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ystematic Forecasting Bias of Exit Poll: Analysis of Exit Poll for 2010 Local Elections

출구조사의 체계적인 예측 편향에 대한 분석: 2010년 지방선거 출구조사를 중심으로

  • 김영원 (숙명여자대학교 통계학과) ;
  • 최윤정 (숙명여자대학교 통계학과 대학원)
  • Received : 2011.10.22
  • Accepted : 2011.11.18
  • Published : 2011.11.30

Abstract

In this paper, we overview the sample design, sampling error, non-response rate and prediction errors of the exit poll conducted for 2010 local elections and discusses how to detect a prediction bias in exit poll. To investigate the bias problem in exit poll in regional(Si-Do) level, we analyze exit poll data for 2007 presidential election and 2006 local elections as well as 2010 local elections in Korea. The measure of predictive accuracy A proposed by Martin et al.(2005) is used to assess the exit poll bias. The empirical studies based on three exit polls clearly show that there exits systematic bias in exit poll and the predictive bias of candidates affiliated to conservative party (such as Hannara-Dang) is serious in the specific regions. The result of this study on systematic bias will be very useful to improving the exit poll methodology in Korea.

본 연구에서는 선거 출구조사에서 발생하는 편향을 분석하기 위해, 먼저 2010년 전국동시지방선거 출구조사의 표본설계와 표본추출오차, 그리고 무응답 현황 및 예측오차 등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출구조사에서 체계적으로 발생하는 지역별 편향 문제를 다루었다. 출구조사에서 발생하는 편향을 통계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Martin et al.(2005)이 제안한 예측 정확성 척도인 통계량 A를 사용하였다. 2010년 지방선거를 포함해 2006년 지방선거와 2007년 대통령 선거 방송사 출구조사 자료를 토대로 시 도 단위에서 지역별 편향을 분석해 본 결과, 여당 성향이 강한 지역에서는 여당 후보를 과대 추정하는 편향이 체계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여당 성향이 강해질수록 이런 편향이 더 강해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런 연구결과는 향후 출구조사의 정확성 제고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