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한국과 미국의 초등학교 6학년군 학생들의 수학 창의성과 수학적 사고력의 비교

A Comparison between Korean and American Sixth Grade Students in Mathematical Creativity Ability and Mathematical Thinking Ability

  • 투고 : 2011.01.10
  • 심사 : 2011.02.08
  • 발행 : 2011.02.15

초록

본 연구는 한국교육개발원에서 개발한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를 사용하여 한국과 미국의 초등학교 6학년군 학생들의 수학 창의성과 수학적 사고력을 비교한 것이다. 연구 대상은 한국의 6학년 학생 212명과 미국의 5~7학년 학생 148명이며, 2009년 4월에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도구에 대한 검증은 SPSS 12.0K로 신뢰도(Cronbach ${\alpha}$)와 변별도를 구하고 Rasch의 1모수 문항반응이론으로 적합도 지수와 난이도를 구하였으며, 연구 자료에 대한 통계적 분석은 t-검정, 일원변량분석과 Scheffe의 다중 비교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로서, 한국 학생들이 미국 학생들보다 수학 창의성과 수학적 사고력에서 높은 점수를 얻었고 또 수학 창의성과 수학적 사고력에서 수학 개념의 이해가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미국 학생들의 경우 초등학교 5학년과 6학년은 수학 창의성의 모든 하위 영역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수학적 사고력에서는 6개의 하위영역 중 4개에서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것은 초등학교 5학년과 6학년을 하나의 학년군으로 하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시사점을 줄 것이다.

In this study, the instrument of mathematical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test were considered the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American sixth grade students in mathematical creativity ability and mathematical thinking ability. The instrument consists of 9 items. The participants for the study were 212 Korean and 148 American students. SPSS were carried out to verify the validities and reliability. Reliabilities(Cronbach ${\alpha}$) in mathematical creativity ability is 0.9047 and in mathematical thinking ability is 0.9299 which were satisfied internal validity evaluation on the test items. Internal validity were analyzed by BIGSTEPS based on Rasch's 1-parameter item response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serve as a foundation for understanding the Korean and American students differences in mathematical creativity ability and mathematical thinking ability. Especially we get the some informations on mathematical creativity ability for American's fifth grade to seventh grade student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홍원.김명숙.방승진.황동주 (1997). 수학 영재 판별 도구 개발 연구(II) - 검사 제작 편 -.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CR97-50.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 김홍원.김명숙.송상헌 (1996). 수학 영재 판별 도구 개발 연구(I) - 기초 연구 편 -.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CR96-26, 한국교육개발원.
  3. 박명전 (2000). 수학 영재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학습 자료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 송상헌 (1998). 수학 영재성 측정과 판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5. 신희영.고은성.이경화(2007). 수학영재교육에서 관찰평가와 창의력평가. 학교수학. 9(2). 241-257. 서울: 대한수학교육학회
  6. 이종희.한정혜 (2002). 논리적 사고력과 공간 시각화 능력이 수학성취도와 문제 해결 과저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정평가연구. 5(1). 191-206.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7. 이지현 (2005). 수학적 사고력과 수학적 힘의 신장을 강조하는 한국과 미국 초등 수학 교과서 곱셈단원 사례 비교 분석: 학습자 수행 용어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23(1), 147-172. 서울: 한국교육과정학회.
  8. 조한혁.안준화.우혜영 (2002). 컴퓨터를 통한 수학적 사고력 신장의 가능성 모색.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14 197-215.
  9. 하주현 (2001). 창의적 사고의 발달경향 연구. 대한사고개발학회 2001 연차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 75-86. 대구: 대한사고력학회.
  10. 황동주 (2005). 수학 영재 판별의 타당도 향상을 위한 수학 창의성 및 문제 해결력 검사 개발과 채점 방법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1. 황동주.이강섭.서종진 (2005). Relationship between Divergent Thinking in Mathematical and Non-Mathematical Situations -Based on the TTCT; Figural A and the MCPSAT. 영재교육연구. 25(2), 51-66. 서울: 한국영재학회.
  12. Camp, G. C. (1994). A longtiudinal study of correlates of creativity. Creativity Research Journal, 7, 125-144. https://doi.org/10.1080/10400419409534519
  13. Davis, R. B. (1996). Cognition, mathematics, and education. In Theories of mathematical learning (Ed.) L. P. Steffe, P. Nescher, P. Cobb, G. A. Golden, & B. Greer. Mahwah, NJ: Lawrence Erilbaum.
  14. Feuerstein, R. (1980). Instrumental enrichment: an intervention program for mathematics education. London: Croom Helm.
  15. Fletcher, F. M. (1958). Manpower for tomorrow: A challenge. Personnel & Guildance Journal, 37, 32-39. https://doi.org/10.1002/j.2164-4918.1958.tb01150.x
  16. Krutetskii, V. A. (1976). (J. Teller, Trans.) In J.Kilpatrick, & I. Wirszup (Eds.), The psychology of mathematical abilities in school children.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7. Livacre, J. M., & Wright, B. D. (2003). A User's Guide to BIGSTEPS Rasch-Model Computer Program. Winsteps.com.
  18. Mason, J., Burton, L., & Stacey, K. (1982). Thinking mathematically. London: Addison-Wesley.
  19. Polya, G. (1962). Mathematical discovery: on understanding, learning, and teaching problem solving. New York: Wiley.
  20. Romberg, T. A. (1993). How one comes to know. In M. Niss (Ed.), Investigations into assessment in mathematics education. Dordrecht: Kluwer Academic Publishers.
  21. Schoenfeld, A. (1985).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San Diego, CA: Academic Press.
  22. Tall, D. (Ed.) (1991). Advanced mathematical thinking. Dordrecht: Kluwer Academic Publishers.
  23. Torrance, E. P. (1962). Guilding creative talent.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