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dolescents' Perception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the Image Association with Fashion Cultural Products of Korean Image

청소년들의 전통문화인식에 따른 한국적 패션문화상품에 대한 이미지 연상

  • Moon, Hee-Kang (Dep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Pai Chai University) ;
  • Youn, Cho-Rong (Research Institute of Human Ec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 문희강 (배재대학교 가정교육과) ;
  • 윤초롱 (서울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Received : 2010.10.01
  • Accepted : 2010.11.23
  • Published : 2011.01.31

Abstract

This study provides guidelines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fashion cultural products. This study identified adolescents' perception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examined their attitudes towards the fashion cultural products of the Korean image with a focus on their image association of those products. For this study, questionnaire data from 447 adolescents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Adolescen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apathy group, modernization group, and balanced succession group) according to their perception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There were notable differences among the three groups in the image association with the fashion cultural products of Korean image and their value seeking. A large number of adolescents showed positive attitudes towards products with splendid and decorative images as well as simple and refined images. It is important to maintain a balanced strategy in developing cultural products between modernization and the succession of traditional images in order to magnity the market opportunities for fashion cultural products of the Korean image that focus on adolescents.

Keywords

References

  1. 강성윤. (1997). 문화상품 개발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 강정현, 권영숙. (2003). 한국 전통주머니에 나타난 감성이미지. 복식, 53(4), 1-16.
  3. 김상겸, 김성준. (2009). 국가의 전통민족문화 계승의무와 전통사찰 보존에 관한 헌법적 연구. 토지공법연구, 43(2), 461-481.
  4. 김태경, 김영태. (1995). 현대건축의 외부형태에 표현된 한국적 이미지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학술발표논문집, 15(2), 229-232.
  5. 김하연, 이유리. (2008). 한국적 이미지의 패션문화상품에 대한 한국인 여성 소비자의 태도 및 구매의도. 한국의류학회지, 32(11), 1715-1725.
  6. 김희정, 이경희. (2000). 동양적 복식디자인의 특성과 이미지 연구 (제1보)-한국, 중국, 일본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4(1), 24-33.
  7. 금기숙. (1990). 한국 복식미의 탐구. 복식, 14(1), 167-183.
  8. 박숙현, 이수진, 이수현, 송미영, 송남경, 이효숙. (2003). 패션이미지별 평가용어, 색상 및 분류체계. 한국생활과학회지, 12(4), 539-552.
  9. 박영선, 정영숙. (2002). 한국 전통음식과 식생활 문화에 대한 인식차원 및 유형.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17(4), 446-455.
  10. 손경필. (2000). 전통문양을 응용한 문화상품 개발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1. 신승택, 이현주. (2001). 전통주술문양의 시각적 분석을 통한 한국적 캐릭터의 시각적 표현에 관한 연구. 디자인학연구, 14(3), 136-142.
  12. 심영자, 김정선. (1998). 재미 한인 주부들의 한국 명절음식에 대한 인식. 한국조리과학회지, 14(2), 148-158.
  13. 양윤, 이은지. (2002). 남녀 대학생의 가치체계와 제품속성의 중요도에 관한 인식 비교. 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3(1), 63-87.
  14. 양현주, 권영숙. (2001). 한국 여자 전통혼례복식에 나타난 미적 감성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9(1), 19-32.
  15. 양희순, 이유리. (2009). 청소년들의 패션혁신성에 따른 한국적 이미지 패션상품에 대한 평가. 한국의류학회지, 33(4), 666-677.
  16. 오미야. (1995). 한국 전통음식에 대한 의식, 지식, 기호도 조사-서울시내 일부 남녀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7. 오현정, 오선희. (2004). 섬유소재를 이용한 한국적 이미지의 문화상품디자인 개발. 한국의류학회지, 28(11), 1353-1360.
  18. 오현정, 이선경. (2007). 소비자 가치변인들의 관계와 의복정보탐색행동. 한국의류학회지, 31(3), 376-386.
  19. 윤선희. (2005). 중학교 한국 민속무용교육을 통한 전통문화 인식도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 윤성욱, 양연조. (2009). LOV를 이용한 친환경 행동차이 분석. 마케팅관리연구, 14(2), 103-122.
  21. 이우휘. (2002). 한국 전통문화고찰을 통한 문화상품 개발 방향 연구-제품의 가치향상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2. 이지원, 나수임. (2001). 생활한복 소비자의 가치체계와 의복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복식, 51(8), 13-24.
  23. 이하나. (2000). 남녀 중학생의 한국 전통음식에 대한 지식, 기호도 조사연구-서울지역 중학교 3학년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4. 임경복. (2007). 소비자의 가치체계가 추구 의복이미지와 의복소비가치에 미치는 영향. 복식문화연구, 15(5), 810-824.
  25. 장세정. (2007). 방한 외국인의 한국에 대한 국가이미지가 패션문화상품 구매태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6. 장수경. (1998). 한국 전통문양의 이미지 소고. 한국의류학회지, 22(8), 1001-1010.
  27. 장수경, 김재숙. (2000). 한국 전통문양의 종류, 표현유형, 구성형식 및 적용대상에 따른 감성이미지. 한국의류학회지, 24(2), 214-225.
  28. 전재훈, 하지수. (2007). 유비쿼터스 시대의 청소년 의복문화-UFC 패션상품에 대한 수용가능성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31(2), 319-330.
  29. 정인희, 이은영. (1992). 의복이미지의 구성요인과 계층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6(4), 379-391.
  30. 조윤진. (2007). 한국 방문 외국인의 패션문화상품에 대한 태도와 관련 변인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1. 조정옥. (2005). 대학생의 전통음식에 대한 인지도 및 기호도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2. 최세완, 김민자. (1993). 현대패션에 표현된 한국 복식의 전통미-1980년 이후 한국 디자이너 작품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17(1), 103-117.
  33. 최윤혜, 은영자. (2004). 전통조각보의 색채, 면구성을 응용한 패턴의 감성이미지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6(3), 266-274.
  34. 한패션연구센터. (2007). 우리, 멋, 내음. 서울: 한패션연구센터.
  35. 황진숙. (2003). 인터넷 의류구매 대학생의 가치가 의복추구혜택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17(1), 154-161.
  36. Hair, J., Black, W. C., Babin, B. J., & Anderson, R. E. (2010).Multivariate data analysis (7th ed.). New Jersey: Pearson Prentice Hall.
  37. Hirshman, E. C., Greenberg, B., & Robertsin, D. H. (1978). The intermarket reliability of retail image research: An empirical research. Journal of retailing, 54(spring), 3-12.
  38. Kahle, L. R. (1985). Social values in the eighties: A special issue. Psychology and Marketing, 2(4), 231-237. https://doi.org/10.1002/mar.4220020403
  39. Kahle, L. R., Beatty, S. B., & Homer, P. (1986). Alternative measurement approaches to consumer values: The list of values (LOV) and values and life style (VAL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3(3), 405-409. https://doi.org/10.1086/209079
  40. Kahle, L. R., & Kennedy, P. (1993). Using the list of values(LOV) to understand consumers. Journal of Consumer Marketing, 6(3), 5-12.
  41. Keller K. L. (1998). Strategic brand management: Building, measuring, and management brand equity. New Jersey: Prentice Hall.
  42. Kotler, P. (2000). Marketing management, analysis, planning, implementation, and control (10th ed.). New Jersey: Prentice Hall.
  43. Nguyen, N., & Leblanc, G. (1998). The mediating role of corporation image on customers' retention decision: An investigation in financial services. Journal of Banking marketing, 16(2), 52-65. https://doi.org/10.1108/02652329810206707
  44. Rokeach, M. (1973). The nature of human values. New York: Free Press.
  45. Schiffman, L. G., & Kanuk, L. L. (2007). Consumer behavior(9th ed.). New Jersey: Pearson Prentice Hall.

Cited by

  1. Statistical Errors in a Research of Clothing and Textiles vol.12, pp.4, 2014, https://doi.org/10.14400/JDC.2014.12.4.485
  2. Consumer's Fragrance Preference and Image, Color and TPO Associations with Fragrance vol.39, pp.4, 2015, https://doi.org/10.5850/JKSCT.2015.39.4.5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