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rrection of Geometric Distortion of Internet Aerial Imagery and Photo-Realistic 3D Building Modeling

인터넷 항공영상의 왜곡보정과 실감적 3차원 건물 모델링

  • 이동천 (세종대학교 지구정보공학과)
  • Received : 2011.12.13
  • Accepted : 2011.12.25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Many internet portals provide maps with spatial information services. Recently, various images including aerial, satellite, street view, and photo-realistic 3D city models are provided as well as maps. This study suggested a method for geometric correction of the panoramic aerial images in the internet portal and 3D building modeling using information which is available in the internet. The key of this study is to obtain all necessary data easily from internet without restrictions. Practically, the ground control coordinates could be available from geo-referenced internet maps, and stereo pairs of the aerial images and close-range photographs for photo-realistic object modeling are provided by the internet service. However, the ground control points are not suitable for accurate mapping. RMSE of the plotting was about 9 meters and reduced upto 4 meters after coordinate transformation. The proposed methods would be applicable to various applications of photo-realistic object modeling which do not require high accuracy.

국내외의 많은 인터넷 포털 사이트는 지도 및 공간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지도뿐만 아니라 항공 및 위성영상, 거리영상, 실감적 3차원 도시공간모델 등 다양한 영상정보를 함께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지도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파노라마 항공영상에 발생하는 왜곡을 보정하고, 입체영상으로부터 수치도화를 수행하여 3차원 건물 모델링을 용이하게 수행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은 누구나 쉽게 접할 수 있는 인터넷 지도로부터 기준점 좌표를 획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인터넷에서 제공하는 항공영상과 지상사진을 이용하여 실사 객체 모델링을 가능하게 하였다는데 의의를 두고 있다. 도화에 필요한 기준점과 같은 데이터들이 인터넷에서 획득한 자료라는 점을 감안하면 높은 정확도를 요구하는 경우에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수치도화 RMSE는 약 9m 이며, 좌표변환식을 이용하여 4m 정도로 향상시킬 수 있었다. 그러므로 높은 정밀도가 요구되지 않는 분야에서는 영상과 필요한 데이터 획득에 제약을 받지 않고 지형지물들을 용이하게 실감적으로 모델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노명종, 조우석, 박준구, 김정섭, 고진우 (2011), 비디오 프레임 영상으로부터 제작된 자유 입체 모자이크 영상의 실좌표 등록, 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 제 29권 제 3호, pp. 249-255.
  2. 윤부열, 이재원, 손호웅 (2009), 경량 항공사진촬영 시스템을 이용한 남극 세종과학기지의 수치지형도 제작과 활용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9권, 제 1D호, pp. 121-128.
  3. 전영재, 이동천 (2011), 인터넷 지도 서비스의 항공영상을 이용한 3D 수치도화,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측량학회, pp. 251-252.
  4. 정수 (2009), 비측량용 카메라를 이용한 3차원 형상 해석,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제17권 제 2호, pp. 91-99.
  5. 정수 (2011), 비측량용 카메라 내부표정요소의 장기간 안정성 평가, 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 제 29권 제 3호, pp. 283-291.
  6. Schenk, T. (1996), Topics in Photogrammetry, Class Note, Dept. of Geodetic Science & Surveying, The Ohio State University, Columbus, USA, pp. 28-31.
  7. Slama, C. (1980), ASP Manual of Photogrammetry, 4th edition, American Society of Photogrammetry, Falls Church, VA, pp. 723-7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