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riveability and Bearing Capacity Characteristics Analysis of 590 MPa Grade High Strength Steel Pipe Pile at Songdo Area through Dynamic Load Tests

동재하시험결과 분석을 통한 송도지역 590MPa급 고강도 강관말뚝의 항타관입성 및 지지력 특성 분석

  • La, Seung-Min (Construction Steel Materials Research Team. RIST., Dept. of Civil Engrg., Hanyang Univ.) ;
  • Hong, Bong-Kyun (Civil Engrg., Business Team. Kukdong Etc.) ;
  • Yoo, Han-Kyu (Dept. of Civil Engrg., Hanyang Univ.)
  • 나승민 (RIST 강건재연구실, 한양대학교) ;
  • 홍봉균 (극동건설 토목기술영업팀) ;
  • 유한규 (한양대학교 토목공학과)
  • Received : 2010.11.02
  • Accepted : 2011.02.09
  • Published : 2011.02.28

Abstract

Domestic usage of high strength steel for pile has been limited to steel with yield strength (YS) of 490 MPa. However, design and construction cases abroad show beneficial usage of steel pipe with YS ranging in 500~700 MPa. In this study, YS 590 MPa steel pipe has been tested for driven pile foundation in Songdo area. Pile dynamic analysis (PDA) was carried out for 18 piles of which 16 piles have been reviewed for comparison of the PDA test results with those of GRLWeap analysis using SPT N value. Back analysis of PDA analysis was also carried out to narrow the deviation of standard SPT N value used in GRLWeap analysis. A regression equation is suggested for the shaft and toe resistance according to SPT N values for future GRLWeap analysis that can be used in the designing stage at Songdo area.

강관말뚝의 경쟁력 향상을 위해 개발되어 현장적용되고 있는 590MPa급 고강도 강관말뚝의 항타관입성과 지지력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인천 송도지역에 총 18본의 다양한 지름/두께 및 강도별로 강관말뚝을 시공하고 이에 대한 재하시험을 수행하였다. 항타관입성은 일반강도와 고강도간의 타격횟수, 관입깊이, 건전도 등을 확인하여 비교하였으며, 파일 지지력은 동재하시험을 수행하고 대표 말뚝에 대해서는 정재하시험을 수행하여 동재하시험의 적절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동재하시험결과를 GRLWeap 해석결과와 비교하고 입력변수에 대한 역해석을 수행하여 향후 고강도 강관말뚝을 송도지역에 시공할 때 보다 적절한 항타장비 선정 및 지지력 예측이 가능하도록 표준관입시험의 N값을 이용한 지반반력계수에 대한 보정식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나승민, 유한규, 이장덕, 조천환 (2009), "송도지역 재하시험결과 분석을 통한 고강도 강관말뚝의 적용성 분석", 2009 한국지반공학회 기초기술위원회 워크샵, pp.80-88.
  2. 이명환 (2004), "국내 말뚝 기초의 현황 및 향후 전망", 2004 한국지반공학회 기초기술 위원회 워크샵, pp.165-177.
  3. 이우진 (1998), "Weap을 이용한 강관말뚝의 항타시공성의 합리 적 해석", 한국강구조학회지, 제10권 1호, pp.123-136.
  4. 포항종합제철 (1997), "고강도강관 말뚝의 적용을 위한 연구", PSC, pp.172.
  5. Finnish National Road Administration(2004), Steel Pipe Pi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