여 2주간 동일구간을 요일별 시간대별로 주행함으로써 최단거리 안내서비스 주행시와 실시간교통정보서비스를 적용한 경로주행시의 공회전시간을 기록하고 환경부에서 제공하는 연료별 배출계수와 평균속도에 따른 일산화탄소 배출계수를 이용하여 일산화탄소 배출량을 산정하였으며, 측정결과 공회전시간이 약 28%, 일산화탄소 배출량은 약 57%의 감축효과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 PDF

The Carbon Content and Chain Embodied in Exports of Korea with Major Trading Partners : The Multi-Regional Input-Output Analysis (한국의 수출에 함유된 국내외 탄소배출 비중과 탄소사슬(carbon chain): 주요 교역상대국들을 중심으로 한 다지역 산업연관분석)

  • Shin, Dong Cheon;Lee, Hyeok;Kim, Yong Kyun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24 no.1
    • /
    • pp.141-164
    • /
    • 2015
  • The concept of consumption-based greenhouse gas (GHG) inventory is directly related with the carbon content of international trade. Along the lines of the consumption-based GHG inventory, we investigate domestic and foreign carbon contents embodied in sectoral exports of Korea. In addition to the analysis of carbon content of exports, it is investigated how much share of responsibility for carbon emissions of Korea belongs to each major trading partner of Korea. We also compute the carbon intensities of Korean exports in carbon chain with other trading partners and find some characteristics revealed in Korea's carbon emissions embodied in its exports.

Calculation of Basic Unit of Carbon Emissions in Construction Stage of the Road Infrastructure (도로시설물의 전과정 탄소배출량 산정을 위한 시공단계 탄소배출원단위 구축)

  • Kwak, In-Ho;Kim, Kun-Ho;Cho, Woo-Hyoung;Park, Kwang-Ho;Hwang, Young-Wo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7 no.2
    • /
    • pp.107-112
    • /
    • 2015
  • Carbon emissions in construction stage is very high because lots of construction machines and materials are required to be used at a road construction stage. Many researcher carried out application of carbon emissions estimation methodology during the life cycle of road infrastructure in order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in the road sector. But the calculation of carbon emissions is difficult because data collection is difficult and calculation procedure is complex. In this study, a basic unit of carbon emissions in construction stage of the road infrastructure was developed in order to get the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carbon that occurs. Carbon emissions of the expressway and common state road was calculated by using the basic unit of carbon emissions and application plan of basic unit of carbon emissions are presented.

Analysis of Carbon Emissions According to Combustion of Surface Fuels (지표연료의 연소에 따른 탄소배출량 분석)

  • Park, Young Ju;Lee, Hae Pyeong;Kim, Min Jung;Kim, Hae Rim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192-192
    • /
    • 2011
  • 교토의정서에서 지구온난화의 원인이 되는 온실가스로 $CO_2$, $CH_4$, $N_2O$, HFCs, PFCs, $SF_6$를 규제하고 있다. 규제하는 6대 온실가스 가운데 $CO_2$가 가장 대표적이며, 우리나라의 연료연소에 의한 $CO_2$ 배출량은 세계 10위로 기후변화 진행속도는 세계 평균속도보다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는 온실가스 배출로 인한 DB구축 연구가 선행되어야 하며, 산림부분에 있어서는 연료의 열적특성 구명 연구가 극도로 미진한 국내현실에서 기초 data 확보를 위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불발생 시 온실가스 배출량의 DB를 구축하기 위하여 산불발생 시 배출되는 탄소배출량을 예측하고자 산림 가연물의 연소실험을 수행 하였다. 연소실험은 산림 연료 가운데 지표연료 10가지(소나무낙엽, 굴참나무낙엽, 소나무솔방울, 밤나무밤송이껍질, 방아풀, 주름조개풀, 칡, 엉겅퀴, 김의털, 고비)를 대상으로 콘칼로리미터 장비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와 일산화탄소 배출량을 분석하였다. 탄소배출량 실험에 앞서 지표연료들의 함수율을 측정한 결과, 10가지 지표연료 가운데 고사한 연료(낙엽, 솔방울, 밤송이)는 9~24% 정도, 생연료인 초본류 6가지는 181~484%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솔방울과 밤송이의 경우 9~10%로 가장 수분을 적게 함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탄소배출량 분석 결과, 50g 중량에 대한 10가지 지표연료들의 이산화탄소 총배출량은 28~98g 정도, 일산화탄소 총배출량은 0.76~4.08g 정도 배출하는 것으로 나타나 연료별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고사한 연료와 생연료의 탄소배출량 차이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일산화탄소 총배출량은 고사한 연료(소나무낙엽, 굴참나무 낙엽, 소나무 솔방울, 밤나무 밤송이)는 3.24~4.08g 정도, 생연료 초본류 6가지(방아풀, 주름조개풀, 칡, 엉겅퀴, 김의털, 고비)는 0.76~2.73g 정도 배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산화탄소 총배출량은 함수율이 현저히 낮은 4가지 연료(소나무 낙엽, 굴참나무 낙엽, 소나무 솔방울, 밤나무 밤송이 껍질)들은 52~98g 정도, 함수율이 높은 6가지 초본류는 28~48g 정도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고사한 연료인 소나무 낙엽, 굴참나무 낙엽, 소나무 솔방울, 밤나무 밤송이는 초본류 보다 상대적으로 이산화탄소와 일산화탄소 배출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소나무 솔방울은 가장 많은 이산화탄소와 일산화탄소를 배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방아풀과 주름조개풀은 각각 28g과 35g으로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산불발생 시, 소나무의 솔방울은 10가지 지표연료 가운데 상대적으로 많은 이산화탄소와 일산화탄소를 배출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 Study on the Fuel Mix Change Considering the Certified Emission Reduction (탄소배출권을 고려한 전원구성변화에 대한 연구)

  • Jeong, Hui-Won;Ku, Bon-Hui;Cha, Jun-Mi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5.07a
    • /
    • pp.481-482
    • /
    • 2015
  • 2015년부터 우리나라는 온실가스 배출량 감소를 위해 교토의정서에서 제시한 메커니즘 중 탄소배출권 거래 제도를 도입하였다. 시장개념이 기본인 탄소배출권 거래 제도를 도입함으로써 온실가스 배출량을 더욱 경제적이고 효율적으로 감축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미 선진국들은 온실가스 배출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여러 움직임들을 보이고 있으며 특히 배출권 거래 제도는 유럽을 중심으로 활성화 되었다. 이와 동시에 신재생에너지의 보급을 통하여 전력 발전부문에서 큰 감축효과를 얻게 되었다. 하지만 2008년 서유럽으로부터 시작된 유럽지역 경제악화는 배출권 제도의 예상치 못한 단점을 보여주는 사례가 되었다. 이와 다르게 미국의 경우 배출권 제도가 아닌 전원구성변화를 통해 비교적 안정적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였다. 기존 기저 발전원을 담당하던 원전과 석탄화력 발전을 대체하기 위하여 가스발전의 활성화를 도입하였고, 온실가스의 배출량을 8년 사이에 약 16억톤을 감소시켰다. 이에 본문에서는 탄소배출권 거래 제도의 도입과 동시에 전원구성변화가 이루어졌다고 가정하여 탄소 배출권 가격을 고려하였을 때 계통운영비용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 탄소 배출량에 따른 가격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 PDF

The Calculation of Carbon Footprint Embodied in International Trade: A Multi-Regional Input-Output Analysis (국제무역에 함유된 탄소이력(carbon footprint)의 측정과 분석: MRIO모형의 응용)

  • Shin, Dong Cheon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22 no.1
    • /
    • pp.31-52
    • /
    • 2013
  • The recent analyses of carbon emissions embodied in international trade are related with discussions on who is responsible for the carbon emissions causing global warming. Some authors insist that the countries importing carbon-intensive goods should share the responsibility with the suppliers of those goods. In order to determine which countries are net importers of carbon dioxide embodied in traded goods, we need to construct the multi-regional input-output (MRIO) model incorporating national input-output tables and data on bilateral trades. The paper calculates consumption-based as well as production-based inventories by using MRIO model whose global database is GTAP version 8 to get the picture of carbon footprints in international trades of Korea and other regions in the world.

The Logistics Equipment Carbon Emission Monitoring System for a Green Port (Green Port 구현을 위한 물류장비 탄소배출 모니터링 시스템)

  • Choi, Hyung-Rim;Park, Byoung-Kwon;Lee, Byung-Ha;Park, Yong-Sung;Lee, Chang-Sup;Kwon, Tae-Woo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5a
    • /
    • pp.80-84
    • /
    • 2010
  • 미국 환경단체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항만이 대기오염의 주범으로 알려진 자동차나 발전소보다 더 많은 오염물질을 배출하고 있으며, 특히 컨테이너트럭과 하역장비에서 많은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세계 5위의 컨테이너 물동량을 처리하는 부산항을 비롯하여 많은 항만을 보유하고 있는 우리나라도 적극적으로 항만에서 배출하는 온실가스를 감축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IP-RFID라는 새로운 기술을 이용하여 항만 터미널내의 물류장비(컨테이너 트럭, 하역장비 등)들의 탄소배출량을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는 모니터링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하는 모니터링시스템은 개별 물류장비의 탄소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IP통신을 통해 다양한 사용자에게 직접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IP-Tag를 부착하여, 개별 물류장비별 탄소배출량을 적극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을 통해 물류장비별로 탄소배출량 관리가 가능해지고 운전자도 실시간으로 장비의 탄소배출량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항만의 탄소배출량을 감축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