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ence and Resemblance of Romantic Style in Modern Fashion

현대패션에 나타난 낭만주의 양식의 부재와 유사

  • 김정미 (부경대학교 패션디자인)
  • Received : 2010.09.27
  • Accepted : 2010.12.23
  • Published : 2011.01.31

Abstract

The goal of this dissertation is to analyze various Romantic styles appearing in modem fashion based upon the 'Difference' theory developed by Michel Foucault. The characteristics that represent 'difference' in change of dress style are absence and resemblance. They are derived from the Foucault's interpretations of 'difference' represented in the paintings by Vel$\acute{a}$zquez and Magritte.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e Romantic style dress in the 19th century are suppression of body, fixed form, volume, and ornamentation. And the aesthetic values of that are subordination, sensuality, and maternity.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e Romantic style that have appeared since 1980s is analyzed according to absence and resemblan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bsence in fashion means that body is more emphasized than dress represented by omitting part or the entire of dress or using the transparent materials. In modem fashion, absence also frees the body from dress and creates ambiguity of boundaries between body and dress. Another characteristic of the absence is lessening the volume, which means the size of dress remains still big but the weight is lightened. Second, resemblance means the formative similarities between the Romantic style of the $19^{th}$ century's and that of modem fashion created through using modem technology and materials.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emblance are the fixed form, lessening of volume of the dress and ornamentation. Feminine beauty inherent in the original, such as subordination, sensuality, and maternity, looses its symbolic meaning and what is created is a new combination of images and signifiant that contain no or uncertain meanings. Thus totally new and different Romantic style is created. The Romantic style in modem fashion changed into the appropriate style to the modem society under various conditions such as designer's will, postmodernism, changes of femininity and technology.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부경대학교

References

  1. Young, A. (1937). Recurring Cycles of Fashion. Harper and Row, pp. 107-124.
  2. Kroeber, A. (1919). On The Principle of Order in Civilization as Exemplified by Changes of Fashion. American Anthropologist, 21, pp. 235-263. https://doi.org/10.1525/aa.1919.21.3.02a00010
  3. Richardson, J., Kroeber, A. (1940). Three Centuries of Women's Dress Fashion: a Quantitative Analysis. Antropological Records, 5(2).
  4. 구미지 (1998). 버슬스타일을 중심으로 본 유행의 주기성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Kubler, G. (1962). The shape of time-Remark on the history of things. Michigan: Yale University Press, pp. 8-10.
  6. Brodsky, J. (1980). Continuing and Discontinuing in Style. The Journal of Aesthetics and Criticism, 39(1), pp. 27-37. https://doi.org/10.2307/429916
  7. 최윤미 (1991). 복식사의 연구방법에 있어서 양식 및 그 변화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함연자 (2005). 20세기 패션에 나타난 신고전주의 양식.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구태경 (1983). 낭만시대 복식의 구조적 특징에 대한 미학적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금자 (1991). 낭만주의 시대의 조형예술 양식과 남녀복식의 특성비교.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태희 (2007). 현대 남성 패션에 나타난 로맨티시즘 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남형주 (2005). 현대 트랜드에 나타난 로맨틱 이미지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박신영 (2007). 로맨틱 복식양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신혜정 (2006). 1990년대 이후 남성패션에 표현된 로맨티시즘.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유영선.채선미 (1999). 현대패션에 나타난 로맨티시즘 경향. 복식, 45
  16. 윤점순 (1982). 서구의 낭만주의 복식에 대한 고찰.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이경아 (2003). 로맨티시즘 복식의 양식.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이효진 (1997). 현대패션디자인 소재에 표현된 예술적 조형성에 관한 연구. 복식, 32
  19. 장현숙 (1998). 1990년대 복식에 나타난 로맨티시즘적 표현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조말희 (2007). 레트로 로맨틱 패션의 미적특성과 시각적 평가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전경갑 (2002). 현대와 탈현대의 사회사상. 서울: 한길사, p. 192.
  22. 이진경 (1994). 철학과 굴뚝 청소부. 서울: 새길, pp. 292-295.
  23. Foucault, M. (1966). Les Mot et les chose: une Archeologie des Science Humaines. Gallimard.
  24. 이진경 (1994). 철학과 굴뚝 청소부. 서울: 새길, pp. 298-230.
  25. Deleuze, G. (1968). Difference et Repetition. Presses Universitaires de France.
  26. 진중권 (2003). 현대미학강의-숭고와 시뮬라크르의 이중주. 서울: 아트북스, pp. 155-156.
  27. Foucault, M. (1968). Ceci n'est pas une pipe. 김현 역 (1995). 이것은 파이프가 아니다. 서울: 민음사, p. 127.
  28. Foucault, M. (1966). Les Mot et les chose: une Archeologie des Science Humaines. 이광래 역 (1987). 말과 사물. 서울: 민음사, p. 30.
  29. 진중권 (2003). 현대미학강의-숭고와 시뮬라크르의 이중주. 서울: 아트북스, pp. 148-153.
  30. 윤성우 (2004). 들뢰즈-재현의 문제와 다른 철학자들. 서울: 철학과 현실사, pp. 32-36.
  31. 윤성우 (2004). 들뢰즈-재현의 문제와 다른 철학자들. 서울: 철학과 현실사, pp. 3-21.
  32. 윤성우 (2004). 들뢰즈-재현의 문제와 다른 철학자들. 서울: 철학과 현실사, pp. 36-38.
  33. Foucault, M. (1968). Ceci n'est pas une pipe. 김현 역 (1995). 이것은 파이프가 아니다. 서울: 민음사, p. 34.
  34. 진중권 (2003). 현대미학강의-숭고와 시뮬라크르의 이중주. 서울: 아트북스, pp. 159-160.
  35. 한기주 (2006). '차이'의 회화적 해석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54-55.
  36. Foucault, M. (1968). Ceci n'est pas une pipe. 김현 역 (1995). 이것은 파이프가 아니다. 서울: 민음사, p. 48.
  37. 진중권 (2003). 현대미학강의-숭고와 시뮬라크르의 이중주. 서울: 아트북스, pp. 166-167.
  38. Mackrell, A. (2005). Art and Fashion: the Impact of Art on Fashion and Fashion on Art. BT: Batsford, p. 76.
  39. Jann, R. (1994). Darwin and Anthropologists: Sexual Selection and Its Discontents. Victorian Studies, Winter, pp. 294-296.
  40. 김정선 (1996). 빅토리아 시대 유행복식과 반유행 복식운동에 나타난 여성성과 인체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3-19.
  41. 김정선 (1996). 빅토리아 시대 유행복식과 반유행 복식운동에 나타난 여성성과 인체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21.
  42. 고현진 (2003). 복식에 표현된 엘레강스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82.
  43. Veblen, T. (1899). The Theory of the Leisure Class. 이완재, 최세양 역 (1995). 한가한 무리들. 동인, p. 179.
  44. 박길순 (1990). 산업혁명이 복식에 미친 영향. 충남생활과학연구지, 3(1), p. 40.
  45. 정흥숙 (1997). 서양복식문화사. 서울: 교문사, p. 311.
  46. Payne, B. (1965). History of Costume. 이종남, 안해준 역. (1997). 복식의 역사: 고대 이집트에서 20세기까지. 서울: 까치, p. 586.
  47. 정흥숙 (1997). 서양복식문화사. 서울: 교문사, p. 330-331.
  48. Kemper, R. H. (1977). Costume. New York: Newsweek Books, p. 126.
  49. 최현숙. 앞의 책, pp. 70-76.
  50. Payne, B. (1965). History of Costume. 이종남, 안해준 역. (1997). 복식의 역사: 고대 이집트에서 20세기까지. 서울: 까치, p. 570.
  51. 최현숙. 앞의 책, p. 70.
  52. 정흥숙 (1997). 서양복식문화사. 서울: 교문사, p. 300.
  53. 정흥숙 (1997). 서양복식문화사. 서울: 교문사, p. 305.
  54. Boucher, F. (1995). 20,000 Years of Fashion: The History of Costume and Personal Adornment. New York: Manchester University Press, p. 375.
  55. 백영자, 유효순 (1998). 서양의 복식문화. 서울: 경춘사, p. 288.
  56. 신상옥 (2006). 서양복식사. 서울; 수학사, p. 260.
  57. Laver, J. (1994). Costume and Fashion: A Concise History of Costume. 이경희 역 (1998). 복식과 패션. 서울: 경춘사, p. 194.
  58. Laver, J. (1994). Costume and Fashion: A Concise History of Costume. 이경희 역 (1998). 복식과 패션. 서울: 경춘사, p. 193-194.
  59. 백영자, 유효순 (1998). 서양의 복식문화. 서울: 경춘사, p. 289.
  60. Payne, B. (1965). History of Costume. 이종남, 안해준 역. (1997). 복식의 역사: 고대 이집트에서 20세기까지. 서울: 까치, p. 587.
  61. Payne, B. (1965). History of Costume. 이종남, 안해준 역. (1997). 복식의 역사: 고대 이집트에서 20세기까지. 서울: 까치, p. 598.
  62. Fukai, A. (2005). Fashion. Taschen, p. 245.
  63. Smith, B. G. (1981). Ladies of the Leisure Class: The Bourgeoises of Northern France in Nineteenth Century.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78의 내용을 Steele, V. The Corset. CT: Yale University Press, p. 95.에서 재인용.
  64. Wilson, E. (1985). Adorned in dreams. London: Virago Press, p. 107.
  65. Martin, R. and Koda, H. (1996). infra-Apparel. 이선재 역 (1996). 인프라 의상. 서울: 경춘사, p. 51.
  66. 나현신 (2001). 복식의 절충주의 양식.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71.
  67. 양희영 (2007). 현대패션에 나타난 연속성의 조형적 특성.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232.
  68. 박신영 (2007). 로맨틱 복식 양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57.
  69. Mauries, P. (1996). Christian Lacroix-The Diary of Collection. NY: Simon & Schuster Inc., pp. 23-24.
  70. Coddington, G. (1997. 10). Couture's Glorious Excess. Vogue U.S.A, p. 336.
  71. Coddington, G. (1996. 12). A Feast For The Eyes. Vogue U.S.A, p. 252.
  72. Baudot, F. (1995). A Century of Fashion-Christian Lacroix, London: Thames & Hudson, pp. 34-35.
  73. Steele, V. (1985). The Corset. CT: Yale University Press, p. 1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