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nfluence of Family-of-Origin Experiences on Marital Intimacy

기혼남녀가 지각한 원가족 경험이 부부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 장선웅 (전북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아동학과) ;
  • 정혜정 (전북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아동학과) ;
  • 이주연 (전북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아동학과)
  • Received : 2010.09.15
  • Accepted : 2011.02.09
  • Published : 2011.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amily-of-origin experiences(family-of-origin health, parents' marital satisfaction, parents' care, and parents' overprotection) on marital intimacy.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method by Internet Survey of 480 married men and women.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family-of-origin experiences (family-of-origin health, parents' marital satisfaction, parents' care, and parents' overprotection) and marital intimacy according to sex, educational level, income, and the first-rum child's school level. Second, marital intimac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family-of-origin health, parents' marital satisfaction, and parents' care, bu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parents' overprotection. Third,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indicated that the marital intimacy of married men and women were influenced by education level, income, the first-born child's school level, and family-of-origin health.

Keywords

References

  1. 강혜숙(2003). 결혼초기 부부의 결혼만족도와 안정성에 관련된 요인.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고현선․지금수(1995). 부부의 갈등대처유형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3(4), 71-83.
  3. 권정란(2005). 원가족의 정서적 건강성과 자기 분화에 따른 부부 적응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권정혜․채규만(1999). 한국판 결혼만족도 검사의 타당화 연구 2.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8(2), 139-150.
  5. 권희완(1997). 부부관계의 인식에 관한 연구. 여성한국사회연구회 편. 한국가족의 부부관계. 35-70.
  6. 김경자(2004). 기혼남녀의 원가족 경험과 자아분화가 가족체계 기능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김명희(2006). 중년기 기혼남녀의 부부 친밀감과 부부의사소통이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미정(2001). 부부들이 지각하는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순기(2001). 기혼자녀가 지각하는 원가족의 정서적 건강성과 자아정체감이 결혼 후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김영희(1996). 결혼생활의 질과 안정성: 이론적 모델의 검증. 한국생활과학회지, 5(2), 52-72.
  11. 김현정(1999). 원가족 경험이 결혼적응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현정․김명자(1999). 근원가족 건강도, 자아존중감, 결혼적응의 관계. 한국가족관계학회지, 4(2), 39-60.
  13. 김화자․윤종희(1991).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부부의 의사소통 효율성과 결혼 만족도에 관한 연구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부부의 의사소통 효율성과 결혼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9(2), 155-170.
  14. 남순현․한성열(2002). 가족분화수준, 가족관계의 질 및 친밀감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8(2), 33-49.
  15. 남순현․한성열(2003). 신혼기 부부의 부모로부터의 심리적 독립과 결혼 후 친밀감에 미치는 원가족의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22(3), 505-523.
  16. 박민지(2005). 부부 친밀감에 영향을 미치는 원가족 분화수준과 가족규칙 및 부부의사소통.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박수선․김명자(1996). 주부의 취업여부에 따른 자아분화수준과 결혼만족도. 한국생활과학연구지, 11(2), 41-63.
  18. 박은옥(2001). 기혼여성의 결혼만족도. 여성건강간호학회지, 7(4), 508-517.
  19. 박의순(1997). 애착과정으로 본 한국부부의 사랑- 대부모 애착, 부부 애착과 부부 사랑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박찬미․서병숙(1987). 도시부부의 결혼만족도와 이혼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5(2), 145-162.
  21. 성태제․시기자(2006). 연구방법론. 학지사
  22. 송지영(1992). 한국판 부모-자녀 결합 형태 검사: 신뢰도 및 타당도검증. 신경정신의학, 31(5), 979-992.
  23. 양진선(2004). 부부 친밀감과 자아존중감 및 원가족 건강성간의 관계.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어은주(1996). 한국도시가족의 건강성 및 관계 변인 연구; 자녀교육기 가족의 주부를 대상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여성한국사회연구회(1997). 한국가족의 부부관계. 서울: 사회문화연구소.
  26. 오선주(2000). 부부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및 인성특성의 동질성 여부와 결혼갈등. 한국가족관계학회지, 5(2), 23-42.
  27. 유은희․박성연(1989). 모자간의 애착 및 모의 결혼관계에 따른 아들 부부의 결혼만족도: 인과적 모형. 대한가정학회지, 27(2), 149-162
  28. 유은희․박성연(1991). 기혼자녀의 부모에 대한 애착 및 자율성 발달유형과 결혼만족도. 대한가정학회지, 29(1), 139-158.
  29. 윤경자(1998). 1998년도 제51차 춘계학술대회 (주제 : 국가경제 위기와 가정의 대처 전략) 분야별 발표논문 초록 - 가족, 가정관리, 의생활, 주생활, 기타 :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결혼만족도 : 한국부인들과 미국부인들의 비교, 대한가정학회지, 36(4), 271-272.
  30. 이경희(1995). 부부간 친밀감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3(4), 235-249.
  31. 이경희(1998). 부인이 지각한 갈등과 친밀감에 따른 부부관계 유형.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2. 이동원(1988). 도시 부부의 결혼의 질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3. 이미숙(1990). 한국에서의 결혼만족 연구에 대한 고찰 및 평가. 생활과학연구논집, 10(1), 27-71.
  34. 이삼연(2004). 가족체계이론, 애착이론, 그리고 문화. 경남지역 연구, 10(1), 89-108.
  35. 이유숙(1998). 한국의 전통적 가족주의와 부부간의 사랑.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이은경(1995). 지각된 부모-자녀 관계가 자녀의 자아개념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이종원(2002). 부부갈등과 관련된 원가족 변인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임선영(2006). 결혼 지속연수에 따른 중산층 여성의 결혼만족도(RKMSS)와 갈등유형 비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전현진․박성연(1999). 부모의 아동기 경험, 인성 및 결혼만족도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지, 20(3), 153-169.
  40. 전춘애․박성연(1994). 부부의 자아분화수준과 출생가족에 대한 정서적 건강 지각이 결혼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32(4), 117-133.
  41. 정현숙(2001). 한국형 결혼만족도 척도 개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9(12), 205-224.
  42. 조소희(2008). 기혼남녀의 원가족경험과 자기분화가 핵가족의 부부관계와 부모자녀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17(5), 873-889.
  43. 조은경(2001). 기혼남녀의 자아분화 수준과 갈등 대처 행동 및 결혼 적응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4. 최규련(1988). 한국도시부부의 결혼만족도요인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5. 최규련(1994). 가족체계 유형과 부부간 갈등 및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2(2), 140-152.
  46. 최규련(1999). 가족체계의 기능성, 부모 및 자녀요인, 부모-자녀 관계가 청소년 자녀의 심리적 복지수준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37(2), 99-112.
  47. 최난경(2003). 부모의 원가족 분화수준과 자녀양육행동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8. 최지희(1984). 결혼 전, 후 환경이 부부관계 및 정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9. 최진숙(2006). 부부갈등과 원가족과의 상관관계 연구. 상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0. 최현미(1997). 원가족 척도 연구 :결혼 초기 부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1. 최혜경․강진경․신수진(1999). Sternberg의 사랑의 삼각이론의 한국 부부에의 적용.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7(4), 47-59.
  52. 하상희․정혜정(2000). 신혼기 부부의 비합리적 신념과 결혼 만족도의 관계. 한국가정과학회지, 3(2), 27-38.
  53. 하상희․정혜정(2008). 원가족 건강성과 자기분화의 세대간전이. 상담학연구, 9(2), 789-806.
  54. 한남제(1991). 현대한국사회문제론. 서울: 한국복지정책연구소.
  55. 홍성례․유영주(2000). 부인의 정서적 지지와 남편의 결혼만족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8(2), 61-76.
  56. 홍순건(2006). 건강한 부부의 특징- Gottman의 이론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7. 통계청(2010). 2009년 인구주택 총조사.
  58. Amato, P. R., & Booth, A. (1991). Consequences of parental divorce and marital unhappiness for adult psychological well-being. Social Forces, 69, 895-914.
  59. Bagarozzi, D. A., & Anderson, S. A. (1989). Personal, Marital family myths: Theoretical formations and clinical strategies. N.Y.: Guilford Press.
  60. Bowen, M. (1972). On the differentiation of self. In D. Jackson(Ed.). In family interaction: A dialogue between family researchers and family therapists. N.Y.: Springer Publishing Co.
  61. Bowen, M.(1976). Theory in the practice of psychotherapy. In Guerin, P. J.(Ed.). Family Therapy. N.Y.: Gardner Press.
  62. Bowen, M.(1978). Family therapy in clinical practice. N.Y. & London: Jason Aronson, Inc.
  63. Canfield, B. S. (1983). Family-of-origin experiences and selected demographic factors predicator of current family function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ast Texas State University.
  64. Chon, D. A., Silver, D. H. Cowan, C. P., & Person, J. (1992). Working models of childhood attachment and couple Relationships. Journal of Family Issue. 13(4), 132-149.
  65. Collins, N. L., & Read, S. J. (1990). Adult Attachment, Working models, and Relationship quality in dating coupl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8, 644-663
  66. Couillard, G. C.(1990). Differences in marital adjustment among couples with similar and dissimilar levels of emotional health in their family-of-origi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Brigham Young University.
  67. Feng, D., Giarrusso, R., Bengtson, V., & Frye, N. (1999).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marital quality and marital instability.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61, 451-463. https://doi.org/10.2307/353761
  68. Fisher, L. R. (1983). Mother and Mother-in-law.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45(1), 187-202. https://doi.org/10.2307/351307
  69. Framo, J. L. (1976). Family of origin as a therapeutic resource for adults in marital and family therapy: You can and should go home again. Family Process, 15, 193-210. https://doi.org/10.1111/j.1545-5300.1976.00193.x
  70. Glenn, N. D., & Kramer, K. B. (1987). The marriages and divorces of the children of divorce.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9, 811-825. https://doi.org/10.2307/351974
  71. Goodrich. W., Ryder, R., & Rauseh, H. (1968). Patterns of newlywed marriage.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30, 383-389. https://doi.org/10.2307/349904
  72. Guerin, P. J., Fay, L. F., Burden, S. L., & Kautto, J. G. (1987). The Evaluation and Treatment of Marital Conflict: A Four-Stage Approch. Basic Books.
  73. Hovestadt, A. J., Anderson, W. T., Piercy, F. P., Cochran, S. W., & Fine, M. (1985). A Family-of-Origin Scale.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2(3), 287-297.
  74. Kenny, M. E. (1987). The extent and function of parental attachment among first-year college students.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16(1), 17-27. https://doi.org/10.1007/BF02141544
  75. Kinnaird, K. L., & Gerrard, M. (1986). Premarital Sexual Behavior and Attitudes toward Marriage and Divorce among Young Women as a Function of Their Mothers' Marital Statu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8(4), 757-765. https://doi.org/10.2307/352568
  76. Lawrence, H., Ganong, & Coleman, M. (1984). The Effects of remarriage on children: A review of the empirical literature. Family Relations, 33, 389-406. https://doi.org/10.2307/584710
  77. Lewis, R. A., & Spanier, G. B., (1979) Theorizing about the quality and stability of marriage. In Burr, W., Hill. R., Nye, L., & Reiss, I. (Eds), contemporary theories ablut the family, vol 1, N.Y.: Free Press.
  78. Miller, R. B., Anderson, S., & Keala, D. K. (2004). Is Bowen theory valid? A review of basic research.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30, 281-300.
  79. Moss, B. & Schwebel, A.(1993). Marriage and romantic relationship. Family Relations, 42, 31-37. https://doi.org/10.2307/584918
  80. Parker, G., Tupling, H., & Brown, L. B. (1979). A Parental bonding instrument. British Journal of Medical Psychology, 52, 1-10. https://doi.org/10.1111/j.2044-8341.1979.tb02487.x
  81. Rice, P. F. (1979). Marriage and parenthood. Boston : Allyn and Bacon.
  82. Russell, G., & Russell, A. (1987), Mother-child and Fatherchild relationships in middle childhood. Child Development, 58, 1573-1585. https://doi.org/10.2307/1130696
  83. Satir, V. (1988). The new peoplemaking. Mountain View, CA: Science and Behavior Books.
  84. Siegelman, M. (1965). College student personality correlates of early parent-child relationships. Journal of Consulting Psychology. 29(6), 558-564.
  85. Snyder, J. R. (1998). Marital conflict and child adjustment: What about gender? Developmental review, 18, 390-420. https://doi.org/10.1006/drev.1998.0469
  86. Waring, E. M.(1984). The measurement of marital intimacy.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10(4), 185-192. https://doi.org/10.1111/j.1752-0606.1984.tb00582.x
  87. Whyte, M. K. (1990). Dating, mating, and marriage. N.Y.: Aldine de Gruy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