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ntent Categories of Special Selling Events and Unplanned Purchase Stimulations in Internet Shopping Malls

인터넷 쇼핑몰 기획전의 내용 유형과 소비자 비계획 구매 자극

  • Kim, Sae-Hee (Div. of Fashion & Beauty, Busan Kyungsang College)
  • 김세희 (부산경상대학 패션.뷰티계열)
  • Received : 2010.09.29
  • Accepted : 2010.12.07
  • Published : 2011.01.31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content of special selling events in internet shopping malls to establish academic standards for special selling events as tools for sales promotions and to suggest systematic guidelines for marketers designing special selling events. Based on a content analysis, the titles of special selling events from four internet shopping malls selling women's apparel were analyzed. A total of 692 titles were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 contents categories of special selling events could be classified into two groups such as 'theme' and 'tool'. Season, product characteristics, style, advice/information, brand, annual/social events, and marketing events were the main content categories that came under the 'theme' group; in addition, the price benefit, free offers, product mix, and marketing technique were the main content categories that came under the 'tool' group. Each main content category was subdivided into several segment content categories. Second, most of the titles were composed of more than two segment content categories that involved various information and benefits; however, the portion of titles composed of only theme related content categories or only tool related content categories was substantial. Furthermore, the theme related content categories were more than the tool related content categories. Third, the usage frequencies of the contents categories were analyzed. The upcoming season, single brand, sale/discount, item/material/color, special price/lowest price, and period/time/quantity limits were the segment content categories that held a high rank. Forth, most of the factors that evoked the unplanned purchases of consumers were related to the content categories of special sale events.

Keywords

References

  1. 고선영. (1993). 의류 제품의 충동 구매 행동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 고전미. (2001). 인터넷 친숙도에 따른 패션 제품 구매 행동에 관한 연구-20~30대 남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 광고정보센터. (2007, 6. 15). KNP 인터넷 사용자 조사 세미나. 광고정보센터. 자료검색일 2010, 6. 10, 자료출처 http://www.adic.co.kr
  4. 김민회. (2008). 인터넷 쇼핑몰의 판매 촉진 유형이 소비자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의류 제품을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5. 김선숙, 이은영. (2003). 인터넷 쇼핑몰 이용자의 의류 상품 쇼핑 행동 유형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7(9/10), 1036-1047.
  6. 김연경. (2008).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의복 구매 행동에 관한 연구-충동 구매 자극 요인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 김진경. (2009). 인터넷 패션 쇼핑몰의 서비스 품질과 의복 구매 행동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8. 박대윤, 김형수. (2001). 인터넷 쇼핑몰 기획 실무 스타일가이드. 서울: 도서출판 비비컴.
  9. 박준규. (2002). 충동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 요인과 그 결과에 관한 연구: CATV 홈쇼핑 시장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 서지원. (2008). 소비자의 판매 촉진 수단 이용 선호가 제품 만족도 및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인터넷 쇼핑몰 의류/패션 제품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1. 신은자. (2009). 이벤트홀 브랜드 기획전이 백화점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광고홍보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2. 엄태희. (2002). 온라인 충동 구매 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3. 오윤희, 이희천. (2000). 백화점 경영. 서울: 남두도서.
  14. 유동근, 김성혁. (1992). 고객을 만족시키는 판매 촉진 이론과 실제. 서울: 정훈출판사.
  15. 이민정. (2006). 캐주얼 의류 제품의 판매 촉진 유형에 따른 소비자 선호.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6. 이승희, 신초영. (2004). 패션 제품 강박 구매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변인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8(5), 658-667.
  17. 이지은. (2005). TV 홈쇼핑에서 판매 촉진 유형이 소비자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의류 제품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8. 정재은, 정성지. (2004). 인터넷 패션 소비자의 의복 쇼핑 성향과 판촉 활동에 대한 수용 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8(8), 1037-1047.
  19. 조남혜. (2003).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의류 제품 구매 후 불만족 및 불평 행동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 통계청. (2009, 11). 2009 인터넷 이용 실태 조사. 통계청. 자료검색일 2010, 6. 10, 자료출처 http://www.kostat.go.kr
  21. 통계청. (2010, 2. 24). 2009년 연간 및 4분기 전자상거래 및 사이버 쇼핑 동향. 통계청. 자료검색일 2010, 6. 10, 자료출처 http://www.kostat.go.kr
  22. Dholakia, U. M. (2000). Temptation and resistance: An integrated model of consumption impulse formation and enactment. Psychology and Marketing, 17(11), 955-982. https://doi.org/10.1002/1520-6793(200011)17:11<955::AID-MAR3>3.0.CO;2-J
  23. Gilbert, D. C., & Jackaria, N. (2002). The efficacy of sales promotion in UK supermarkets: A consumer 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Retail & Distribution Management, 30(6), 315-322. https://doi.org/10.1108/09590550210429522
  24. Iyer, E. S. (1989). Unplanned purchasing: Knowledge of shopping environment and time pressure. Journal of Retailing, 65(1), 40-57.
  25. Kotler, P. H. (2001). Marketing management: Analysis, planning, and control (9th ed.). New Jersey: Prentice-Hall Inc.
  26. Kunz, G. I. (1998). Merchandising: Theory, principle, and practice. New York: Fairchild Publications.
  27. Lynn, M. (1989). Scarcity effects on value: Mediated by assumed expensiveness? Journal of Economic Psychology, 10, 257-274. https://doi.org/10.1016/0167-4870(89)90023-8
  28. Rook, D. W. (1987). The buying impuls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4(3), 189-199. https://doi.org/10.1086/209105
  29. Stern, H. (1962). The significance of impulse buying today. Journal of Marketing, 26(2), 59-62. https://doi.org/10.2307/1248439
  30. Weinberg, P., & Gottwald, W. (1982). Impulsive consumer buying as a result of emotion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10(1), 43-57. https://doi.org/10.1016/0148-2963(82)90016-9

Cited by

  1. The Analysis of Previous Domestic Online Fashion Store Studies vol.14, pp.5, 2012, https://doi.org/10.5805/KSCI.2012.14.5.778
  2. Development of Fashion Retailing Store Type Attractiveness (FaRSTA) -Indirect Estimates Approach with Multiple Scale Items- vol.37, pp.1, 2013, https://doi.org/10.5850/JKSCT.2013.37.1.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