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부실 정밀점검 및 정밀안전진단의 문제점과 평가제도의 개선방향

Problems of Insufficient Detailed Inspection and Precision Safety Diagnosis and the Improving Direction for the Evaluation System

  • 하명호 (상명대학교 시설공학과, 한국시설안전공단 진단평가팀) ;
  • 박종섭 (상명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 투고 : 2010.12.24
  • 심사 : 2011.07.25
  • 발행 : 2011.09.30

초록

성수대교 삼풍백화점 붕괴사고 등을 계기로 유지관리 분야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1995년 시설물의안전관리에관한특별법이 제정되어 점검 진단이 실시되는 등 본격적인 유지관리체제가 시작됐다. 그러나 점검 진단의 역사가 일천한 관계로 점검 진단에 대한 기술수준이 낮았고 연구 성과 또한 미흡하여 부실 점검 진단에 대한 우려가 상존해 있었다. 이에 2002년 평가제도가 도입되면서 부실 점검 진단 비율이 지속적으로 낮아져 왔다. 그러나 최근 점검 진단 실시결과 평가실적에 따르면 향후 부실 점검 진단비율이 더 이상 낮아지기 힘든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를 계기로 부실 점검 진단과 관련하여 관련기관의 설문조사와 메커니즘 측면에서 고찰하므로서, 부실 점검 진단이 초래되는 근원적인 문제점을 나열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현행 평가제도의 개선방향을 제시 하고자 하였다.

As importance of the field of maintenance and management come to the fore because of collapses of the Seongsu bridge and the Sampoong department store, "Special Act for the Safety Control of Public Structures" was established in 1995 and the major maintenance and management system began taking effect "Detailed inspection and Precision safety diagnosis". However, a technical standard of "Detailed inspection and Precision safety diagnosis" was low because its history was not long, and also the results of research were not enough so anxiety for "Insufficient Detailed inspection and Precision safety diagnosis" was continuously left. While its evaluation system introduced in 2002, the ratio of "Insufficient Detailed inspection and Precision safety diagnosis" has been getting lower. However, according to the evaluation result after carrying out "Detailed inspection and Precision safety diagnosis" recently, it seems difficult to become lower for the ratio of "Insufficient Detailed inspection and Precision safety diagnosis" in future. Therefore, it is considered of questionary survey of the concerned organization and the mechanism side in connection with "Insufficient Detailed inspection and Precision safety diagnosis". So it is arranged the fundamental problems caused by an "Insufficient Detailed inspection and Precision safety diagnosis" that is to show the improving direction of the existing evaluation system in a based on this.

키워드

참고문헌

  1. 하명호, 박종섭, "부실 정밀점검 및 정밀안전진단의 국가적 손실비용 추정", 구조물진단학회지, 제14권 제6호, 2010.11, pp.246-253.
  2. 홍재철, "국내 구조물 안전진단 현황과 그 개선방안",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pp.1-23.
  3. 홍성호, 유일한, 손창백, "정밀점검 및 정밀안전진단 평가제도 개선방안 연구", 국토해양부, 한국시설안전공단, 대한건설정책연구원, 2009, pp.1-35.
  4. "시설물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시행령.시행규칙", 국토해양부, 2008.
  5. "시설물의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 지침", 국토해양부 고시 제2008-838호.
  6. "시설물 정보관리 종합시스템 운영규정", 국토해양부 고시 제2009-139호.
  7.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 대가(비용산정) 기준", 국토해양부 고시 제2008-840호.
  8. "정밀점검 및 정밀안전진단 실시결과에 대한 평가규정", 국토해양부 고시 제2008-839호.
  9. "정밀점검 및 정밀안전진단 용역업자의 사업수행능력 세부평가기준", 국토해양부 고시 제2010-3호.
  10. "제2차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 기본계획", 국토해양부 고시 제2007- 660호.
  11. "시설물 정보관리 종합시스템(www.fms.or.kr)", 국토해양부, 한국시설안전공단.
  12. Michiya Suzuki, Tatuo Oka and Kiyoshi Okada, "産業聯關表による建築物の評價, その 3. 住宅建設によるエネルぎー消費量, 二酸化炭素排出量", 日本建築學會計劃係論文集, No. 463, 1994, pp.75-82.
  13. Osamu Matsushima, Tatsuo Oka and Hiroyuki Shoji, "聯關分析による建築設備の建設コスト構成に關する評價手法の硏究", 日本建築學會計劃係論文集, No. 483, 1996, pp.81-89.

피인용 문헌

  1. Application Prototype Development for the Building Safety Periodic Inspection vol.32, pp.1, 2016, https://doi.org/10.5659/JAIK_SC.2016.32.1.63
  2. A STUDY ON THE EVALUATION SYSTEM OF SAFETY INSPECTION FOR EXISTING BUILDINGS BASED ON THE CURRENT STATUS OF PERIODIC AND PRECISION INSPECTION IN KOREA vol.83, pp.746, 2018, https://doi.org/10.3130/aija.83.6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