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rategies of Transport Demand Management to Decrease the Greenhouse Gases in Transportation Part

교통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저감을 위한 교통수요관리 방안 전략 연구

  • Received : 2010.05.04
  • Accepted : 2011.02.15
  • Published : 2011.02.28

Abstract

The growing amount of using the fossil fuel is bringing about environmentally, economically serious problems like as global warming. To solve the problems, the international society has begun to decrease greenhouse gases through the international agreement like as the climate change convention. In South of Korea, it was presented practical goal of Green Development try to decrease greenhouse, which is the future 60 years vision. And, it contains the strategies of Green Development and 5th Plan of Green Development. Nowadays, the government accepted the active alternative scenario 3, which is the goal of 4% decrease in greenhouse gases until 2020's, presented by Presidential Committee on Green Growth. This study established the strategies of Transport Demand Management to decrease the greenhouse gases in transportation part, and then we measured the effect of them. As a result, if it takes effect the aggressive strategies annually, it will cut greenhouse gas pollution by 3.1%, which is 7,590,000t$CO_2eq$, in transportation part. So, we can expect that it would be the effective policy tool to achieve the goal of government, which is the Green Development, if it controls the strategies of TDM effectively by the political needs.

지속적인 증가추세를 보이는 화석연료 사용은 지구온난화라는 심각한 환경적, 경제적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이에 따른 대비책으로 국제사회는 기후협약과 같은 국제 협약을 통한 온실가스 감축 노력을 경주하기 시작했다. 우리나라도 "녹색성장"을 정책의 주요 패러다임으로 하는 온실가스 감축노력의 일환으로 미래 60년 비전인 "저탄소 녹색성장"의 실천적 목표를 제시한 바 있다. 동시에 이를 달성하기 위한 핵심전략으로 온실가스 감축목표 설정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2050년까지의 "녹색성장 국가전략"과 이를 이행하기 위한 "녹색성장 5개년계획"에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포함한 바 있다. 최근 들어 정부는 녹색성장위원회의 건의를 수용하여 온실가스 저감 시나리오 중 가장 적극적 대안인 시나리오 3, 즉 2020년까지 2005년도 발생량 대비 4%저감을 정부의 온실가스 감축목표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정부의 정책 목표달성을 지원하기 위하여 교통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저감을 위한 교통수요관리 방안 전략을 수립하고 동 전략의 시행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효과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고강도 교통수요관리 방안 전략을 시행할 경우 매년 국가 온실가스 저감목표 중 3.1%에 해당하는 7.59백만t$CO_2eq$를 교통부문에서 저감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정책적 필요 정도에 따라 교통수요관리 방안 전략을 수준별, 단계별로 구분 시행할 경우 저탄소 녹색성장이라는 정부정책 목표달성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적 정책도구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경기개발연구원(2007), "기후변화협약 이행을 위한 수도권 교통정책의 방향".
  2. 국토해양부(2007), "대도시권 광역교통시행계획수립 연구".
  3. 국토해양부(2009), "지속가능 교통물류발전법".
  4. 녹색성장위원회(2009), "국가 온실가스 중기(2020년) 감축목표 설정 추진계획".
  5. 황기연.김익기.엄진기(1999), "교통수요관리 방안의 단기적 효과 분석모형의 구축", 대한교통학회지, 제17권 제1호, 대한교통학회, pp.173-185.
  6. 서울시정개발연구원(2005), "혼잡통행료 징수에 관한 학술연구".
  7. 서울시정개발연구원(2007), "승용차 이용 감축을 위한 서울시 교통수요관리 추진방안".
  8. 서울시정개발연구원(2007), "중앙버스전용차로 운영평가를 위한 지표 개발".
  9. 서울특별시(2008), "교통수요특별관리 타당성 분석 및 운송비 변화 추정".
  10. 수도권교통본부(2006), "수도권 가구통행실태조사".
  11. 인천발전연구원(2002), "인천광역시 교통혼잡완화를 위한 교통수요관리 방안 연구".
  12. 한국지방행정연구원(1997), "혼잡통행료의 징수에 대한 검토".
  13. 서울도시연구(2002), "수도권 도시철도 급행열차 운영 효과 분석", 제3권 제1호 pp.69-80.
  14. Victoria Transport Policy Institute(2007).
  15. Martin J. H Mogridge(1983), Travel in Tow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