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Fashion Cultural Products Based on the Motif of Traditional Beoseon Socks

전통버선의 형태를 모티브로 한 패션문화상품 디자인 연구

  • 김선영 (순천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 Received : 2011.10.17
  • Accepted : 2011.12.05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This study focused on the beoseon, traditional Korean socks that are a fashion item showcasing the beauty of the round hanbok shape. The study utilized the beoseon as an influential design motif and suggested 24 cultural fashion items to which the beoseon can be applied, including neckties, scarves, and T-shirts.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Adobe Illustrator CS3 and Adobe Photoshop CS3 were used for the motif design as well as the literature review on traditional beoseon socks. For the basic design motif, two basic forms were taken from the collection of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The key point of the motif development is that it maintains the basic shape of the beoseon but highlights the attractiveness of the Korean image by using repetition, rotation, symmetry and overlap into a new image pattern so that modern and chic images were taken into consideration for each cultural product. For the necktie, the mixed or repeated patterns for each motif were used as is. Alternatively, an oblique line pattern was adopted to express a stable and stylish image. For the T-shirt, a round-neck sleeveless type was designed. T-shirts were unified in the white color to highlight the image from the pattern. For the scarf, two shapes were displayed, square and rectangle. Through mixture of two repeated variation unit patterns for each motif, a splendid and stylish image was revealed along with various layouts.

Keywords

References

  1. 고복남 (1986). 한국 전통복식사 연구. 서울: 일조각.
  2. 국립민속박물관 (2011 년 2월 [2011년 2월 18일 검색]). "버선" [온라인게시판]; available from World Wide Web@http://www.nfm.go.kr/nfm.dasen?cmd=museum-view&ac=765
  3. 권순교 (2006). "전통복식의 현대적 활용화를 위한 웨딩드레스디자인 연구."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금기숙 (1988). "조선시대 복식에 표현된 한국인의 미의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김선영 (2010). "전통꽃담문양을 이용한 패션문화 상품디자인 개발." 복식문화연구 18권 4호.
  6. 김선영 (2010). "전통창살문양을 응용한 패션문화 상품디자인 개발." 복식 60권 9호.
  7. 김영숙 (1998). 한국복식문화사전. 서울: 미술문화.
  8. 김영자 (1982). 한복의 미적 고찰. 서울: 한국문화재보호협회.
  9. 김지은 (2001). "한국 전통 조형미를 응용한 복식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남재경 (2004). "한국적 이미지를 응용한 패션문화 상품 디자인 개발 연구." 조형예술학연구 6권 2호.
  11. 문영희 (1986). "한국 전통복식의 선을 이용한 디자인." 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박창숙 (2001). "한국 포의류를 응용한 생활한복디자인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백현옥 (2007). "한국의 전통문양을 이용한 웨딩드레스 디자인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서옥경 (2008). "한국적이미지의 문화상품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4권 2호.
  15. 석주선기념박물관 (2000). 한국 전통어린이 복식. 서울: 단국대학교출판부.
  16. 손경자 (1990). 전통한복양식. 서울: 교문사.
  17. 신혜선 (2002). "한국 단청문양을 모티브로 한 패션 문화상품 디자인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이능화 (1977). 조선여속고. 서울: 한국학연구소.
  19. 이미석 (2009). "전통색동 이미지를 이용한 문화상품 개발에 관한 연구." 복식 59권 2호 .
  20. 이연주 (2001). "전통 떡살문양을 응용한 니트웨어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이재민 (2002). "지역문화를 기반 한 패션문화상품 개발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임영자, 유순례 (2000). "한국인의 미의식 변천과정과 복식미의 특질에 관한 연구." 복식 50권 8호.
  23. 전승현 (2002). "조선시대 매화문을 응용한 복식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정미혜 (1995). "조선후기 수보의 문양을 응용한 현대복식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차민경 (2011) "전통문양을 응용한 레드카펫 드레스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채송화 (2006). "전통문양을 이용한 생활한복디자인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최세완, 김민자 (1993). "현대패션에 표현된 한국복식의 전통미." 한국의류학회지 17권 1호.
  28. 한국문화재보호협회 (1982). 한국의 복식. 서울: 한국문화재보호협회.
  29. 현선희 (2006). "한국전통문양을 응용한 패션문화 상품 디자인 개발."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황경숙 (2001). "한국복식 조형미를 표현한 학위예복 개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