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ase Study on the Residents' Sense of Community and the Needs and Satisfaction of Community Facilities in Apartment Complex

아파트 주민의 공동체 외식과 커뮤니티 시설에 대한 요구 및 만족도에 관한 사례조사 연구

  • Shin, Hwa-Kyoung (Dept. of Consumer and Housing, Sangmyung Univ.) ;
  • Kim, Young-Joo (Dept. of Housing and Interior Design, Chung-Ang Univ.) ;
  • Lee, Soo-Jin (Millennium Environmental Design Research Institute, Yonsei Univ.) ;
  • Jo, In-Sook (Dept. of Consumer and Housing, Sangmyung Univ.)
  • 신화경 (상명대학교 소비자주거학과) ;
  • 김영주 (중앙대학교 주거환경학과) ;
  • 이수진 (연세대학교 밀레니엄환경디자인 연구소) ;
  • 조인숙 (상명대학교 소비주거학과)
  • Received : 2010.09.15
  • Accepted : 2011.02.08
  • Published : 2011.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he examine sense of community of the residents living in an apartment complex and the relevant features of the community facilities provided in the complex, such as actual facility conditions, needs and satisfaction. Five apartment complexes constructed after 2000, each containing more than 500 units were selected for this case study.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community facilities regulated by current laws were inspected. Those facilities were the administration office, gym, multi-purpose room, sauna and shower room, indoor and outdoor children's play-grounds, study room, etc. 37 residents were interviewed to access their needs and level of and satisfaction with the provided community facilities.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 that basic community facilities for exercise, child care and children's recresion need to be provided regardless of the apartment complex size. The respondents revealed a medium level of sense of community, which was psychologically limited to their apartment complex. Indoor and outdoor children's play-grounds had great potential to encourage social interaction between the residents. The findings point to a need for improvement of the current relevant regulations with the perspectives of flexibility and application in terms of space size and mandatory types.

Keywords

References

  1. 권오정․곽인숙․이경희․최재순(2001). 새천년의 주민복지 를 위한 커뮤니티 센터의 활동프로그램 제안. 대한가정학회지, 39(8), 19-36.
  2. 국토연구원(2007). 아름답고 인간적인 정주환경 조성. 국토연구원.
  3. 국토해양부(2007). 공동주택 주거문화 제고방안 연구.
  4. 공동주택연구회(2007). 주거단지계획. 동녘.
  5. 김대욱(1997). 공동주택단지 공동체 의식 제고를 위한 근린시설 배치에 관한 조사.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대욱․정응호․류지원(2005). 공동주택단지 근린시설 배치 유형별 커뮤니티의식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16(6), 39-46.
  7. 김미희․문희정(1997). 소형아파트 거주자들의 주민전용공동 공간 요구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06, 23-32.
  8. 김성준․민선주(2008). 아파트 단지 내 커뮤니티 시설 이용자 의식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8(2), 277-287.
  9. 김혜진․이연숙․윤혜경(2008). 고령사회 주민공유공간의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10(1), 213-218.
  10. 법제처(2010). 주택법.
  11. 법제처(2010).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
  12. 서수정․백혜선(2004). 공동주택단지 내 부대복리시설의 공간변용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0(11), 219-230.
  13. 손세관․김원경(2009). 아파트 단지 내 커뮤니티 시설의 이용실태 및 적정규모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0(6), 145-156.
  14. 신연섭(2006). 아파트 부대복리공간에 대한 사용자의식 및 이용실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안일근(2003). 주민자치센터의 생활방법안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6. 윤희진(2004). 초고층 주상복합건물 부대복리시설의 수용기능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이연숙(1995). 미래주택과 공유공간. 도서출판 경춘사.
  18. 이영석(2009). 공동주택단지 공유시설의 개발방향 및 배치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 10(1), 71-88
  19. 이원훈․이창석(2007). 미래지향적인 커뮤니티 시설유형 설정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계획학회지 국토계획, 42(4), 95-113.
  20. 이지연․이연숙․윤혜경(2010). 아파트 커뮤니티 공유공간에 대한 최근 5년간 연구경향분석. 한국주거학회 춘계 학술발표 대회 논문집, 133-142.
  21. 정승진(2001). 아파트 거주자의 커뮤니티 공간과 프로그램 이용 및 요구도. 건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정승진․이원경․강순주(2003). 아파트 거주자의 커뮤니티 공간과 프로그램 이용 및 요구도. 한국주거학회논문집, 14(1), 41-50.
  23. 조성희․강혜경(1998). 아파트 공유공간에 대한 거주자들의 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9(3), 47-57.
  24. 조인숙․신화경(2010). 공동주택의 커뮤니티시설 현황 및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춘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338-343.
  25. 천현숙(2001).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거주자 특성과 커뮤니티 특성간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주택연구, 21(1), 143-172.
  26. 천현숙(2002). 아파트 주거문화 특성에 관한 사회학적 연구; 아파트 주거의 확산요인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7. 최병두(2000). 삶의 질로서 공간의 유형화와 공동체. 대한지리학회논문집, 35(2), 321-340.
  28. 최정민(2006). 주거획일화 극복방안에 대한 기초적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12(4), 25-36.
  29. 최혜진․신경주(2008). 공동주택 단지 내 실내 커뮤니티 시설의 인테리어 특징 분석.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17(5), 80-90.
  30. 통계청(2005). 인구주택총조사.
  31. 홍이식․정재용(2004). 집합주거단지에서 지역성을 통한 커뮤니티 형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4(2), 27-30.
  32. Strauss, L., & Corbin, J. (1998).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Thousand Oaks, CA: S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