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기업유치 업종선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lection of Categories in Attracting Businesses for Regional Economy Activation

  • 윤갑식 (동아대학교 도시계획학과)
  • 투고 : 2011.10.27
  • 심사 : 2011.01.15
  • 발행 : 2011.12.30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수도권 기업이 지방으로 이전한 후 운영과정, 즉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할 수 있는 지역산업연관모형의 기본구조와 기업유치 업종 선정을 위한 기준을 제시하고, 이러한 기준에 부합하는 기업유치 업종을 지역별로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내 종업원 300인 이상의 대기업 제조업이 5+2 광역경제권으로 이전하는 것으로 전제하였고, 이들의 이전효과를 부가가치유발효과와 취업유발효과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지역에서 유치해야 할 업종은 해당 지역의 산업구조 특성에 따라 달라져야 함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부가가치유발 효과와 취업유발효과가 모두 큰 업종이 매우 유사한 것으로 나타난 충청권, 호남권, 대경권, 동남권에서는 다른 지역과 차별화된 인센티브 제공 등의 기업유치 전략마련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또한 강원권과 제주권에서는 기업유치를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목적이 따라 유치업종이 달라져야 함을 제시하였다.

The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s of attracting companies from Seoul Metropolitan Area on regional value-added and employment using a regional input output model and to suggest the most appropriate categories in attracting business based on the result from the analysis. It is assumed that large manufacturing companies in Seoul Metropolitan Area are relocated to 5+2 supra-economic region in this paper. The result shows that selection of categories in attracting businesses should be depend on the characteristic of regional industrial structure. Also, it is derived that establishing a differentiated strategy in attracting businesses is essential.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