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색 화살표 신호등 설치 전.후 차두시간 비교 분석

Study on Headways at Signalized Intersections Before and After Installation of Red Arrow Signal

  • 투고 : 2011.08.08
  • 심사 : 2011.11.16
  • 발행 : 2011.12.31

초록

3색 화살표 신호등(3색 신호등)을 시범 설치하여 운영하던, 2011년 5월 대한민국은 열띤 토론에 휩싸였다. 논란의 핵심은 두 가지로 요약 할 수 있다. 첫째 3색 화살표 신호등이 운전자에게 혼란을 일으켜 교통사고를 유발 할 수 있다는 것이고, 둘째 예산낭비라는 것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핵심 논란 중, 3색 화살표 신호등이 운전자에게 혼란을 초래하는지에 대해 초점을 맞춰 연구를 수행하였다. 효과척도(MOE)로는 차두시간을 선정하였다. 운전자가 교차로에 진입하면서 혼란스러워 머뭇거리면 출발손실시간과 차두시간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따라서 3색 화살표 신호등 설치 전/후 비교분석을 통해 기존 4구 신호등과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현장조사는 총 3개 지점에서 실시하였으며, 설치 전/후 비디오 촬영을 통해 정지선을 통과한 차량의 차두시간을 측정하여 각 지점별 설치 전/후 차두시간을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3개 지점 모두 3색 화살표 신호등 설치 전/후에 차두시간은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After heated discussion, National Police Agency decided not to install Red Arrow signal at such major intersections as Gwanghwamoon, Sejongro. The major issues can be summarized in the following reasons. The one is the conflict of color and symbol (red means STOP and arrow means PROGRESS), and it would confuse drivers and may cause traffic accident. The other includes high replacement cost. This paper delivered how much red arrow signal would affect (1) drivers start up delay time, (2) saturation flow rate and (3) vehicle headway.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those even when a red arrow signal is placed.

키워드

참고문헌

  1. 이호원(1995), '신호교차로에서 곡선반경에 따른 좌회전 보정계수의 영향 분석',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 오영태․김기형(2001), '신호교차로에서 곡선반경에 따른 좌회전의 직진환산계수 산정', 대한교통학회지, 제19권 제2호, 대한교통학회, pp.21-28.
  3. 안형기․오영태(2000), '신호교차로에서 좌회전. 유턴 공용차로 보정계수 산정', 대한교통학회지, 제18권 제5호, 대한교통학회, pp.43-56.
  4. 김정래․김기혁(2002), 'Bay길이에 따른 좌회전 용량산정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20권 제3호, 대한교통학회, pp.31-39.
  5. 이향숙․도철웅(2002), '도시부 신호교차로에서 직진이동류의 포화차두시간', 대한교통학회지, 제20권 제5호, 대한교통학회, pp.23-31.
  6. King, G F and Wilkinson, M, "Relationship of Signal Design To Discharge Headway, Approach Capacity, and Delay",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615, TRB, National Research Council, Washington, D.C., pp.37-44.
  7. U.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Manual on Uniform Traffic Control Devices for Streets and Highways", 2009 Edition, pp.467-474.
  8. Department for Transport, "Know Your TRAFFIC SIGNS Official Edition", Information & Publishing Solutions, p.119.
  9. William R. McShane, Roger P. Roess, Elena S. Prassas(1998), "Traffic Engineering, Second Edition", p.403.
  10. 건설부(1992), "도로용량편람", pp.318-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