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중학교 3학년 수학교과서 통계단원에 나타난 요약개념 분석

A summary-concept based analysis on the representative values and the measures of spread with the 9th grade Korean mathematics textbook

  • 투고 : 2011.10.17
  • 심사 : 2011.11.18
  • 발행 : 2011.11.30

초록

This study is an analysis on the focus of textbooks regarding the statistical chapters of "measures of representative(central tendency) and of the spread". Applying the summary-concept criteria of Juhyeon Nam(2007), 4 kinds of aspect of the chapter; (1) definition and its teleological validity of the measures of representative, (2) definition and practical value of the measures of spread (3) distributional form on the measures of representative and of spread (4) location and scale preservation or invariance of the measures of representative and of spread were observed. On the measures of representative, some definitions were insufficient to check the teleological validity of the measure. Most definitions of the measure of spread were based on the practical view points but no preparation for the future statistical inferences were found even by implication. Some books mention about the measures of representative and of spread for distributions, but we could not find any comments on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sample mean and the expectation of a distribution or population mean. However it is stimulant that some books check the validity of corresponding measures with the location and scale preservation or invariant property, that were not found in the previous curriculum.

키워드

참고문헌

  1. 교육과학기술부 (2008).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6-75호 및 제2007-79호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4). 서울: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2. 교육과학기술부 (2008).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6-75호 및 제2007-79호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 (3). 서울: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3. 교육과학기술부 (2008).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7-79호에 따른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5).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신생인쇄조합.
  4. 교육과학기술부 (2009). 고등학교 확률과 통계. 서울: (주)두산.
  5. 교육과학기술부 (2011). 중학교 수학 3. 서울: 교학사.
  6. 교육과학기술부 (2011). 중학교 수학 3. 서울: 금성출판사.
  7. 교육과학기술부 (2011). 중학교 수학 3. 서울: 더텍스트.
  8. 교육과학기술부 (2011). 중학교 수학 3. 서울: 도서출판 지학사.
  9. 교육과학기술부 (2011). 중학교 수학 3. 서울: 동화사.
  10. 교육과학기술부 (2011). 중학교 수학 3. 서울: 두산동아.
  11. 교육과학기술부 (2011). 중학교 수학 3. 서울: 미래엔 컬처그룹.
  12. 교육과학기술부 (2011). 중학교 수학 3. 서울: 비상교육.
  13. 교육과학기술부 (2011). 중학교 수학 3. 서울: 성지출판.
  14. 교육과학기술부 (2011). 중학교 수학 3. 서울: 웅진씽크빅.
  15. 교육과학기술부 (2011). 중학교 수학 3. 서울: 지학사.
  16. 교육과학기술부 (2011). 중학교 수학 3. 서울: 천재교육.
  17. 교육과학기술부 (2011). 중학교 수학 3. 서울: 천재문화.
  18. 교육과학기술부 (2011). 중학교 수학 3. 서울: 천재문화.
  19. 교육과학기술부 (2011). 중학교 수학익힘책 3. 서울: 교학사.
  20. 교육과학기술부 (2011). 중학교 수학익힘책 3. 서울: 금성출판사.
  21. 교육과학기술부 (2011). 중학교 수학익힘책 3. 서울: 더텍스트.
  22. 교육과학기술부 (2011). 중학교 수학익힘책 3. 서울: 도서출판 지학사.
  23. 교육과학기술부 (2011). 중학교 수학익힘책 3. 서울: 동화사.
  24. 교육과학기술부 (2011). 중학교 수학익힘책 3. 서울: 두산동아.
  25. 교육과학기술부 (2011). 중학교 수학익힘책 3. 서울: 미래엔 컬처그룹.
  26. 교육과학기술부 (2011). 중학교 수학익힘책 3. 서울: 비상교육.
  27. 교육과학기술부 (2011). 중학교 수학익힘책 3. 서울: 성지출판.
  28. 교육과학기술부 (2011). 중학교 수학익힘책 3. 서울: 웅진씽크빅.
  29. 교육과학기술부 (2011). 중학교 수학익힘책 3. 서울: 지학사.
  30. 교육과학기술부 (2011). 중학교 수학익힘책 3. 서울: 천재교육.
  31. 교육과학기술부 (2011). 중학교 수학익힘책 3. 서울: 천재문화.
  32. 교육과학기술부 (2011). 중학교 수학익힘책 3. 서울: 천재문화.
  33. 교육과학기술부 (2011). 중학교 수학 3 교사용 지도서. 서울: 두산동아.
  34. 교육과학기술부 (2011). 중학교 수학 3 교사용 지도서. 서울: 비상교육.
  35. 교육인적자원부 (2007). 고등학교 확률과 통계 교사용 지도서. 서울: (주) 천재교육.
  36. 구자용 외 (2003). 통계학(개정판). 서 : 자유 아카데미.
  37. 김경란 (2007). 분포개념 발달 관점에서 본 초 중등 확률통계 교육과정 및 교과내용의 분석. p10,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8. 김미옥 (1989). 초․중․고 확률 및 통계영역의 연계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9. 김민연 (2010). 중학교 수학교과서 개정에 따른 9단계 통계 단원에 대한 7차 교과서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0. 김용대 외 (2009). 통계학개론(제5개정판). 서울: 도서출판 영지문화사.
  41. 김응환․이석훈 (2008). 통계교육. 서울: 경문사.
  42. 남주현 (2007). 초․중등 통계교육을 위한 통계적 방법론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3. 송순희․이영하․김미옥 (1989). 초 중 고 수학 교과서의 확률 통계 영역의 연계성에 관한 분석(제 1보). 한국수학교육학회지.
  44. 윤소진 (2007). R. W. Tyler의 관점에 의한 9단계와 10단계 수학 교과내용의 연계성에 관한 고찰.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5. 윤현진 외 (2009). 수학과 교육내용 개선 방안 연구 -'이산수학', '확률과 통계'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09-3-3.
  46. 이명근 (1984). 대학 교양과정 연계성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7. 이영하 (2009). 통계적 개념 발달과 통계교육. 서울시 2009 중등 수학과 1, 2급 정교사 자격연수자료, 627-642.
  48. 이영하 (2009). 확률과 통계 영역의 지도. 광주광역시 중등학교 정교사(1급) 수학과 자격연수자료.
  49. 이영하 (2002). 확률과 통계. 2002년 서울시 1급 정교사 연수자료.
  50. 이영하․남주현 (2005). 통계적 개념 발달에 관한 인식론 적 고찰.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4(3), 457-475.
  51. 이외숙 외 (2007). 통계학 입문(제2판). 서울: 경문사.
  52. 이정희 (1992). 확률 및 통계 영역의 연계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53. 이중권 (2004). 세계 여러 나라의 수학교육과정. 서울: 경문사.
  54. 최지안 (2008). 중학교 1학년 통계단원에서 나타난 분포개념에 관한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55. Bakker, A. (2004). Design research in statistics education; On symbolizing and computer tools. Dissertation Utrecht University, the Netherlands.
  56. Cobb G. W., & Moore D. S. (1997). Mathematics Statistics and Teaching, American Mathematical Monthly 104, 801-823 https://doi.org/10.2307/2975286
  57. Fisher R. A. (1925). Statistical methods for research workers. Oliver and Boyd of Edinburgh in Scotland.
  58. Garfield J. B. (2002). The challenge of developing statistical reasoning. Jour. of Statistics Education, 10(3).
  59. Garfield J. B., & Ben-Zvi D. (2004). Research on statistical literacy, reasoning and thinking: Issues, challenges, and implications. In D. Ben-Zvi & J. Garfield (Eds.), The challenge of developing statistical literacy, reasoning, and thinking(pp 397-409). Dordrecht, the Netherlands: Kluwer Academic Publishers
  60. Huff D. (1954). How to lie with statistics, Norton
  61. Moore D. S. (1990). Uncertainty, In the L. S. Steen(Ed), On the shoulders of giants; New approaches to Numeracy 95-137,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62. Wild C., & Pfannkuch M. (1999). Statistical thinking in Empirical inquiry, International Statistical Review 67, 223-266 https://doi.org/10.1111/j.1751-5823.1999.tb00442.x

피인용 문헌

  1. A Study on Didactical Analysis of Dot Plots and Box Plots for Developing Students’ Informal Statistical Inference vol.29, pp.4, 2019, https://doi.org/10.29275/jerm.2019.11.29.4.577
  2. 연구공동체 활동을 통한 한 경력교사의 전문성 신장 : 수학적 창의성 촉진을 위한 대푯값 과제의 변형과 실행을 중심으로 vol.58, pp.4, 2019, https://doi.org/10.7468/mathedu.2019.58.4.5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