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u-Disaster Prevention System based Real-Time Fire Monitoring in a Building Facility

u-방재시스템 기반의 시설물 실시간 화재 모니터링

  • 문성우 (부산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
  • 성현진 (부산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Received : 2010.11.04
  • Accepted : 2010.12.10
  • Published : 2011.01.31

Abstract

The building infrastructures such as high-rise buildings, shopping malls, exhibition centers, etc. are becoming larger in magnitude and more complex in complexity. Considering a large number of tenants and visitors are staying in these facilities, it is upper most important to keep those in safe from fire outbreak. In this paper, a u-Disaster Prevention System has been presented to provide effective fire evacuation when fire breaks out in building infrastructures. The ubiquitous sensor network (USN) technology was applied to detect heat and smoke from fire outbreak. The information then is transmitted wirelessly to a host computer. The tenants and visitors residing in the facility can evacuate following the instruction that is displayed in LED sign boards of the u-Disaster Prevention System. A case study shows that the ubiquitous environment can help people evacuate faster in time, shorter in distance with the assistance of the u-Disaster Prevention System.

산업과 경제발전에 따라서 대중이 이용하는 공공 시설물은 대형화 복합화 되어가고 있으며, 재난시 시설물 사용자의 안전을 지키기 위한 방재 시스템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 지고 있다. 방재 시스템은 시설물관리에 있어서 재난극복을 위한 중요한 수단으로써 화재발생시 시설물 사용자를 안전하고, 신속하게 대피시킬 수 있는 기능을 가져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화재 발생시 온도와 연기를 측정하여 현장상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Ubiquitous Sensor Network (USN) 기술 기반의 u-방재시스템을 제공한다. u-방재시스템은 화재발생시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온도와 연기를 측정하여 현장상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등 독립적인 데이터 송수신 기능을 가지며, 시공간을 극복하여 현장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시설물 사용자는 방재시스템의 LED 전광판이 안내하는 상황별 최적의 대피경로를 따라서 화재로 부터 탈출할 수 있게 된다. 현장 적용성을 테스트하기 위해서 화재와 온도센서, 그리고 LED 전광판 등으로 구성되는 프로토타입을 개발했다. 빌딩 시설물을 대상으로 화재시 u-방재시스템의 기능을 검증했으며, 테스트 결과 USN 기반의 u-방재시스템은 화재발생 등 극한상황에서 화재대피에 필요한 데이터를 중단없이 송수신하여 시설물 사용자가 효과적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원선(2001)." 광케이블을이용한화재감지시스템", 한국화재.소방학회, Vol. 2, No. 3, pp. 1-8
  2. 국가법령정보센터 (2010).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대통령령 제 22151호),
  3. 김선경, 원준연(2003). "방재분야의 유비쿼터스 정보기술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Vol. 15, No. 4, pp. 97-118
  4. 김용우, 김도현, 곽호영, 박희동(2008)." 무선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화재 대피 유도 연구", 한국멀티미디어학회지, Vol. 11, No.11, November 2008, pp. 1547-1554
  5. 김진택(2008)." USN 기반화재예방관리시스템구축", KALI.지역정보화, Vol. 48, January 2008, pp. 22-28
  6. 소방방재청 (2010). 소방방재 주요통계 및 자료, pp. 99-188
  7. 소방방재청 (2007). 화재 국민행동요령 매뉴얼, pp. 1-8
  8. 이준재(2007)." 네트워크카메라기반의화재감지시스템", 한국화상학회지, Volume 13, Number 4, pp. 233-242
  9. HU ji, Qin bui-bin, ZHENG liang (2008). The research of low power wireless sensor network architecture based on fire monitoring, 11th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10-12 Nov. 2008, pp. 126 - 128
  10. Liu Baifen, Zhang yongxian, Gan Fangcheng, Wang Donghai (2007). Design Intelligent Multi-sensor Fire Monitoring Based on DSP, The Eigh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lectronic Measurement and Instruments, pp. 799-804

Cited by

  1. A Study on Fire Evacuation Guidance System using Indoor Spatial Information from Beacon vol.6, pp.3, 2016, https://doi.org/10.13161/kibim.2016.6.3.015
  2. Development Strategies and Feasibility Evaluation of Maintenance Operation System for Railway Bridge Based on Ubiquitous-BIM Technology vol.15, pp.5, 2012, https://doi.org/10.7782/JKSR.2012.15.5.4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