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李慶雨飜譯. 編注譯解黃帝內經素問.서울:여강. 1994:25.
- 牛建昭主編. 現代中西醫婦科學. 北京:中國科學技術出版社. 1996:129-36.
- 김문정 등. 서울지역 여대생의 스트레스와 월경양상과의 관계. 이화간호학회지. 2007;41:99-118.
- 오승희 등. 20-30대 여성 461례의 월경에 관한 실태분석.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2;15(1):163-74.
- 宋炳基. 韓方婦人科學. 서울:행림서원.1996:204-10.
- 한방여성의학 편찬위원회. 한방여성의학 I.서울:도서출판 정담. 2007:32, 55.
- 이동녕, 임은미. 비만과 관련된 여성질환에 관한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1;14(1):294-310.
- 장희재 등. 스트레스와 비만에 따른 월경주기의 변화의 다자간 연관성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9;22(4):102-9.
- 최가야 등. BIA법을 통한 비만유형과 월경양상의 관련성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2;15(3):122-8.
- 대한비만학회. 임상비만학. 서울:고려. 2001:1-5, 81-90, 171-80, 197-208.
- 정재혁 등. 일부 월경통 환자의 체성분 분석 결과와의 상관성 분석.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7;20(3):155-63.
- 정원석 등. 한국성인 비만여성의 체지방 분포와 월경장애의 상관성 분석. 대한한방비만학회지. 2004;4(1):23-31.
- 양나래 등. 여고생의 소화기능 및 BMI에 따른 월경통 차이 연구. 한방부인과학회지. 2009;22(4):110-22.
- 김진숙 등. 월경전기 증후군, 월경에 대한 태도, 신경증적 성격특성 및 스 트레스의 관계. 한국심리학회논문집.1998;135-52.
- 조진형 등. 월경전증후군과 관련된 요소를 분석하기 위한 설문조사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6;19(4):174-204.
- 임선희 등. 한방진단시스템(DSOM)을 이용한 청소년 월경통, 월경량 이 상의 한의학적 因子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10;23(3):156-72.
- 이인선 등. 월경통 환자 통증 강도 평가 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4;17(1):138-59.
- 정병천 등. 고3 수험생의 월경실태분석을 통한 Stress와 월경의 상관관계 조사(Stress와 월경의 상관관계). 대한한의학회지. 2002;21(4):93-103.
- 이인선 등. 월경량 평가 기준에 관한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5;18(1):242-52.
- Bray GA. Overweight is risking fate. Definition, Classification, Prevalence, and Risks. Ann NY Acard Sci. 1987; 499:14-28.
- 신현대. 비만의 한의학적 개념과 치료법. 경희의학. 1995;11(3-4):257-67.
- 北京中醫學院. 北京市中醫學校. 實用 中醫學. 北京:北京出版社. 1981:92.
- 대한산부인과학회 교과서편찬위원회.부인과학 제4판. 서울:고려의학. 2007: 341-54, 362-71.
- Castillo-Martinesz L et al. Menstrual Cycle Length Disorders in 18-to 40-y-Old Obese female. Nutrition. 2003; 19(4):317-20. https://doi.org/10.1016/S0899-9007(02)00998-X
- Glass AR et al. Secondary amenorrhea in obesity : etiologic role of weight -related an androgen excess. Fertil Steril. 1978;30(2):243-4. https://doi.org/10.1016/S0015-0282(16)43468-0
- 김현진, 정아롱, 정은아. 비만을 동반한 희발월경 환자 치험 3례.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8;21(4):247-57.
- Lake JK, Power C, Cole TJ. female's reproductive health: the role of body mass index in early and adult life.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1997; 21(6):432-8. https://doi.org/10.1038/sj.ijo.0800424
- Bjorntorp P. The asociations between obesity adipose tissue distribution and disease. Acta Med Scand Suppl. 1988;723:121-34.
- De Souza MJ, Metzger DA. Reproductive dysfunction in amenorrhea athletes and anorexic patients: a review. Med Sci Sports Exerc. 1991;23:995-1007.
- 최임정. 청소년기의 월경 장애. 대한소아내분비학회지. 2008;13(1):15-20.
- 조수현 등 사춘기 여학생의 월경에 관한 조사연구. 대한산부인과학회지. 1999;42(9):2043-7.
- 신재철 등. 한국 10대 여성의 초경에 관한 연구. 대한산부인과학회지. 1996;39(5):866-76.
- 송정오 등. 여고생의 월경양상에 대한 조사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5;18(2):64-82.
Cited by
- 월경주기의 길이와 규칙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vol.24, pp.3, 2011, https://doi.org/10.15204/jkobgy.2011.24.3.073
- 여대생들의 비만지표와 신체활동량 차이에 따른 월경양상 및 월경통과의 상관성 연구 vol.24, pp.3, 2011, https://doi.org/10.15204/jkobgy.2011.24.3.156
- 여성의 연령에 따른 비만도가 피부저항변이도에 미치는 영향 vol.25, pp.1, 2012, https://doi.org/10.15204/jkobgy.2012.25.1.079
- 여대생을 대상으로 한 월경통 클리닉에 대한 임상 보고 vol.25, pp.2, 2011, https://doi.org/10.15204/jkobgy.2012.25.2.142
- 가미귀비탕(加味歸脾湯)이 경행후기(經行後期)인 여대생들의 기울과 소화장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vol.26, pp.2, 2011, https://doi.org/10.15204/jkobgy.2013.26.2.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