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배롱나무와 피라칸사 겨울 휴면지의 내한성 평가

Cold Tolerance Assessment of Lagerstroemia indica and Pyracantha angustifolia with Dormant Branches

  • 투고 : 2011.11.20
  • 심사 : 2011.12.27
  • 발행 : 2011.12.31

초록

배롱나무와 피라칸사의 내한성과 지역별 최저기온을 분석하여 동해에 대한 위험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저온 처리한 시료의 내한성은 전기전도도의 측정과 형성층의 갈변도 관찰로 평가하였다. 배롱나무는 $-17.1^{\circ}C$ 이하에서, 피라칸사는 $-18.9^{\circ}C$ 이하에서 동해 피해가 클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난 45년간 최저기온이 $-17.1^{\circ}C$ 이하로 하강된 횟수는 대전 총 7회 중 1975년도 이후에는 1회, 청주 총 55회, 수원 총 72회로 기록되고 있다. $-18.9^{\circ}C$ 이하로 기온이 하강된 횟수는 청주 45회, 수원 32회로 나타났으나, 1991년 이후에는 하강되지 않았다. 또한 위도가 높아질수록 최저기온 상승계수는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중부지역에 식재된 배롱나무와 피라칸사는 동절기 간헐적으로 나타날 수 있는 기온 강하에 의한 부분적인 동해 피해가 예상되기 때문에 위험할 수 있으며, 최저기온의 상승 추세에 따라 동해 피해 위험은 점진적으로 감소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heck danger of the cold injury by reviewing the lowest temperature by regions and the cold tolerance of Lagerstroemia indica and Pyracantha angustifolia. The cold tolerance of the samples treated at low temperature was evaluated by measuring electrical conductivity and observing browning of the cambium. It was proved that the lethal temperature of L. indica is below $-17.1^{\circ}C$, and that of P. angustifolia is below $-18.9^{\circ}C$. The frequency of the lowest temperature went down below $-17.1^{\circ}C$, was 7 times in Daejeon, 55 times in Cheongju and 72 times in Suwon for the last 45 years. In Daejeon, it has happened only once since 1975. The temperature dropped below $-18.9^{\circ}C$ 45 times in Cheongju and 32 times in Suwon during the same period, but it has not happened at all since 1991. It appears that the rising coefficient of the lowest temperature increases, as the latitude gets higher. As a result, L. indica and P. angustifolia which were planted in the central region of Korea, are considered in danger from freezing injury because the temperature can get very low intermittently in winter. But, the risk of freezing has reduced gradually as the lowest temperature raises each year.

키워드

피인용 문헌

  1. Modeling Methodology for Cold Tolerance Assessment of Pittosporum tobira vol.32, pp.2, 2014, https://doi.org/10.7235/hort.2014.130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