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김언주․윤여홍․문정화․김명환 (2001). 국제과학올림피아드에 참가한 과학영재의 재능발달에 끼친 촉진요인과 방해요인에 관한 연구. 영재교육연구, 11(3), 245-270.
- 김주훈․박경미․최고운․이은미 (1996). 영재를 위한 심화 학습 프로그램 개발 연구 -국어, 사회, 수학, 과학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CR96-25.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 김태훈 (2009). 과학고등학교에서의 극한지도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 도은정 (2008). 영재 학생을 위한 확률 심화 학습 자료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박한식․최영한 (1987). 우리도 국제수학경시대회(IMO)에 참가하여야한다.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25(2), 1-11.
- 전선미․유원석 (2011). 중등 수학영재 교수․학습자료 개발 동향.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25(1), 79-97.
- 정지연 (2010). 대학 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서 실시한 수학과 수업의 주제 분류.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송상헌 (1996). 수학 영재교육 프로그램을 위한 수학적 영재성의 정의와 판별의 이론적 고찰. 대한수학교육학회 논문집, 6(2), 271-294.
- 송상헌 (1998). 수학 영재성 측정과 판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신보미 (2011). 수학영재들의 확률 문제해결 과정 분석: 유추적 사고를 중심으로. 영재교육연구, 21(1), 231-249.
- 신현용․류익승․한인기 (2001). 과학고등학교 수학특별반의 영재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5, 125-140.
- 안성신 (2008). 고급수학에서 이변수함수의 미분법과 적분법에 대한 고찰.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이경화 (2003). 수학 영재교육 자료의 개발과 적용 사례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13(3), 365-382.
- 이경화 (2207). 초등학교 5학년 수학영재와 일반아의 확률판단 비교. 수학교육학연구, 17(2), 179-199.
- 이군현 (2000). 영재교육 진흥법과 이후 영재 교육 체제의 변화. 수학사랑, 8, 53-54.
- 이병록 (2010). 과학고 고급수학 내실화를 위한 지도방안. 제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이성현․한인기 (2009). 과학고등학교에서의 수학영재 교육활동 사례. 제 14회 국제수학영재교육세미나 프로시딩, 21-25.
- 이승훈 (2010). 수학영재의 수학올림피아드 경험의 의미 탐색.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이종희․김기현 (2007). 창의적 생산력 신장의 교육목표 이해를 위한 수학영재의 수학적 창의성 개념 탐색.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6(4), 445-464.
- 최돈형 (1998). 영재를 위한 심화 학습 프로그램 개발 연구 종합 보고서. 한국교육개발원 수탁연구 CR98-18.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 최종현 (2004). 주제탐구형 수학영재 교수․학습자료 개발에 관한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황혜정 (2001). 수학적 사고 관련의 평가 요소 탐색.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0(2), 253-263.
- 황혜정․나귀수․최승현․박경미․임재훈․서동엽 (2009). 수학교육학신론. 서울: 문음사.
- Cohen, I. B. (2005). The triumph of number. 김명남 (역) (2007). 세계를 삼킨 숫자이야기. 서울: 생각의 나무.
- Erdiniev, P. M., & 한인기 (2005). 유추를 통한 수학탐구. 서울: 승산.
- Bakker, A. (2004). Design Research in statistics education: On symbolizing and computer tools. Doctoral Dissertation, Utrecht University, Netherlands.
- Freudenthal, H. (1973). Mathematics as an educational task. Dordrecht, the Netherlands: Reidel.
- Hald, A. (2003). History of probability and ststistics and their Applications before 1750. New Jersey: wiley.
- Hekimoglu, S. (2004). Conducting a teaching experiment with a gifted student. The Journal of Secondary Gifted Education, 16(1), 14-19. https://doi.org/10.4219/jsge-2004-466
- Janice, S. C. (2003). Modeling aspects of students' attitudes and performance in an undergraduate introductory statistics course. Doctoral Dissertation, Georgia University.
- Kantowski, M. G. (1974). Processes involved i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8. pp.163-180. Reston, Virginia: NCTM.
- Kramer, W. (1996). Trugsclusse aus der Welt der Zahlen und des Zufalls. 권세훈(역) (2002). 확률게임-통계와 확률 그리고 그 오류들-. 서울: 이지북.
- Krutetskii, V. A. (1976). The psychology of mathematical abilities in school childre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Larry Gonick, L., & Smith, W. (1993). The cartoon guide to statistics. 이중환(역) (1995). 통계학 길잡이. 서울: 국제
- Martin, G. (1998). aha! Gotcha. 이충호(역) (2004). 이야기 파라독스. 서울: 사계절.
- Maxara, C., & Biehler, R. (2006). Students' probabilistic simulation and modeling competence after a computer intensive elementary course in statistics and probability. In A. Rossman & B. Chance(Ed.), Proceedings of the 7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eaching Statistics, 1-6, On-line.
- NCTM (1989). Curriculum and Evaluation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irginia: NCTM.
- Pfannkuch, M., & Wild, C. J. (2004). Towards an understanding of statistical thinking. In D. Ben-Zvi & J. Garfield(Ed.), The Challenge of Developing Statistical Literacy, Reasoning and Thinking, 17-46. Dordrecht: Kluwer Academic Publisher.
- Pfannkuch, M. (2005). Probability and statistical inference: How can teachers enable learners to make the connection? In G. A. Jones (Ed.), Exploring probability in school: Challenges for teaching and learning (pp. 267-294). NY: Springer.
- Piaget, J., & Inhelder, B. (1975). The origin of the idea of chance in children. London: Routledge and Kegan Paul. [English translation, originally published in 1951]
- Poyla, G. (1957). How to solve it. New York: Double day.
- Renzulli, J. S. (1978). What makes Giftedness? Reexamining a Definition. Phi Delta Kappan, 60(3), 180-184, 261.
- Saldanha, L. A. (2004). "Is this sample unusual?" An investigation of students exploring connections between sampling distributions and statistical inference. Doctoral Dissertation, Vanderbilt University.
- Salsburg, D. (2001). The lady tasting tea. 최정규(역) (2003). 천재들의 주사위— 20세기를 만든 통계학의 혁명들. 서울: 뿌리와 이파리.
- Schoenfeld, A. H. (1985).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New York: Academic Press.
- Sriraman, B. (2003). Mathematical giftedness, problem solving, and the ability to formulate generalizations: The problem-solving experiences of four gifted students. Journal of Secondary Gifted Education, 14. 151-165. https://doi.org/10.4219/jsge-2003-425
- Sriraman, B. (2004). The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al creativity. The Mathematical Educator, 14(1), 19-34.
- Stigler, S. M. (1986). The history of statistics. 조재근(역) (2005). 통계학의 역사. 서울: 한길사.
- Tall, D. (1991). Advanced Mathematical Thinking. 류희찬 외 2인(역) (2003). 고등수학적 사고. 서울: 경문사.
- Tempelaar, D. (2004). Statistical Reasoning Assessment: an Analysis of the SRA Instrument. Lawrence University.
- Torrance, E. P., Ball, O., & Safer. T. (1992). Torrance Test of Creative Thinking; Streamlined Scoring Guide Figural A and B. Bensenville. IL: Scholastic Testing Service.
피인용 문헌
- A co-authorship network analysis on mathematics education scholars vol.52, pp.4, 2013, https://doi.org/10.7468/mathedu.2013.52.4.483