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산업의 한일비교 연구 - 산업연관분석을 중심으로 -

Korea and Japan Comparison Study of Distribution Industry: Focus on Input-out Analysis

  • 발행 : 2011.12.31

초록

본 논문은 한일 양국 유통산업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기 위해 각국의 산업별 국민경 제의 점유율, 유통산업의 생산성, 산업연관분석 등을 수행한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하였다. 농림어업의 국내총생산 점유율은 한일 양국 모두 하락하고, 제조업은 한국이 증가하고 일본이 하락하는 반면 유통산업은 한국이 하락하고 일본이 상승했다. 고용인구의 점유율은 모든 산업이 한일 양국 모두 하락하고, 상대적 노동생산성은 농림어업, 유통산업 등이 한일 양국 모두 노동력을 필요로 하는 반면 제조업은 충족하고 있다. 유통산업에 대한 국내총생산의 연도별 추이는 한일 양국 모두 영향력계수에 비하여 감응도 계수가 크다. 한일 양국 간 유통산업에 대한 국내총생산의 연도별 영향력계수는 일본에 비하 여 한국이 큰 반면 감응도계수는 한국에 비하여 일본이 크다. 최종수요의 생산유발효과는 한 국에 비하여 일본이 큰 반면 수입유발효과는 일본에 비하여 한국이 크다. 유통산업비의 상승은 섬유 및 가죽제품, 음식료품, 목재 및 종이제품 등의 산업부문에 한일 양국 모두 직접 간접적인 파급효과가 크다. 한일 양국 간 비교하면 대부분의 산업부문, 기업 물가지수, 소비자물가지수 등은 한국에 비하여 일본이 파급효과가 크다. 한일 양국의 시차 간 유통산업의 영향력은 유사한 반면 감응도는 일본에 비하여 한국이 약 화되는 것으로 보아 한국의 유통산업은 적극적인 방향을 정책수립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유통산업은 투자부문에서 한국은 공공주도형의 경향을 나타내는 반면 일본은 민간주도형의 경향을 나타냈다. 앞으로 한국의 유통산업은 일본과의 시차를 감안한다면 경제발전과 안정단계 에 진입하면서 민간주도형으로 전환될 것으로 예측되기 때문에 정책방향을 설정하는데 중요 할 것이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retail industry of industrial share of the GDP, productivity of distribution industry and input-out analysis between Korea and Japan, also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hare of GDP in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of the both countries is falling. That of manufacture increases in South Korea, while Japan is falling. While distribution industry shows vice versa. Employed population by industry is falling both countries also. The relative labor productivity shows that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retail industry needs more labor, while manufacture has been met for both countries. Second, compare to Japan, the retail industry of Korea has been increased since 1990. Likewise, overall productivity of distribution industry in Korea has been increased while almost that of Japan has declined. Third, production inducement effects of Japan are greater than that of Korea. On the other hand, import inducement effects show vice versa. Fourth, as shown from the final demand of distribution industry and the rate of dependence on production inducement, we can see that the “increase in stocks” increases while gross government fixed capital formation shows vice versa. Korea's private consumption expenditure increases while Japan shows versa. South Korea's government consumption expenditure and exports are rising, on the other hand, that of Japan is declining. Fifth, the rate of dependence on distribution industry and import inducement shows the same tendency from both countries. As we can see from the private consumption expenditure, government consumption expenditure, gross government fixed capital formation, gross private fixed capital formation, increase in stocks, the rate of dependence on import inducement is more effective than the rate of dependence on production inducement. While the exports are comparatively ineffective. Sixth, the degrees of influence of retail industry are similar between Korea and Japan, while sensitivity of the Korean industry has been weakened. In this sense, strong policies are needed to boost the industry. Seventh, the investments in the retail industry of Korea showed the public-led trend, while Japan showed private sector-led investment trend. The investment trend of Korea's retail industry will be switched into private sector-led investment step by step in the future. This finding will be an important clue to set the policy direction of Korea distribution industry. Finally, both Korea and Japan are still in need of employment in retail industry. Not addressed in this paper, such as value-added-induced effects, employment inducement effect, will be remaining challenges in the following paper.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