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ing the Traffic Accident Models by the Function of Arterial Link Sections in the Case of Cheongju

간선도로 기능별 교통사고모형 개발 - 청주시를 사례로 -

  • 김진선 (충북대학교 도시공학과) ;
  • 김태영 (포항공과대학 산학협력연구소) ;
  • 김경환 (충북대학교 도시공학과) ;
  • 박병호 (충북대학교 도시공학과)
  • Received : 2010.04.17
  • Accepted : 2011.01.07
  • Published : 2011.03.15

Abstract

This study deals with the traffic accident of arterial link sections in the case of Cheongju.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 the traffic accident model by the function of arterial links. In pursuing the above, this study gives particular attentions to developing the appropriate models using the accident data of main and minor arterial roads divided by 472 small link sections. The main results analyzed are as follows. First, as the t test on the accident characteristics of main and minor arterial roads shows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accident and EPDO(equivalent property damage only) between two roads, the development of models by function is analyzed to be appropriate. Second, it is analyzed that ZINB models are all statistically suitable to the number of accident and EPDO of main arterial roads. Third, the analysis shows that EPDOs of minor arterial roads fit to ZINB, and the number of the accident fit to ZIP model. Finally, the common variables of main arterial roads are evaluated to be the traffic volume and the number of inflection point, and those of minor be the average grade.

이 연구는 청주시의 가로구간 교통사고를 다루고 있다. 연구의 목적은 가로구간의 기능별 사고모형을 개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서 이 연구는 전체 472개의 세부구간으로 분리된 주간선도로와 보조간선도로의 사고 자료를 이용하여 적합한 모형을 개발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간선과 보조간선도로의 사고특성에 대한 t 검정은 두 도로의 사고건수와 EPDO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기능별 사고모형 개발이 적절한 것으로 분석된다. 둘째, 주간선도로의 EPDO와 사고건수는 모두 ZINB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분석된다. 셋째, 보조간선도로 EPDO는 ZINB모형, 그리고 사고건수는 ZIP모형이 최적인 것으로 분석된다. 마지막으로 주간선도로 사고모형(ZINB)의 공통변수는 교통량과 굴곡점수, 보조간선도로의 EPDO모형(ZINB)과 사고건수모형(ZIP) 공통변수는 평균종단경사인 것으로 평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숙희.장정아.최기주(2005), "사고다발지 점의 안전성능 진단 및 위치별 사고요인 분석", 대한교통학회지, pp.9-20.
  2. 박병호.박상혁.이영민.인병철(2008), "ZAM 모형을 이용한 비신호교차로 사고 특성 분석 - 청주시 3지.4지 비신호교차로를 사례로-", 국토계획,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3권, 제6호, pp.69-78.
  3. 박병호.한상욱.김태영.김원호(2008), "사고유형에 따른 청주시 4지 신호교차로 교통 사고 모형", 대한교통학회지, 제26권, 제5호, pp.153-162.
  4. 이인성(2004)," Application of ZIP regression to traffic accident data", 연세대학교 통계학 석사학위 논문, pp.1-43.
  5. 최재원.김성호.조준한.김원철(2004), "인공신경망을 적용한 신호교차로 교통사고 심각도 예측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22권 제3호, 대학교통학회, pp.127-135.
  6. 한상진.김근정(2007), "도로종류별 교통사고 추세분석 및 시계열 분석모형 개발", 한국도로학회 논문집, 제 9권, 제3호, pp.1-12.
  7. 하오근.허억.원제무(2008), "신호교차로 안전성 향상을 위한 사고 심각도 모형 개발", 한국안전학회지, 제23권 제2호, pp.1-7.
  8. 하오근, "국도변 신호교차로 안전성 향상을 위한 사고예측모형 개발과 심각도 분석", 한양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9. Bonneson, J. A. and P. T. McCoy(1993), "Estimation of Safety at Twoway Stop-controlled Intersection on Rural Highway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401, pp.83-89.
  10. Chin, H. C. and M. A. Quddus(2003), "Applying the Random Effect Negative Binomial Model to Examine Traffic Accident Occurrence at Signalized Intersections",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pp. 253-259. https://doi.org/10.1016/S0001-4575(02)00003-9
  11. Hoong chor Chin.ohammed Abdul Quddus(2003), "Applying the random effect accident occurrence at signalized intersections", accident analysis & prevention35, pp.253-259. https://doi.org/10.1016/S0001-4575(02)00003-9
  12. Jinsun Lee and Fred Mannering(2002), "Impact of roadside features on the frequency and severity of run-off-roadway accidents: an empirical analysis",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34, pp.149-161. https://doi.org/10.1016/S0001-4575(01)00009-4
  13. Simon P. Washington, Matthew G. Karlaftis and Fred L.(2003), "Statistical and Econometric Methods for Transportation Data Analysis", Chapman & Hall/CRC, pp.241-255.

Cited by

  1. Motorcycle Accident Model at Roundabout in Korea using ZAM vol.29, pp.3, 2014, https://doi.org/10.14346/JKOSOS.2014.29.3.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