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A Comparison of Digital Movie Remake with Original Animation

영화 <블러드> 분석 : 애니메이션과 디지털 영화 버전의 비교

  • 이윤희 (동덕여자대학교 미디어디자인)
  • Received : 2011.02.15
  • Accepted : 2011.03.14
  • Published : 2011.03.31

Abstract

This paper analyzes Blood: the Last Vampire (2009) in comparison with the original Blood: the Last Vampire (2000). This digital movie, released in 2009, faithfully re-presents the visual of the original animation using more budget and more developed technology. Though these two movies share very similar visual style, they have slightly different modes of expression that can be easily detected in their opening scenes. The original Blood chooses to tell its story in more indirect way. Some shots are intentionally vague and forcefully separated by black credit screen, leaving audience guessing exactly what happened. The remake version of Blood provides faster, more diverse, and more sophisticated images. It also uses invisible and slick editing, leaving no room to guess. These differences comes mainly from the difference of media. However, since the differences between two movies lie mainly in their narratives, we can ascribe the box office slump of the digital movie version of Blood: the Last Vampire to its narrative flaws. The heroin's inner conflicts were not convincing enough, supporting roles were not probable enough, and the whole story was not unique enough. As a result, the new Blood: the Last Vampire became another bad example that shows the importance of narrative in films.

본 논문은 2000년에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된 <블러드>와 2009년에 라이브액션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영화로 제작된 <블러드>를 비교 분석하였다. <블러드 2009>는 원작 <블러드>의 음산하면서도 건조한 도시의 분위기와 무채색과 붉은 색을 주조로 하는 컬러 스킴 등 많은 부분을 광학적 느낌이 드는 이미지로 충실히 재현하였다. 다만 두 영화는 이야기를 시각화하는 방법을 약간 달리 하는데, 그것이 잘 드러나는 부분이 오프닝 신이다. <블러드>가 모호한 암시와 상징의 간접적 몽타주 화법을 사용한다면 <블러드 2009>는 구체적인 직접 화법을 사용하여 보다 매끄럽고 빠른 진행을 보여주었다. <블러드 2009>의 오프닝 액션 장면은 원작에 비해 네 배에 가까운 수의 샷들을 사용하여 더 다양하고 화려하며 적나라하게 표현되어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차이는 주로 매체의 차이에서 기인하는데, 현실성과 유연성을 동시에 갖춘 디지털 영화라는 매체가 이러한 시각 표현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두 영화의 차이는 내러티브에서 더 많이 발생하며, 따라서 <블러드 2009>의 흥행부진 역시 상당 부분 내러티브에서 기인함을 추정할 수 있다. <블러드 2009>는 중편 영화의 내러티브를 빠른 호흡의 장편으로 확장하는 과정에서 원작이 가진 깊이를 잃어버리고, 진부한 스토리 전개와 개연성 없는 조연 캐릭터의 설정, 주인공의 내면적 갈등에 대한 설득력 부족 등으로 인해 관객에게 제대로 소구하지 못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